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뉴욕증시가 델타 변이 확산에도 기술주 상승에 힘입어 반등하는데 성공했습니다.
다음 주 잭슨홀 심포지엄을 앞두고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테이퍼링 시작 여부에 시선이 집중됐는데 20일(미 동부시간) 오전 9시48분 현재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25.96포인트(0.65%) 상승한 35,120.08에 장을 마감했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35.87포인트(0.81%) 오른 4,441.67을,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172.87포인트(1.19%) 상승한 14,714.66을 나타냈습니다.
주가지수는 전일까지 하락하면서 8월 상승폭의 대부분을 반납했지만 이날은 3대 지수가 모두 반등했는데 하지만 주간으로 보면 주가지수 레벨은 아직 지난주보다 낮은 수준입니다.
다우지수는 이번주 들어 지난주 금요일 종가보다 1% 정도 하락했고,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도 하락했는데 투자자들은 미 연준의 자산매입 축소(테이퍼링), 코로나19 확산, 기업 실적 등에 주목했습니다.
오는 26일부터 28일까지 잭슨홀 심포지엄이 열리는 만큼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테이퍼링 가능성에 투자자들의 시선이 집중돼 있는데 이번주 증시는 델타 변이 확산과 미 연준의 테이퍼링 우려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상승과 하락이 엇갈리는 변동성 장세를 보였는데 이날 크게 주목할 만한 경제지표 발표는 없었습니다.
다만, 델타 변이 확산이 연준의 테이퍼링 속도가 조정될 가능성도 제기되면서 위축됐던 투자심리가 다소 누그러졌는데 오전에 로버트 카플란 댈러스 연은 총재는 폭스비즈니스와의 인터뷰에서 델타 변이가 수요를 둔화시키고 GDP 성장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경우 빠른 테이퍼링을 요청한 의견을 조정할 수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그는 "가장 무시할 수 없는 것이 델타 바이러스의 경로"라며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까지 델타 변이를 자세히 살펴볼 것"이라고 말했는데 카플란 총재는 앞서 경제가 예상대로 전개된다면 9월에 테이퍼링 계획을 발표하고, 10월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습니다.
델타 변이 확산세는 여전히 증시의 리스크 요인으로 남아있는데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전일 기준 코로나19 확진자수는 14만3천827명으로 2주 전보다 44% 증가했고 일일 평균 사망자수는 911명으로 2주 전보다 108% 증가했습니다.
애플은 델타 변이 확산으로 사무실 복귀 시기를 내년 1월로 미룬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종목별로 보면 기술주 중심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는데 엔비디아는 5%대 상승했고, 마이크로소프트도 2%대 상승했고 애플과 알파벳A도 1%대 반등세를 보였습니다.
테슬라는 새로운 슈퍼컴퓨터용 칩을 공개하고, 사람과 유사한 모습을 한 로봇을 선보일 계획이라고 밝히면서 1% 정도 상승했습니다.
업종별로는 헬스, 산업재, 소재, 기술, 통신, 유틸리티, 에너지, 금융 관련주가 모두 상승했는데 특히 기술과 유틸리티 관련주가 각각 1.3%, 1.22%로 상승폭이 컸습니다.
미국이 코로나19 사태와 델타변이 바이러스 사태를 겪으면서 경제가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미국 기업들의 양호한 실적은 미FRB의 유동성흡수를 완충해 주는 시장내 유동성 공급자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증시 전문가들은 미 연준의 테이퍼링 결정에 주목하면서 미국 중앙은행인 FRB가 본격적인 통화긴축으로 정책 변화를 시작한 것으로 판단한 것 같습니다.
JP모건에셋매니지먼트의 휴 김버 글로벌 시장전략가는 "앞으로 몇 달 동안 매우 강하지만, 고르지 않은 글로벌 성장 시기를 볼 것"이라며 "정부의 반응은 세계 여러 곳에서 다르게 나타나지만, 인플레이션이 더 고질적인 것으로 판명되면, 연준이 얼마나 빨리 긴축을 해야 하는지를 바꿀 수 있다"고 말했는데 미FRB가 테이퍼링에 착수하는 것은 금리인상 시가가 멀지 않았다는 예고라고 볼 수 있습니다.
CIBC 프라이빗 웰스의 데이비드 도나베디안 CIO는 "이번주 미국 주식시장의 하락이 충격적인 것은 아니다"며 "사상 최고치에서 매우 완만한 후퇴"라고 말했는데 유동성잔치가 마지막 시세분출을 보여준 것으로 이후 차익실현 매물이 쏟아져 나오면서 시장은 전주보다 낮은 지수를 받아들게 된 것입니다.
시장참여자들 누구나가 미FRB가 테이퍼링에 들어가는 것이 시중 과잉 유동성을 빨아들여 인플레이션을 막으려는 조치라는 사실을 잘 알고 있고 그 다음 수순이 금리인상이라는 사실 또한 알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과잉 유동성이 만들어낸 유동성잔치의 끝에서 최고점에서 차익실현하고 빠져 나오려면 그 버블이 낀 가격에서 받아줄 멍청이들이 필요했고 이번에도 도 개인투자자들이 불나방처럼 화려한 유동성 잔치 끝에 뛰어들어 기관투자자들이 던지는 매물을 상투에 잡아 준 것입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은 내년 3월 25bp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5.7%로 반영했으며 50bp 인상 가능성도 0.1%로 반영했고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에서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3.11포인트(14.35%) 하락한 18.56에 거래됐습니다.
미국시장의 변화는 신흥국시장에도 여파를 갖고 왔는데 외호나거래가 자유로운 우리 증시에서도 외국인투자자들의 대량매물을 불러오고 있습니다
유동성 잔치가 끝나가고 있다는 사실을 이제는 모두가 다 인정할 수 밖에 없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GM 쉐보레 볼트EV LG화학 전기차 배터리 추가 리콜 선언 LG전자와 LG화학 추가 손실 불가피 (0) | 2021.08.21 |
---|---|
크래프톤 2분기 실적발표 어닝 서프라이즈 공모가 회복 기대감 (0) | 2021.08.21 |
원달러환율 장중 1,180원 돌파 외국인 달러 매수세에 원화약세 달러강세 현상 (0) | 2021.08.20 |
KTB네트워크 기업공개(IPO) 앞두고 원티드랩 차익실현 (0) | 2021.08.20 |
F&F홀딩스 현물출자 유상증자 성공 F&F 주식 1조규모 확보 상한가 (0) | 2021.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