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youtu.be/zdPHKy5K6ls

안녕하세요

미국의 소비자 물가가 40여 년만에 최대폭 급등했다는 소식에 뉴욕증시가 폭락했습니다.

 

예상보다 길어지는 인플레이션으로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자이언트스텝으로 금리인상을 할 것이라는 전망이 투자자들을 공포에 떨게 했습니다.



10일(현지시간) 뉴욕증시의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880.00포인트(2.73%) 떨어진 31,392.79에 거래를 마쳤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116.96포인트(2.91%) 급락한 3,900.86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414.20포인트(3.52%) 급락한 11,340.02에 각각 장을 마감했습니다.



다우존스 마켓데이터에 따르면 S&P 500 지수가 이틀 연속 2% 이상 급락한 것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초기인 2020년 3월22∼23일 이후 2년여 만에 처음입니다.



인플레이션이 이미 정점을 찍었을 것이란 기대 속에 지난달 말부터 종종 반등 기미를 보이던 뉴욕증시의 3대 지수는 이번 주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는데 주간 기준으로 다우 지수는 4.6%, S&P 500 지수는 5.1%, 나스닥 지수는 5.6% 각각 떨어진 것으로 CNBC방송은 집계했고 다우 지수는 최근 11주 중 10번째 주간 하락을 기록했습니다.



이날 개장 직전에 나온 5월 미 소비자물가지수(CPI)가 1981년 12월 이후 최대폭인 8.6%(전년 동월 대비) 치솟았다는 발표가 투자자들을 공포로 몰아넣었습니다.



CPI 상승률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직후인 지난 3월 8.5%로 40년 만의 최고치를 찍은 뒤 4월 8.3%로 다소 내려갔다가 시장 전망치를 상회하는 급등세로 다시 전환해 시장참여자들을 멘붕에 빠뜨려 버렸습니다.



로리 칼바시나 RBC캐피털마켓 미국주식전략 책임자는 CNBC방송에 "이날 수치는 이번 주 내내 투자자들이 이야기한 공포 중 일부를 확인시켜준 결과"라며 인플레이션에 대한 경고가 증시를 끌어내리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지난달 CPI 수치는 연준이 물가를 잡기 위해 더욱 매파(통화긴축 선호)적인 통화정책을 밀어붙일 것이라는 예상이 힘을 받고 있습니다.

 

5월에 이어 6월과 7월까지 3연속 '빅스텝'(한 번에 0.5%포인트 금리인상)을 예고한 연준이 오는 9월에는 잠시 금리인상을 쉬어갈 수도 있다는 희망섞인 관측이 일각에서 제기됐으나, 인플레이션 장기화를 시사한 이번 CPI 수치로 9월 이후에도 빅스텝을 이어갈 가능성이 오히려 높아졌습니다.



특히 시장에서는 연준이 내주 열리는 6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한 번에 0.75%포인트 올리는 '자이언트 스텝'까지 밟을 수 있다는 예상까지 힘을 얻고 있는데 연준은 지난 1994년 이후 한 번도 이처럼 급격한 금리인상을 단행한 적이 없습니다.



이에 따라 기준금리 동향에 가장 민감한 2년물 미 국채 금리가 전날 2.815%에서 하루 만에 3% 선을 돌파해 2008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으로 올랐는데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한 고통은 짧게 끝내는 것이 좋기 때문에 금리를 한꺼번에 올려 당국의 의지와 힘을 보여줘 기대인플레이션을 꺽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시중금리가 오르면서 금리에 부담을 느끼는 기술주들이 일제히 하락했는데 엔비디아는 6.0%, 아마존은 5.6%, 마이크로소프트(MS)는 4.5% 각각 급락했고, '대장주' 애플마저 3.9% 급락했습니다.



또 물가 급등으로 인한 향후 소비 지출 감소 가능성과 연준의 급격한 금리인상이 맞물려 경기침체를 초래할 수 있다는 염려도 증시에 악재로 작용했는데 실제로 이날 발표된 6월 미시간대 소비자태도지수 예비치는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이에 기술주뿐 아니라 은행주, 경기민감주, 소비주 등이 일제히 하락세를 보였는데 웰스파고가 6.1%, 보잉이 5.1% 각각 급락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미국 시장참여자들이 소비자물가지수(CPI) 지수 급등에 미 연준의 자이언트스텝 금리인상이 힘을 받을 것이라는 불안감에 점점 더 위축되고 있는 모습입니다

 

바닥을 모르는 하락세가 이어질 수 있어 쉽게 매수에 나서지 못해 매물이 매물을 부르는 급락장으로 빠져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이 길어지면서 양측이 소모전에 빠져들고 서방의 대리전 양상을 나타내면서 미국과 영국을 비롯한 서방각국의 전비 지출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미국은 유가안정을 위해 사우디에 화해 제스쳐를 보내고 있는데 사우디 언론인에 대한 사우디 왕가의 살인혐의에 미국과 사우디 관계가 급랭하면서 사우디의 탈서방 행보로 이번 국제유가 급등세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일 겁니다

 

미국 민주당도 국내 중간선거를 앞두고 국제유가를 잡아야 하기 때문에 급하게 사우디에 화해제스쳐를 보내고 있는 모습입니다

 

우리나라에 보수개신교에서 북한 인권을 운운하며 남북냉전을 부추기는 것들이 있는데 미국 민주당의 행보를 보고 그런 소리 하라고 말해 주고 싶습니다

 

결국 국내 보수개신교회도 종교팔이 장사하느라 북한인권을 이용할 뿐 진짜 인권의 고귀한 가치를 귀중히 여긴다면 우리나라 내부에 검찰특수부가 조국 가족에게 한 반인권수사에 대해 반대목소리를 내야 할 것입니다

 

선택적 인권을 주장하는 장삿속에 부끄러운 줄 알아야 할 것이며 이런 것에 놀아나는 맹신자들을 보면 한심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미국 민주당도 자국 이익을 위해 언론인을 잔인하게 살해한 사우디 왕실에 고개 숙이고 들어가는 상황이라는 현실을 직시하기 바랍니다

 

우리나라는 인플레이션과 함께 뉴라이트 정권인 윤석열 정부의 한반도 긴장 강화정책으로 외국인투자자들이 이탈하고 있어 이중고로 시장이 더 위축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투자자로써 합리적인 이성이 있다면 무엇이 투자자들의 이익인지 생각해 봐야 할 시점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