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LG전자가 '로봇프로세스자동화(RPA)' 기술 적용을 확대하며 디지털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LG전자는 올 연말 기준 RPA 도입 건수가 950개에 이른다고 14일 밝혔는데 RPA는 사람이 처리해야 하는 반복적이고 정형화된 업무를 로봇 소프트웨어로 자동화하는 기술로 950개의 RPA가 처리하는 업무량은 사람의 업무량으로 환산하면 월 2만 시간이 넘게 됩니다.

LG전자는 직원들이 보다 가치 있는 일에 집중하면서 업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지난 2018년부터 최근까지 회계, 인사, 영업, 마케팅, 구매 등 사무직 분야에 RPA를 도입해왔는데 올해 RPA를 도입한 업무는 500개로, 지난해(240개) 대비 두 배 이상입니다.

특히 올해는 RPA를 적용할 수 있는 업무영역을 넓혔는데 올해부터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을 결합한 '지능형 RPA', 이미지에서 필요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인공지능 이미지 인식 기술' 등을 추가로 도입한 데 따른 것으로 지능형 RPA는 단순, 반복 업무 외에도 비교, 분석 등 한층 고차원적인 업무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LG전자는 국내는 물론 해외법인 직원들에게도 정기적으로 뉴스레터를 발송해 RPA 활용사례를 공유하며 스마트하게 일하는 문화를 전파하고 있는데 해외법인이 도입한 RPA는 지난해 159개에서 올해 322개로 크게 늘었습니다.

VS(전장부품)사업본부는 생산하는 제품에 고객사가 허용하지 않는 화학물질이 있는지 비교, 점검하는 과정을 RPA를 활용하고 직원이 일일이 비교하지 않고도 정확하고 편리하게 해당 물질의 사용 여부를 점검할 수 있습니다.

직원들은 번거롭게 회사 시스템을 찾지 않아도 사내 메신저를 통해 손쉽게 RPA에 업무 처리를 맡길 수 있는데 해외에 물품을 배송하기 위해 선사를 지정해야 할 때 메신저로 간단히 주문번호, 선사, 하역항 등의 정보를 전송하면 RPA가 시스템에 접속해 정보를 입력하고 결과를 알려줍니다.

LG전자 관계자는 "단순 업무를 줄여 고객에게 보다 가치 있는 일에 집중할 수 있도록 RPA를 지속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LG그룹이 2018년 인수한 아크릴, 보사노라로보틱스, 로보스타의 활용도를 높여 로봇산업이 우리 실생활에 한발 더 나가갈 수 있도록 투자를 늘리고 있습니다

현대기아차그룹도 보스톤다이내믹스를 10억달러에 인수하여 로봇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는데 우리 재벌대기업들이 제조업을 기반산업으로 갖고 있어 로봇을 활용할 경우 대규모 인건비를 줄일 수 있는 잇점이 있습니다

국내 유수의 재벌대기업이 로봇 산업에 본격적으로 투자하고 있는 것은 제조업 기반의 저효율 단순노동직과 고비용 사무직의 로봇노동 대체를 위한 투자로 재벌대기업을 중심으로 협동로봇의 개념이 일자리를 놓고 로봇과 인간과 경쟁하는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는 사실을 예견케 합니다

선진국에서 도입을 논의하고 있는 로봇세에 대해 우리 사회도 논의를 시작할 단계에 접어드는 것 같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로봇관련주

유진로봇

로보스타

로보티즈

로보로보

티로보틱스

티라유텍

알에스오토메이션

휴림로봇(구,디에스티로봇)

에스피지

에스피시스템즈

제우스

씨유메디칼

큐렉소

미래컴퍼니

고영

TPC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