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미국테슬라

안녕하세요

'전 세계 자동차업계 시가총액 1위'를 달리는 미국 전기차 테슬라가 분기별 전기차 역대 최대 인도실적을 기록했는데 다만 지난해에 내건 연간 목표치 50만대 달성에 실패하면서 깜짝 실적을 기대한 투자자들의 희망을 충족시키진 못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뉴욕증권거래소의 중국 기업 상장폐지 통보에 대해 '전 세계 최대 소비시장'인 중국이 보복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테슬라 등 중국시장 비중이 높은 기업에 투자한 사람들의 불안감이 적지 않은 분위기입니다.

 

2일(현지시간) 테슬라는 지난해 총 49만9550대의 전기차를 소비자에게 인도했고 총 50만9737대를 생산했다고 밝혔는데 앞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지난 해 9월 연례 주주총회에서 제시한 목표 범위(47만7750~51만4500대) 내에는 들어간 셈이고 또 지난해 4분기 인도 대수는 총 18만570대(생산은 17만9757대)로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습니다.

 

금융데이터분석업체 팩트셋이 테슬라 4분기 인도 실적에 대한 월가 예상을 집계한 바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15만1000대~18만4000대, 평균적으로는 17만4000대를 예상했습니다.

 

테슬라는 지난 달 31일 뉴욕증시에서 하루 새 주가가 1.57% 올라 1주당 705.67달러(약 77만원)를 기록했는데 지난 한 해 주가는 8배 뛰었는데 다만 이는 테슬라의 2020년 전기차 인도 대수가 50만대를 훌쩍 뛰어넘을 것이라는 예상 속에 앞다퉈 주식을 추가 매수한 투자자들의 기대가 반영된 상승세입니다.

 

지난 달 말 웨드부시 증권의 댄 아이브스 연구원은 투자 메모를 통해 "2020년 4분기(10~12월) 테슬라 수요·배송 데이터를 추적 분석해보니 중국 판매가 눈이 튀어나올 정도로 급증해 월가 예상치뿐 아니라 회사 목표치를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보기도 했습니다.

 

웨드부시는 테슬라 목표주가를 1000달러로 잡고 있어 JP모건(90달러)이나 모건스탠리(780달러) 등 월가 대형 투자은행(IB)보다 긍정적인 편이지만 지금까지는 웨드부시가 잘 들어맞았다는 평을 받고 있습니다.

 

한편 아이브스 연구원은 "조 바이든 차기 정부에서 나올 친환경 정책을 감안하면 2021년부터 미국 전기차 수요가 빠르게 늘 것"이라면서 "추세를 감안하면 테슬라는 2022년 연간 전기차 판매량이 100만대를 넘어설 것"이라고 예상한 바 있습니다.

 

전기차 시장은 앞으로 규모가 빠르게 커질 전망이어서 테슬라를 비롯한 전기차 업체 실적도 증가할 것으로 보이는데 '파리 기후협약 복귀'를 선언한 미국의 바이든 차기 정부 뿐 아니라 유럽 주요국과 '세계 최대 소비시장' 중국이 앞다퉈 2030년을 전후해 '내연 기관차의 종말'을 선언하고 수소·전기차 도입에 속도를 내고 있기 때문입니다.

 

컨설팅업체 딜로이트는 "지난 해 전기차·하이브리드 차량 판매 규모가 전체 자동차 시장(중고를 제외한 새 차 기준)에서 3.6% 정도 비중을 차지했지만 오는 2025년에는 12.1%를 찍을 것"으로 보고 있는데 웨드부시 증권도 "전기차의 자동차 시장 판매 비중은 현재 3% 정도이지만 2025년에는 10%대로 늘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테슬라로서는 새해 연초 호재와 악재를 동시에 안고 있는데 호재로는 중국에 이어 두번째로 규모가 큰 아시아 소비시장 인도 진출이 대표적입니다.

 

지난 달 28일 니틴 가드카리 인도 교통부 장관은 인디안익스프레스 신문 인터뷰에서 "2021년 초 테슬라가 인도에서 전기차 판매를 시작한다"면서 "이후 시장 반응을 보고 인도 내 잔기차 생산·조립 여부를 검토할 것"이라고 언급했는데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 공동 창업자 겸 최고 경영자(CEO)도 트위터를 통해 "(1월은 아니지만) 내년에 인도 사업을 시작한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미국 텍사스 오스틴에서는 전기 트럭 세미와 사이버트럭 등을 조립할 '기가텍사스'가 올해 완공 예정입니다.

 

당장은 아니지만 '스타링크 상장 가능성'도 꾸준히 투자 관심을 끄는 변수로 머스크 CEO는 자신이 창업한 비상장 민간우주탐사·개발업체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 사업을 분사해 상장할 가능성을 언급해왔습니다.

 

지난 25일 그는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수익 성장이 예측 가능하게 될 경우 스타링크를 IPO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일 것"이라고 밝혔고 앞서 9월 28일 트위터에서도 "우리는 스타링크를 기업공모(IPO·증시 상장 첫 단계)할 것"이라면서 "매출이 어느 정도 완만하게 성장하고 예측 가능해지는 때인 몇 년 후에 가능할 것 같고 IPO를 할 때는 소액 투자자들을 최우선으로 할 것"이라고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월가 대형 투자은행(IB) 모건스탠리는 지난 10월 스페이스X의 기본 시장가치를 기준 520억 달러에서 1000억 달러로 2배 높여잡았습니다.

 

한편 단기 악재로는 공사 중인 독일 베를린 기가팩토리가 지난 해 겨울 도마뱀 수면을 방해를 한다는 환경단체들의 항의 속에 공사를 중단한 점 등이 꼽히는데 지난 해 11월 24일 머스크 CEO는 독일 언론 화상 인터뷰에서 "현재 베를린 인근에서 공사 중인 기가팩토리4를 이르면 2021년 7월부터 가동할 계획"이라고 언급한 바 있는데 공사 중단으로 완공 시점이 늦춰지게 되었습니다.

 

기가팩토리4에서는 모델Y 등 전기차와 디자인 작업외에도 '로드스터 프로젝트'에 따른 자체 전기차 배터리와 가정용 배터리 파워월·공공시설용 파워팩·대용량 메가팩 등 배터리 개발·생산이 이뤄질 예정입니다.

 

테슬라의 경우 애플 등 다른 다국적 기업과 마찬가지로 중국 시장 비중이 높다는 점도 미·중 갈등 리스크가 돌발 변수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지난 31일 뉴욕증권거래소(NYSE)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행정명령에 따라 중국 이동통신사 3개 업체(차이나모바일·차이나텔레콤·차이나유니콤홍콩)를 상장폐지할 것이며 실제 조치가 오는 7~11일 이뤄질 것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이에 대해 2일 중국 상무부는 '중국 기업의 정당한 권리와 이익을 단호히 보호하기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경고한 상태여서 투자자들은 중국 시장에 진출한 미국 기업에 불이익이 따를 지 여부를 주목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오는 2035년까지 내연기관차 판매를 중단하고 전기차 등 친환경 차 판매로 대체할 것이라면서 특히 '자동차 산업의 완전 독립'을 선언한 바 있습니다.

 

중국 정부가 중국의 미세먼지 저감정책에 따라 내연기관을 포기하고 모터엔진으로 넘어가려는 것은 자국 산업이 내연기관을 만들기에는 늦었지만 모터를 만드는데는 선진국 기업들과 기술격차가 적기 때문일 겁니다

 

미국 테슬라도 일찌감치 중국에 공장을 설립해 중국시장 진출의 터전을 닦아 놓았는데 미중무역전쟁의 가중으로 중국 정부가 보복을 한다면 예전 우리나라 전기차배터리업체들이 중국기업들과 차별을 받아 중국 정부의 지원을 못받던 것과 같은 차별도 가능할 것입니다

 

하지만 그러기에는 미국 테슬라의 중국공장에서 고용하고 있는 인원이 점점 늘어나고 있어 중국 정부도 무턱대고 보복하기에는 중국인 일자리 감소와 연결될 수 있는 자해수단이기에 망설여질 수 밖에 없습니다

 

그 밖에도 중국 정부는 미국에 보복할 수 있는 카드가 많기 때문에 굳이 테슬라를 목표로 보복을 할 이유는 없어 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