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방송인 김어준이 이낙연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측의 경선 불복이 정치적·법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의견을 내놨는데 김어준씨는 11일 TBS 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서 “이 사안을 정치적 관점이 아니라 오로지 법률적 관점에서 한 번 짚어 보겠다”며 “정치적으론 불가능하고 법률적으론 매우 어렵다”고 주장했습니다.

 

드는 또 “16대, 18대 대선에서도 마찬가지 주장이 나왔다”며 “(당시) 당무 회의 때는 이미 똑같은 결론을 내렸고 이번 당무회의 때도 똑같은 결론을 내렸다. 최종 결과가 박빙이니까 이걸 가지고 다시 한번 이의 제기를 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민주당 경선 전에 이 룰과 관한 이의 제기가 있고 그걸 후보들이 다 합의해 이 조항을 바꿨다면 달리 해석할 수 있다”며 “경선 출발하고 나서 나온 이야기라서 이젠 결과가 뒤바뀔 것 같진 않은데 그러면 이제 정치적 선택이 남은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김씨는 “제가 정치적으로 판단해보자면 여기서 뒤집어서 다시 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강조했고 또 이날 방송에 출연한 양지열 변호사의 ‘법원에 가처분 신청도 할 수 있다’는 의견에는 “할 수 있는데 법원에서도 이걸 뒤집기는 어렵다. 현재까지는 그렇게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또 “(경선 도중에)이의제기를 2번인가 3번 했다. 그런데 모든 정당의 경선이 경선 중간에 룰을 바꾸는 법은 없다”며 “어떤 당도 마찬가지다. 민주당뿐만 아니라 경선 중간에 특정 후보가 불리하다고 바꾸자면 누가 바꾸냐. 전 세계 어디도 바꿔주면 안 되는 것이고 이게 정말 하자가 있었으면 시작 전에 바꿨어야 한다”고 했습니다.

 

김씨는 이상민 민주당 선관위원장의 발언도 문제 삼았는데 이 선관위원장은 “규정 자체가 논란의 소지가 있는 건 맞고, 바꿀 필요성이 있다”고 언급한 바 있습니다.

 

김씨는 이에 대해 “그 말씀은 선관위원장으론 하지 말았어야 할 발언”이라며 “그건 법률 전문가로서 할 수 있는 말이다. 선관위원장은 선거 관리만 하시면 되는데 유권 해석에 대한 발언을 하신 것이다. (법원 가처분 신청에 대한) 빌미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낙연 캠프는 전날 저녁 “당 대선후보 경선 무효표 처리에 대한 이의제기서를 규정된 절차에 따라 11일 당 선관위에 공식 제출키로 했다”고 밝혔고 이 전 대표 측은 경선 도중 사퇴한 정세균 전 국무총리와 김두관 의원의 득표가 모두 무효표 처리된 데 대해 반발해왔습니다.

 

이낙연 후보는 애초에 경선전의 여론조사에서도 민주당 대선후보로 어려웠고 이미 연초에 이명박과 박근혜 전 대통령 사면을 꺼내들었을 때 민주당 지지자들에 의해 이미 대선후보로 낙제점을 받은 상태입니다

 

이번 경선에서 2등을 한 후보가 경선불복을 꺼내들고 나온 것으로 그것도 두자릿수 지지율 차이에도 불구하고 이런 결과를 꺼내든 것은 3차 슈퍼위크에서 지지율이 크게 오른 것으로 나왔기 때문인데 기존 흐름과 크게 튄 결과를 놓고 본다면 다분히 일반적이지 않은 보이지 않은 손의 작용을 의심해 볼 수 밖에 없습니다

 

이런 결과로 인해 이낙연 후보는 탈당에 대한 명분도 쌓았고 호남신당과 같은 여권분열에 큰 공을 세울 수 있는 것으로 정권교체를 위해 부정부패 세력들이 공을 꽤 들인 공작이 아닌가 의구심이 듭니다

 

정치인으로 다수결의 결과를 승복하지 않고 판을 깨는 것은 정치생명을 걸어야 가능한 것인데 지금 이낙연 후보가 하고 있는 것은 바로 그런 일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3차 슈퍼위크의 결과가 크게 튄 것을 분석해 봐야 하는데 여기에 참여한 사람들이 정상적인 유권자인지 아니면 돈에 의해 만들어진 공작의 결과인지 분석해 봐야 할 문제라고 생각되는데 기존의 흐름과는 크게 동떨어진 결과라는데는 이의가 없을 겁니다

 

이낙연 후보가 아주 안 좋은 선례를 만들었고 이는 현 여권이 호남신당과 서울경기 등 도시지역 진보인사들로 나눠지는 것으로 여기다 정의당 지지율까지 포함되면 진보쪽은 분열하고 야권은 국민의힘 단일 후보로 뭉쳐 3대 1의 싸움이 되기 때문에 부정부패한 세력은 5년만에 단 30%의 지지율로 대권을 다시 잡을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 것입니다

 

이낙연 후보측이 이를 모를 리 없는데도 이런 분란을 일으키는 것은 애초에 대선승리를 통해 정권연장에 뜻이 있다기 보다는 모 아니면 도라는 식으로 민주세력의 공망을 노리고 다른 반대급부를 노리는 것이 아닌가 의구심이 듭니다

 

애초에 동아일보 기사 출신으로 태생 자체가 부정부패 세력들과 뿌리를 같이 하는 사람을 저리 키워주는 것이 아니었다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보수언론들은 이낙연 후보의 경선불복을 확대보도하면서 신이난 모습인데 보수유투버의 "사사오입"같은 헛소리들을 근거로 보수언론의 왜곡보도에 댓글들이 줄줄이 달리고 있는데 수준낮은 댓글들을 보면 이들이 얼마나 흥분하고 신이 났는지 알 수 있는 것 같습니다

 

결국 우리나라는 필리핀과 아르헨티나로 갈 가능성이 커 진 상황인데 우리나라가 더 좋은 나라가 되기 위한 성장통이 아니라 사리사욕을 챙기기에 눈이 먼 정치인들과 부정부패 세력들에 의해 나라의 미래가 걱정스러누 것 같습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문재인 정부가 이뤄놓은 모든 것을 부정부패 세력이 집권한다면 다시 과거로 회귀시키는 보수반동의 시대를 경험하게 될 수 있습니다

 

이명박과 박근혜 정부의 헬조선을 젊은 친구들이 경험하고도 선택적 정의와 공정을 이야기 할 수 있을 지 우려되는 상황이기도 합니다

 

Again 1987 전략이 21세기에 20대 대통령 선거에 다시 부활하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