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youtu.be/NmMRrNe3pc4?si=b-ZVjSNGPbzixpUn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네오셈은 반도체 후공정 검사기기업체로 SSD테스터가 주를 이루고 있고 '번인테스터'를 제조해 삼성전자에 주로 납품해 왔습니다
네오셈이 삼성전자에 납품하고 있는 번인인테스터는 주로 DDR 반도체 검사장비로 사용되고 있는데 최근들어 삼성전자가 준비하고 있는 HBM3E 검사장비로도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한 네오셈은 지난해 CXL(2.0) D램 검사 장비도 만들었는데 인공지능AI 반도체 시장에 대한 준비를 착실하게 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가 엔비디아에 12단 HBM3E 공급이 임박했다는 소식에 투자자들이 삼성전자에 HBM 테스터 퀄테스트 단계에 진입한 네오셈에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유입되고 있습니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삼성전자의 HBM공급이 임박했음을 시사하는 발언을 내놓았는데 지난번 해외언론에 삼성전자 12단 HBM3E의 양산승인이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하면서 좌절되었다는 기사가 나오면서 삼성전자 주가가 륵락하기도 했는데 젠슨 황 엔비디아CEO가 나서서 이런 보도를 부인했기 때문입니다
젠슨 황 엔비디아CEO는 기존 HBM반도체를 독점적으로 납품하고 있는 SK하이닉스으 납품단가 인하를 위한 압박용으로 삼성전자와 미국 마이크론을 이용하고 있는데 삼성전자보다 미국 마이크론이 SK하이닉스 뒤를 이어 엔비디아에 HBM3E를 납품할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12단 HBM3E의 엔비디아 납품이 늦어지는 것은 수율을 잡는데 어려움을 겪는 것도 있지만 엔비디아의 삼성전자에 대한 견제도 작용하고 있는데 인공지능AI반도체 시장 초기에 HBM반도체 양산수율을 잡는데 실패하며 SK하이닉스에 밀린 삼성전자는 후발 주자인 AMD에 HBM반도체를 납품하면 시장후반주자로 설움을 받아왔습니다
엔비디아도 양산능력에서 앞서 있는 삼성전자와 협력관계를 맺는 것이 인공지능AI 반도체 가격을 낮출 수 있는 방법임을 잘 알고 있지만 반도세 시장에서 삼성전자가 갖고 있는 위상을 잘 알기 때문에 언제든지 삼성전자가 인공지능AI 반도체에 뛰어들 수도 있어 일종에 견제장치를 두고 관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올 하반기 삼성전자가 12단 HBM3E 반도체에 대한 양산승인을 얻고 납품을 시작하기 위해 지금 영산 라인에 대한 준비가 이뤄져야 할 시기입니다
네오셈이 12단 HBM3E 검사장비를 승인받으면 곧바로 양산라인에 대한 발주와 납품이 이뤄질 것으로 보여 실적에 곧바로 반영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네오셈의 1분기 실적기준 적정주가는 15,000원으로 평가되고 있어 뒤늦게 실적의 주가반영이 이뤄지고 있는 모습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혜인 윤석열 동해 심해저 석유 가스 탐사 시추 수혜 기대감 (2) | 2024.06.07 |
---|---|
현대차그룹 통합 사옥 글로벌 비즈니스센터 GBC 층수 논란 오세훈 서울시장 최후통첩 (2) | 2024.06.06 |
화성밸브 윤석열 동해 유전 가스전 탐사 시추 승인 수혜 기대감에 급등세 (0) | 2024.06.06 |
아시아나항공 화물사업매각 결정 기대감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통합 국적기 가속화 (0) | 2024.06.06 |
미국 액트지오 동해 유전 가스전 확신 호주 최대석유개발회사 우드사이드 탐사결과 "경제성 없다" 윤석열 글로벌 호구 인증 국제사기꾼 잔치 우려 (2) | 2024.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