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youtu.be/H5eCBHt9TwY

안녕하세요

한국수력원자력 고리원자력본부는 태풍 힌남노 영향으로 터빈 발전기가 정지된 신고리1호기 원자로를 8일 오후 5시에 수동정지했습니다.



지난 6일 신고리 1호기는 제11호 태풍 '힌남노'의 영향에 대비해 출력을 79% 수준으로 감발해 운전하던 중 발전 정지돼 출력이 30%까지 줄었습니다.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는 발전 정지 후 원자로의 안전성에 영향이 없음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한수원은 그러나 이후 현장점검에서 신고리 1호기의 송전 관련 설비가 손상된 것을 발견하고, 설비를 정비하기 위해 원자로를 수동정지했는데 이 설비는 태풍에 의한 강풍으로 손상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더 정확한 원인 파악을 위해 원안위가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전문가로 조사단을 구성해 현장에 파견했습니다.

 

조사단은 손상 원인, 정비작업의 적절성 등 설비 전반의 안전성을 확인할 계획으로 아울러 한수원은 신고리1호기를 수동정지함에 따라 이달 14일에 하기로 했던 정기검사(계획예방정비)를 이날부터 착수하기로 했습니다.

 

이번 정기검사에서는 터빈 발전기 정지 상세원인 파악 및 설비 개선, 연료 인출 및 재장전, 원자로 특성시험, 원자력안전법과 전기사업법에 따른 법정검사 등 주요 기기 계통에 대한 점검 및 검사, 설비개선 등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또 고리본부는 신고리2호기도 추석 연휴 기간 터빈 발전기를 정지하고 동일 설비를 점검할 계획입니다.



태풍 내습에 대비해 출력을 낮춰 운전했던 고리2,3,4호기는 순차적으로 전출력 100%에 도달해 현재 정상 운전 중입니다

 

국내 원전의 노후도가 점점 심해지고 있는데 안전보강을 통해 강제로 수명을 연장하는 것이 잘하는 짓인지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윤석열 정부의 탈원전정책 백지화는 노후원전 수명연장과 신규 원전건설로 대변되는데 국내에 원전 건설을 할 수 있는 대기업 건설사들이 뻔하다는 측면에서 이 또한 정경유착을 의심해 볼 수 밖에 없는데 서방국가들은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을 늘리고 있는데 비해 우리나라는 쇠퇴하는 원전에 신규 자금을 막대하게 투자하려 하고 있어 제2의 4대강사업이 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4대강 사업도 유지보수에 이해관계가 있는 기업들과 사람들 때문에 매년 조단위의 세금을 낭비하며 녹조를 키우고 있는 꼴이라 원전도 노후원전에 막대한 자금을 들여 안전보강을 한다지만 20세기 건설된 원전에 21세기 안전보강을 한다해도 근본은 20세기 원전이라 사고위험을 그대로 안고 있기 때문입니다

 

신고리1호기도 비교적 최근에 건설된 원자로이지만 잦은 사고로 운전정지를 반복하고 있어 사고 위험성을 더 키우고 있는 것이 아닌가 우려됩니다

 

원전관련자들이 방사능 위험이 없다고 하지만 노후 원전에서 방사능 누출의혹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라 불안감은 사라지지 않고 있는 상황입니다

 

과연 윤석열 정부가 선택한 탈원전정책백지화가 글로벌 흐름에 역행하는 것이 아니라고 할 수 있는지와 재벌과 정경유착으로 국민 세금 도둑질의 일환으로 노후원전 수명연장을 하고 있는 것이 아닌지 우려되는 상황입니다

 

자연재해 앞에 인간이 무력한 존재라는 사실은 10여년 일본 동일본대지진으로 후쿠시마원전사고가 난 데서 알 수 있는데 우리나라보다 더 안전에 대한 투자를 많이 한 일본의 원전에서도 대형 원전사고로 동이킬 수 없는 피해를 입고 있는데 더 좁은 국토의 우리나라에서 원전을 좁은 지역에 그렇게 많이 운전하는 것이 과연 잘하는 짓인지 의구심이 듭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