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대한항공이 국산 소형 위성 발사체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부품 개발에 나섭니다.

대한항공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한 '스페이스파이오니어'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소형 발사체용 공통격벽 추진제 탱크 프로젝트'에 착수했습니다.

스페이스파이오니어는 우주 부품 해외 의존도를 낮추고 국내 우주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2030년까지 총 2천115억원이 투입되는 과기정통부 주도의 사업입니다.

공통격벽 추진제 탱크는 기존 발사체의 연료탱크와 산화제 탱크를 첨단 용접 및 단열기술을 통해 하나로 만든 탱크로 발사체 부품 숫자를 줄이고 구조를 단순화해 무게가 기존 탱크 대비 30% 감소하고,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

대한항공은 500㎏급 중·소형 위성이나 '초소형 군집위성'을 지구 저궤도에 올리는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대한항공은 320억원을 투입해 2026년까지 소형 발사체용 공통격벽 추진제 탱크 개발을 완료할 계획이고 이를 위해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 엔디티엔지니어링, 한국항공대 등과 산학연 컨소시엄도 구성했습니다.

대한항공, 항우연 연구원 등은 전날 공통격벽 추진제 탱크 개발 착수 회의를 열고 사업 개발 방향, 향후 일정, 협력 범위 등을 논의했습니다.

대한항공은 프로젝트에서 품질 보증 체계 관리와 인증을 위한 시험 평가 부문 총괄을 담당하고, 개발이 완료된 공통격벽 추진제 탱크는 대한항공과 항우연이 개발 예정인 500㎏급 소형 발사체에 탑재됩니다.

소형 발사체 글로벌 시장은 폭발적인 성장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스페이스엑스'(SpaceX)는 현재 400kg급 위성 1천여기를 발사했고, 향후 최대 1만2천기를 추가로 발사할 예정인데 아마존, 페이스북 등 글로벌 정보기술(IT)기업들도 수백기의 중소형 위성 발사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대한항공은 2012년 우리나라 최초 우주 발사체인 나로호(KSLV-Ⅰ) 개발과 총조립 사업을 수행한 바 있습니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나로호와 무인 항공기 개발 기술력을 바탕으로 뉴스페이스(민간 주도 우수 산업) 선도 기업으로 발돋움할 것"이라며 "우리나라 우주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습니다.

대한항공이 우주항공 산업에 지속적으로 투자를 늘리며 미래성장동력으로 키우고 있는데 현재의 궁색한 주력사업의 부진에도 미래 먹거리에 대한 투자는 게을리 하지 않고 있습니다

우주산업이 당장 수익이 나는 사업은 아니지만 장기적으로 수익화가 가능한 수준으로 시장규모가 커지고 있어 국내 민간기업들도 투자를 늘리고 있습니다

한화그룹과 한진그룹이 관련 사업을 갖고 있다는 이유만으로 먼저 투자를 하고 있는데 우리 정부도 우주항공산업의 육성을 위해 재정집행을 늘릴 태세를 보이고 있어 대기업들이 뛰어드는 것이 당연해 보입니다

국가정책의 수혜를 받을 가능성이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