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youtu.be/fUvk0scHcYk

안녕하세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27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또 다시 '자이언트스텝(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을 단행했습니다.



CNBC에 따르면 연준은 이날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한다고 발표했는데 전날부터 이어진 FOMC에서 12명의 금리결정위원회 위원의 만장일치로 인상이 결정했습니다.

 

미국 기준금리는 2.25~2.50% 수준으로 인상된 것인데 특히 이번 연준의 금리 인상으로 한미금리가 역전됐습니다.

 

우리나라의 기준금리(2.25%)보다 상단 기준으로 0.25%포인트 높아지게 됐습니다.



한미 금리 역전은 2020년 2월 이후 약 2년5개월 만에 처음인데 한미 금리가 역전되면 국내 증시와 채권 시장 등에서 외국인 자본이 유출될 것이란 우려가 높아졌는데 따라서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은 불가피하게 됐습니다.

 

연준은 지난 6월에도 0.75% 포인트 금리를 인상한 바 있고 2개월 연속 자이언트 스텝을 밟은 것은 그 만큼 미국경제에 인플레이션이 중요한 지표로 거론되기 때문입니다



연준은 성명에서 "최근 소비와 생산 지표가 둔화됐다"고 지적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몇 달 간 일자리 증가율은 견조했으며 실업률은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했는데 지난 6월의 성명과 유사한 표현을 사용했습니다.

 


인플레이션은 "높아졌다(elevated)"고 표현했는데 금리 인상은 공급망 문제, 식량과 에너지 가격의 상승 등 "가격 상승 압박"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연준은 지난달 1994년 이후 처음으로 0.75% 포인트 금리 인상을 단행했고 지난 3월 ‘제로(0)’ 금리에서 벗어난 이후 FOMC에서 4차례 연속 금리를 인상했습니다. 

 


1980년대 이후 가장 공격적인 속도로 금리를 인상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분석했는데 인플레이션 진정을 위해 초강수를 사용하고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미국 증시는 다우지수와 나스닥지수 모두 큰 폭의 반등세를 나타냈는데 시장이 예상하는 수준에서 금리인상이 나왔기 때문입니다

 

시장내 1%대 초강력 금리인상을 우려한 투자자들도 있었지만 연준이 시장이 예상한 수준에서 움직여줬기 때문에 조만간 연준의 금리인상이 멈출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