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AI(인공지능) 기반 신약개발 회사 신테카바이오는 개량신약 R&D(연구·개발) 전문업체 지엘팜텍과 코로나19(COVID-19) 치료제 고함량제제와 안구건조증 치료제 신규 적응증 탐색 등 공동 R&D를 위한 상호양해각서(MOU)를 체결했습니다.

이번 MOU 체결에 따라 두 회사는 각 사에서 현재 진행 중인 신약개발과 관련해 업무 제휴를 맺고 상호 협력할 예정입니다.

신테카바이오의 코로나19 치료제 'STB-R011'의 고함량제제 연구와 공정 개발에 지엘팜텍이 참여하는 것입니다.

신테카바이오는 합성신약 후보물질 발굴 및 약물 재창출을 위한 AI 플랫폼 '딥매쳐(DeepMatcher)'를 활용해 지난해 12월 임상 2상 승인을 받은 지엘팜텍의 안구건조증 치료제 'GLH8NDE'의 새로운 적응증을 탐색합니다.

정종선 신테카바이오 대표는 "지엘팜텍이 안구건조증 치료제로 개발 중인 신약 GLH8NDE의 새로운 적응증 탐색 연구에 딥매쳐 플랫폼을 활용해 유의미한 결과를 신속하게 도출할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할 것"이라며 "이번 공동개발을 통해 양사의 기술적 강점이 시너지를 발휘해 R&D 속도를 더욱 높여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쉽게 말하면 지엘팜텍이 개발하고 있는 안구건조증 치료제를 다른 질병 사용에서도 효능을 볼 수 있는 잠재적인 치료분야가 어디가 있을 지 신테카바이오의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더 빠르게 검색하고 찾아내겠다는 것입니다

아울러 지엘팜텍이 갖고 있는 개량신약 개발기술을 활용해 신테카바이오의 코로나19 치료제 'STB-R011'의 개량신약 개발 가능성을 빠르게 연구하겠다는 것입니다

두 회사의 장점을 이용해 서로 윈윈할 수 있는 그림을 그리겠다는 것으로 바이오업계에 불고 있는 합종연횡의 한 사례라 할 수 있습니다

자신들의 기존 파이프라인을 통해 신약개발에 연구성과를 내고 이를 기술수출하는 라이센스 아웃도 수익의 한 방법이겠지만 다른 바이오 개발사가 개발하던 파이프라인에 서로의 장점으로 기존에 못 해 봤던 연구를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찾는 것도 새로운 수익성을 찾는 방법이 되고 있습니다

다만 지엘팜텍의 개량신약 개발능력에 대해서는 약간 회의적인 의식이 있는데 상장 시 파이프라인 중 성공한 것이 한개 밖에 없어 신뢰가 떨어져 보이는 것은 사실입니다

이번 MOU를 통해 당장은 신테카바이오에 긍정적일 수 있고 장기적으로는 지엘팜텍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이는데 개량신약 성공 가능성을 높여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지엘팜텍 개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