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제주도 지역 신재생에너지 관련 태양광발전소가 많아지면서 전력생산에 있어 시기별로 블랙아웃을 우려할만큼 발전량이 많아 조절을 하는 시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올해 들어 제주 지역의 태양광 발전 출력 제어 횟수가 이미 작년 연간 횟수를 두 배 가까이 넘어선 것으로 파악됐는데 출력 제어는 전력 생산량이 수요보다 훨씬 많아 수급 불균형에 따른 블랙아웃(대규모 정전 사태)이 우려될 때 취하는 조치입니다.
제주도지역에 태양광발전소가 늘어나고 기술력도 발전하면서 전기발전량이 급증하고 있는데 다른 지역으로 송전하거나 에너지저장장치ESS가 많으면 잉여전력을 처리할 수 있겠지만 지금은 그런 부분이 부족해 발전량 자체를 줄이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지금은 제주도라는 제한된 지역에서 이뤄지고 있지만 조만간 본토에서도 태양광발전과 풍력발전을 통한 발전량이 많아져 태양광 발전 출력 제어 횟수가 많아질 수 밖에 없어 보입니다
올해 들어 7월 4일까지 에너지 당국이 제주 지역 발전 사업자에게 출력 제어를 지시한 횟수는 풍력 89회, 태양광 51회로 집계됐고 풍력은 지난해 연간 출력 제어 횟수인 104회에 근접했고, 태양광은 이미 작년 횟수인 28회의 두 배 가까이가 됐습니다.
ESS 보급이 부진한 상황에서 발전 설비만 우후죽순 늘어나는 바람에 전력 수급 불균형 문제가 심각해졌고, 덩달아 출력 제어도 빈번해졌습니다
신재생 발전 시설이 제주는 물론 육지에서도 계속 늘고 있고, 송전망 확충 속도는 인근 주민 저항 등의 이유로 앞으로도 더딜 수밖에 없는데 전력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2016년 9284메가와트(MW)이던 우리나라 신재생 에너지 발전 설비는 지난해 2만7962MW로 3배가 됐습니다.
그만큼 석탄발전과 화석연료를 사용한 발전은 줄어들고 있는데 상황이 이런데도 윤석열 정부는 신규 원전건설에 나서겠다고 하고 있어 전력수급 계획보다는 원전건설 과정에서 떡고물만 챙기려 한다는 비난의 목소리가 원전 업계에서도 나오고 있습니다
국민의힘이 앞장서 태양광발전이 더불어민주당과 결탁한 부정부패 사례라고 홍보하고 더 이상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투자를 막고 원전건설의 명분을 만들어 냈는데 실제로 지금 전기가 남아돌고 있어 막대한 건설비가 들어가는 원전을 신규로 지어야 하나 하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원전은 국내 소수 재벌이 짓고 일반 발전소보다 훨씬 많은 안전비용이 들어가서 건설비도 비싼 발전소로 알려져 있는데 이 과정에서 과거 사례를 보면 이명박 정부 시절 만든 원전들이 부실공사로 1년 넘게 안전보강 공사비사 추가로 들어간 적이 있어 똑같은 부정부패가 반복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국민들이 멍청하면 속는 것으로 윤석열이 탈원전정책백지화한다고 해도 원전관련 예산도 확보하지 않는 것에서 결국 정치적 반대파를 탄압하기 위해 탈원전정책을 이용했다는 비난의 목소리가 나오는데 결국 검사의 수사편의주의적 발상으로 나라를 이끌고 있다는 비난이 나오는 대목입니다
진심 한심합니다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종공업 현대차그룹 전동화 전략 수혜 기대감 (0) | 2023.07.06 |
---|---|
에코플라스틱 전기차 대중화 차량경량화 중요성 대두에 수혜 기대감 (0) | 2023.07.06 |
롯데하이마트 52주 신저가 행진 속 눈물의 여름세일 (0) | 2023.07.06 |
메타 새로운 SNS '스레드'공개 일론머스크 트위터와 본격 경쟁 선언 (0) | 2023.07.06 |
삼화전자 페라이트 코어 현대모비스와 공동개발 중국 희토류 자석 대체 기대감 (0) | 2023.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