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생산하고 있는 제약사 중 하나인 미국 모더나가 빈곤국에 대한 공급을 소홀히 하면서도 그마저도 비싼 가격에 팔고 있다는 보도가 나와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10일(현지시간) 전 세계 코로나19 백신 출하 현황을 추적하는 데이터 업체인 에어피니티의 자료를 인용, 이같이 주장했습니다.

 


NYT에 따르면 세계은행은 저소득국가로 분류한 국가들에 얀센 2500만회분, 화이자 840만회분의 백신을 수출했는데 그러나 모더나는 90만회분에 그쳤고 특히 모더나는 개별 구매 계약 정보가 공개된 23개국 중 저소득국은 전혀 없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또한 모더나는 지난 5월 세계보건기구(WHO)가 주도하는 백신 공동구매 프로젝트 코백스(COVAX)에 올해 안에 최대 3400만회분의 백신을 공급하는데 합의했지만 아직까지 단 1회분도 공급하지 않았다고 NYT는 지적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모더나는 부자나라에 오히려 더 싼 가격에 공급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모더나는 미국에는 1회분에 15~16.50달러, 유럽 연합에는 22.6~25.5달러에 판매한 반면 보츠와나, 콜롬비아, 태국은 27~30달러에 팔았습니다.

 


NYT는 모더나가 지난해 백신 연구와 임상시험 과정에서 연방정부로부터 13억달러(1조5000억원)의 거액을 지원 받았지만 글로벌 백신 공급 노력을 외면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톰 프리든 전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국장은 NYT에 "그들(모더나)은 투자 수익 극대화 외에는 아무런 책임이 전혀 없는 것처럼 행동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이같은 비판이 잇따르자 모더나는 백신 생산량을 늘려 저소득 국가에 10억 회분을 공급하고 아프리카에 백신 공장을 세우겠다는 대책을 뒤늦게 내놨습니다.

 


스테판 방셀 모더나 최고경영자(CEO)는 "모더나 백신이 가난한 나라 사람들에게 많이 공급되지 못하는 것이 가슴 아프다"라면서도 "회사가 통제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라고 주장했습니다.

 

미국 모더나가 코로나19백신 외에는 대부분 신약을 개발하던 임상 단계의 회사라는 점에서 백신공급이 초기에 원활하지 못한 것은 이해가 되지만 지난 해 미국정부로부터 선주문으로 13억달러(1조5000억원)의 지원을 받으며 생산에 나선 이래로 꾸준히 생산량을 늘리며 수익율 극대화를 추진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그 부도덕함을 비난받아 마땅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코로나19 위기라는 인류의 큰 시련 앞에 장사속만 드러낸 꼴로 백신이 없어 코로나19에 감염되어 희생된 가족들의 슬픔과 남겨진 아이들의 불안한 미래에 대해 양심의 가책을 느껴야 할 것입니다

 

우리나라 바이오기업에 백신 위탁생산을 질질끌지 않고 조기에 결정했다면 공급부족 문제는 애초에 발생하지도 않았을 문제였는데 결국 내년도 EU공급 가격 인상 이후에야 위탁생산을 하겠다고 나선 것은 끝까지 수익극대화에만 혈안이 된 모습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런 모습에서 화이자도 다를 바 없어 보이는데 인류의 위기 앞에 장삿속만 드러내는 미국 제약사들의 모습에서 인간에 대한 실망감을 느낄 수 밖에 없어 보입니다

 

우리 스스로가 백신도 치료제도 개발해 낼 능력이 없었다면 저런 비열한 행위에 우리 또한 희생자가 될 뻔 했다는 사실에 아찔할 따름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