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쿠팡의 뉴욕증시 상장에 국내 창업투자회사(이하 창투사) 주가가 치솟고 있는데 '포스트 쿠팡'을 발굴한 창투사는 '대박'을 칠 것이란 기대감 때문입니다.

그러나 지분 투자를 하는 창투사의 경우 지분율 만큼 수익이 제한적일 수 있기 때문에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고 또 상장 전후 주가 변동성도 조심해야 합니다.

2일오후 2시 26분 아주IB투자는 전 거래일 대비 800원(12.23%) 급등한 7340원에 거래되며 장중 역대 최고가 7680원을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대성창투도 930원(21.78%) 뛴 5200원에 거래되고 있고 DSC인베스트먼트는 24.62% 뛴 7310원에 거래 되고 있습니다.

이외 SBI인베스트먼트(5.92%), TS인베스트먼트(29.86%), 린드먼아시아(14.13%), 큐캐피탈(2.71%) 등도 큰 폭으로 상승했습니다. 스틱인베스트먼트를 자회사로 거느리고 있는 디피씨도 4.67% 급등했습니다.

이들 창투사 주가가 크게 오른 이유는 쿠팡의 성공적인 뉴욕증시 상장 이후 유니콘 기업들의 미국 증시 상장 추진 소식과 비트코인 사상 최고가 경신이 재료가 되고 있습니다

쿠팡은 지난 달 11일(현지시간) NYSE(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했는데 공모가 35달러로 시가총액 600억달러(약 68조원)로 데뷔했고 상장 규모는 1억3000만주, 45억5000만달러에 달합니다.

쿠팡의 뉴욕증시 상장으로 주요 투자자인 일본 소프트뱅크는 큰 수익을 거뒀는데 미실현 이익 규모만 160억달러 규모로 추산됩니다.

상한가를 기록한 아주IB투자는 연내 IPO(기업공개)를 추진 중인 야놀자에 투자하고 있는데 올 하반기 IPO(기업공개) 대어인 게임 개발사 크래프톤에도 투자했고 대성창투도 크래프톤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DSC인베스트먼트는 최근 미국 나스닥 상장 계획을 밝힌 마켓컬리 운용사 컬리에 투자하고 있고 스틱인베스트먼트는 동남아 최대 카쉐어링 업체 그랩에 투자 중이며 그랩은 나스닥 상장을 추진 중입니다.

최근 IPO 흥행 사례도 창투사 투자를 이끌고 있는데 지난주 진행된 SK바이오사이언스 일반공모 청약에 약 64조원의 청약 증거금이 몰려 역대 최대를 기록하고 기관 수요예측도 치열해 1000 대 1를 넘어 공모가까지 희망밴드를 뚫는 사례가 빈번하게 나오고 있습니다.

그러나 창투사 투자는 주의가 필요한데 지분 투자를 하는 창투사 특성상 상장으로 인한 수익도 그만큼 제한될 수 밖에 없고 지분율을 살펴야 합니다.

아주IB투자와 TS인베스트먼트의 경우 크래프톤 주요 주주(지분율 5% 이상)에 이름을 올리지 못하고 있고 DSC인베스트먼트 역시 컬리의 주요 주주가 아닙니다.

지난해 빅히트에 투자했다는 이유로 급등했던 디피씨 역시 마찬가지로 당시 디피씨는 자회사인 스틱인베스트먼트를 통해 빅히트를 투자하고 있다는 사실에 빅히트 IPO 전 주가가 급등했는데 당시 디피씨 주가는 2만1900원까지 뛰었습니다.

그러나 실제 디피시의 투자 구조를 살펴보면 이 같은 투자 열기는 의문인데 스틱인베스트먼트는 스틱스페셜시츄에이션 사모펀드를 조성해 빅히트 주식 21만6430주에 투자했고 지분율 12.2%로 해당 사모펀드의 스틱인베스트먼트 지분율은 2.01%였고 실제 디피씨에 돌아가는 수익은 거의 없습니다.

이후 디피씨 주가는 곤두박질치며 지난해 연말 1만원 아래까지 떨어졌습니다.

최근에는 가상화폐거래소 업비트가 미국증시 상장을 추진한다는 소리에 더 매수세가 몰리고 있는데 발행시장이 유통시장에 후행하는 시장 특성 상 창투사들의 급등은 이미 예견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자기자본으로 투자한 경우는 수익을 창투사가 그대로 인식할 수 있지만 투자조합을 통해 투자한 경우 수익 인식이 제한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할 것입니다

그럼에도 최근의 창투사 주가 급등은 투자기업의 EXIT구조가 다양하게 나올 수 있어 리스크가 그 만큼 헷지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벤처캐피탈(VC)

컴퍼니케이

나우아이비캐피탈

미래에셋벤처투자

SV인베스트먼트

아주IB투자

린드먼아시아

솔본(솔본인베스트먼트)

DSC인베스트먼트

TS인베스트먼트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

우리기술투자

대성창투

SBI인베스트먼트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