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youtu.be/psQ8Ub6cVGg?si=SRvNaR1bL6b59jCa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반도체 수요가 살아나면서 반도체 수출도 급증하고 있습니다

 

2024년 2월  우리 수출 실적은 4.8% 증가하고, 무역수지도 9개월 연속 흑자를 달성했는데 대중 무역수지는 17개월 만에 흑자로 전환했고, 대미 수출은 역대 월 기준 최대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2024년 2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수출은 1년 전보다 4.8% 증가한 524억1000만 달러(70조460억원)를 기록했습니다.



수출 실적은 지난해 10월 13개월 만에 증가로 돌아선 이후 5개월 연속 플러스를 지속했는데 지난달에는 9일부터 12일까지 설 연휴로 인해 국내 조업일수가 부족하고, 10일부터 17일까지는 춘절로 중국 수입 수요가 줄어든 계절적 요인에도 플러스 기조를 이어갔습니다.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액은 25억6000만 달러(약 3조4214억원)로 전년 동월(22억7000만 달러) 대비 두자릿수 증가율(12.5%)을 보였는데 지난 해가 워낙 부진해 기조효과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반도체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66.7% 증가한 99억 달러(약 13조2313억원)로 반도체 수출도 4개월 연속 플러스를 이어가고 있는데 미국향 인공지능 AI 반도체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데 클라우드 서버용 반도체 수요가 늘고 있는 것으로 낸드와 D램 가격 회복도 한 몫하고 있습니다

 

중국 무역수지가 2022년 9월 이후 17개월 만에 2억4000만 달러 흑자 전환했는데 중국 춘절 연휴에도 불구하고 중국 경제가 회복세를 나타내고 국내 경기는 침체로 빠져들면서 수출은 늘고 수입은 주는 양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대 미국 수출은 9.0% 증가하며 월 기준 역대 최대 수출실적인 98억 달러를 기록했는데 이는 7개월 연속 증가세로, 대 중국 수출(96억5000만 달러)를 넘어선 수치로 미국의 공급망 재편에 따라 미국 내 공장을 짓는 한국기업들이 늘면서 미국 내 공장에 부품을 수출하는 기업들이 늘었기 때문입니다

 

대미 수출증가는 미국산 무기 수입 급증으로 무역수지로는 남는게 없는 장사로 계륵과 다를 바 없는 것으로 최근의 수출 증가는 우리 공장이 미국으로 이전하며 일자리 마져 미국인에게 빼앗기는 구조라 그리 달가운 증가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우리 아이들의 일자리를 미국인들에게 빼앗기고 늘어난 수익은 공장을 소유한 재벌과 소수의 오너들에게 이익이 집중되기 때문에 국가적으로는 별로 반길 사안은 아닙니다

 

특히 미국정부의 반도체과학법Chips에 따라 미국 내 반도체 수익은 최댜 80% 이상을 미국 정부에 반해야 하기 때문에 남는게 없는 장사라는 말이 나오고 있습니다

 

지난달 수입은 13.1% 줄어 481억1000만 달러(64조2990억원)를 나타났는데 겨울철 난방 감소에  에너지 수입이 21.2% 감소한 영향으로 원유는 0.9% 소폭 늘었지만 가스(48.6%), 석탄(17.3%) 순으로 줄었습니다.

 

우리나라 산업구조 상 수입이 줄어들면 이를 가공무역하는 수출도 함께 줄기 때문에 에너지 수입 감소분을 제외하고도 수입의 급감이 우려스런 부분이 있습니다

 

특히 중국 경제가 회복세를 나타내면서 대중국 무역수지가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지만 대체가 불가능한 첨단기술에 관련된 수출만 유지되고 있을 뿐 대체가능한 수출품은 급속도로 중국 업체들이 수입다변화에 수출실적이 급감하고 있습니다

 

중국기업들이 우리나라에서 수입하던 품목들을 일본과 여타 다른 나라로 돌리고 있어 대중국 무역수지는 급감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예전에 중국과 홍콩을 합쳐 매년 약 600억 달러의 무역수지를 보았는데 지금 같은 추세면 올 해 대중국 무역수지는 중국경제가 회복세를 나타낸다고 해도 수십억 달러 수준에 머물 것으로 예상됩니다

 

무역수지흑자를 내고 있다곤 하지만 수출과 수입 모두 외형이 쪼그라들고 있는 불황형 흑자를 기록하고 있어 지속되기는 어려운 모양새입니다

 

통계수치의 내면에 절대수치를 일일이 확인하며 그나마 나아지고 있는 부분에서 실적호전주를 찾아야 합니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월 수출동향을 발표하면서 비로소 정상궤도에 진입했다고 말하느 건 지난 2년여 동안 수출이 비정상적으로 줄었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으로 동네바보의 슈퍼맨 놀이에 우리 기업들이 지난 30여년 잘 키워온 중국과 러시아 같은 북방 시장을 고스란히 일본기업과 중국기업에 상납해 온 것을 간접적으로 인정한 것이나 마찬가지라는 생각마져 듭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 240301_수출입과_24년_3월_수출입_동향.pdf
2.35MB

https://youtu.be/RuGggxiaouE?si=M4zbNIWN9RreDqfr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ECxboRd42w

안녕하세요

코로나19팬데믹 이후 처음으로 팀쿡 애플 CEO가 중국을 방문합니다

 

팀쿡 CEO는 미국과 중국의 무역·지정학적 긴장이 고조되는 상황 속에서도 이날 베이징에서 열린 중국발전고위급포럼(CDF)에 참석해 애플과 중국은 '공생관계'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중국과 애플은 지난 30년간 함께 성장해왔다”며 “이는 양측이 모두 이점을 누려온 공생적 관계였다”고 역설했고 또 “중국 농촌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지출을 1억 위안(약 189억 원)으로 늘리겠다”고 전했습니다.



팀쿡 CEO는 중국의 기술 발전에 대해 “혁신이 빠르게 진행돼왔으며, 앞으로 더 빨라질 것으로 믿는다”고 평가했는데 그러면서 “최근 인공지능(AI)과 증강현실(AR)의 발전을 고려할 때 기술 남용이 우려된다”며 “급변하는 세상에서 중국 아이들이 프로그래밍과 함께 비판적 사고 능력을 기를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팀쿡CEO는 주요 임원들과 함께 베이징에 있는 애플스토어를 방문하기도 했고중국 고위 관료들과 회동하기도 했습니다

 

미중패권전쟁이 심화되면서 미국 기업들의 중국 거리두기가 나타나고 있지만애플은 중국이 가장 큰 시장이라는 점에서 거리낌 없이 행동하고 있는데 미국 최대 기업의 수장이 미국 정부의 잠재적 적국이라는 중국 지도부와 회동한 것은 정치와 경제를 분리해서 처리하는 정경분리 원칙을 잘 보여준 사례라 할 수 있습니다

 

애플은 최근 몇 년 동안 미·중 무역 전쟁과 중국의 고강도 코로나19 방역 정책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는데 애플 공급업체인 폭스콘은 중국에서 세계 최대 아이폰 공장을 운영하고 있어 작년 중국 당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에 따른 근로자 이탈과 시위로 큰 생산차질을 빚었고 이러한 상황 속에서 애플은 일부 생산 시설을 인도 등 중국 이외의 지역으로 이전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애플에게 있어 중국과 홍콩 그리고 중화문화권에서 전체 매출의 약 20%를 차지하고 있고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시장이라 이를 포기할 수 없기에 팀쿡CEO가 미중패권전쟁 와중에 중국을 찾게 된 것입니다

 

애플은 2015년 이후 매년 400억 달러 이상의 매출을 중화권에서 달성하고 있고 지난 해 중화권 매출액이 약 75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하기도 했습니다

 

여기에 비해 윤석열 정부는 어줍잖은 혐중론에 매몰되어 윤석열 취임 초기 NATO정상회담을 가는 길에 대통령 경제수석을 통해 "탈중국선언"을 공식화해 중국의 무역규제를 초래해 매년 약 600억 달러의 무역수지 흑자를 보던 시장에서 무역적자로 돌아서는 상황을 만들고 말았습니다

 

당장 우리나라 기업들이 수출했던 시장은 고스란히 일본과 대만 기업들의 차지가 되어버려 윤석열의 섣부른 탈중국선언이 우리 국익에 막대한 손해를 가져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미국 조바이든 정부의 인플레이션감축법IRA과 반도체지원법Chips로 인해 우리나라 자동차와 반도체가 큰 피해를 입고 있지만 미국 기업들은 거리낌 없이 중국에서 수익을 챙겨가고 있는 모습입니다

 

통상의 문제는 정부가 나서야 할 문제이지만 혐중론에 빠져 있는 멍청한 윤석열 정부의 통상관련고위관료들은 제 역할을 하지 못하면서 우리 세금으로 호의호식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우리 국익을 져버리고 혐중론을 현실화해서 얻는 것이 도데체 뭔지 생각이란 걸 좀 했으면 좋겠습니다

 

아무리 강대국의 힘의 논리라고 하지만 우리나라가 일방적으로 미국편을 들지 않고 정경분리 원칙에 입각해 원칙적인 정책을 펼쳐 나갔다면 지금과 같은 일방적인 손해는 발생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윤석열 정부가 우리 기업들에게 이익을 가져다 주지는 못하면서 우리의 제2의 내수시장이었던 중국시장을 일본기업과 대만기업에 다 빼앗기고 말 것 같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t2_v1qSMC_M

안녕하세요

2023년 1월 20일까지 무역적자 규모가 100억원대가 발생해 위기감을 불러오고 있습니다

 

21일 관세청에 따르면 1월 1~20일 수출액(통관기준 잠정치)은 336억2천100만달러(한화 약 41조5천219억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했을 때 2.7% 줄었습니다.

 

수입은 438억8천500만달러(약 54조1천979억원)로 전년 동기 대비 9.3%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고 무역수지는 102억6천300만달러(12조6천748억원) 적자로 나타났습니다.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액은 8.8% 줄었는데 조업일수는 16일로 전년 동기(15일) 대비 하루 더 많았습니다.

 

품목별로 보면 가전제품 수출액은 1년 전보다 47.5% 줄어 감소폭이 가장 컸고 이어 ▲컴퓨터 주변기기(-44.9%) ▲반도체(-34.1%) ▲철강제품(-11.2%) ▲정밀기기(-9.9%) 순으로 나타났고 반면 ▲선박(116.3%) ▲승용차(45.7%) ▲무선통신기기(19.7%) ▲석유제품(18.8%) 등은 수출이 늘었습니다.

 

국가별로는 최대 교역국인 중국에 대한 수출이 24.4% 감소했고 베트남과 대만에 대한 수출이 각각 13.3%, 27.5% 줄어든 반면 ▲미국(18.1%) ▲유럽연합(16.7%) ▲일본(3.3%) 등에 대한 수출액은 증가했습니다.

 

석탄 수입액이 전년 동기 대비 40.5% 증가한 것으로 집계돼 가장 컸고 이어 ▲가스(14.1%) ▲석유제품(12.2%) ▲기계류(11.9%) ▲원유(11.3%) 등의 순으로 수입액이 많았습니다.

 

수입국별로는 ▲호주(23.3%) ▲유럽연합(14.3%) ▲미국(10.1%) ▲중국(9.7%) 등은 늘고 일본(-7.3%), 대만(-3.3%) 등은 줄었습니다

 

중국과 홍콩에서 매년 600억 달러 규모의 무역수지 흑자를 보던 것이 윤석열 정부들어 중국의 무역수지가 확 줄어든 것이 무역수지 적자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국제유가의 가격 급등을 변명으로 들기에는 국제유가가 상대적으로 안정세를 보이고 있어 중국에 대한 무역수지가 안타까울 수 밖에 없어 보입니다

 

여기다 반도체 시장에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실적이 악화된 것이 뼈아플 수 밖에 없는데 이게 중국으로 수출되는 반도체가 급감한 것이 주요한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중국정부가 제로코로나정책을 폐기하고 위드코로나로 전환하는 데 있어 아직 공장가동율이 올라가지 못하고 있어 반도체 수출이 좀처럼 살아나지 않고 있습니다

 

이런 정도로 무역수지 감소가 이어진다면 올 해 상반기 중에 외환보유고 4000억 달러가 무너질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외국인투자자들의 움직임과 환율에 대해 보다 세심한 주의가 필요해 보여 설 연휴 이후 원달러환율 움직임에 주의해야 할 시기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E_a36A8VYkQ

안녕하세요

지난달 무역수지가 46억69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하며 넉달 연속 무역적자 행진을 이어가고 있는데 넉달 연속 무역수지 적자 기록은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이후 14년 만에 처음입니다.

 

한국 무역의 버팀목 역할을 해주던 대(對) 중국 무역수지도 30년만에 3개월 연속 적자를 기록했는데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 확산 및 석유 등 에너지원 가격 급등으로 올해 연간 기준 무역적자를 기록도 확실시 되고 있습니다.

 

중국과 홍콩을 통해 많을 때 약 600억 달러 규모의 무역수지를 거둬왔는데 중국의 제로코로나정책으로 공장가동률이 떨어지면서 우리나라로부터 수입해 가던 중간재와 모듈의 수입량이 급감했기 때문입니다

 

여기다 석유와 천연가스의 수입량이 급증하고 비용도 늘면서 무역수지는 대규모 적자가 불가피해 지고 있습니다

 

석유제품의 경우 국내 소비량도 있지만 재가공을 통해 해외수출이 되는 부분도 있는데 석유수입량 급증은 2개월여의 시차를 두고 석유류제품수출로 연결될 수 있는 긍정적인 부분도 있습니다

 

하지만 중국이 제로코로나정책을 포기하고 공장재가동에 나서지 않는 한 우리의 모듈과 중간재 수입이 다시 정상화되지 않을 것으로 보여 우려가 늘고 있습니다

 

단순소비재의 경우 중국내 악화된 혐한론으로 중국소비재의 수출둔화는 중국사드보복 때부터 일상화되어 왔기에 피해가 덜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한한령이 완전해제되면 다시금 중국소비주들이 살아날 것이라는 희망이 또 다음으로 연기될 것 같습니다

 

그 사이 중국의 소비재 생산능력이 향상되어 "마데인 차이나"제품의 경쟁력이 높아지고 있어 중국 내수시장에서 우리나라 소비재의 경쟁력이 나날이 약화되고 있는 점은 우려가 아닐 수 없습니다

 

여기다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이 NATO정상회담에 참석해 대놓고 탈중국 운운한 것은 중국관료들에게 우리나라기업들이 눈 밖에 아는 결과를 가져오고 있어 눈에 안 보이는 무역장벽이 더 높이 쌓여지게 될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 기업들이 중국소비재 시장에서 포기하나 나온 몫을 일본소비재 업체들이 하누 둘 차지하고 있는데 지난 번 중국사드보복 당시 중국 화장품 시장을 석권하던 한국산 화장품들이 퇴출된 빈자리를 일본산 화장품들이 차지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일 겁니다

 

이런 현상은 화장품 뿐 아니라 다른 소비재 품목에서도 고스란히 재현되고 있고 중소기업 제품 뿐 아니라 아모레퍼시픽 같은 대기업들도 똑같이 영향받고 있는 상황입니다

 

대중국 무역수지 적자는 중국의 제로코로나정책에 기인한 측면이 있는데 중국 공장 가동이 정상화되면 다시 살아날 가능성이 높아 보이는데 문제는 중국소비재시장에서 한번 부정적으로 박힌 이미지를 다시 긍정적으로 되돌리는데 더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 것 같다는 점입니다

 

한한령이 철회되어 우리나라 K드라마와 K무비가 다시 중국 방송과 극장을 차지할 경우 젊은세대들부터 친한파를 키울 수 있을테지만 현재 중국의 애국주의 열풍이 거세고 중국인들의 사회적 수준이 뻬이징 올림픽을 치뤘음에도 여전히 20세기 수준에 머물고 있어 쉽게 바뀌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상하이나 뻬이징 같은 일선급 대도시의 젊은이들은 한국문화의 세련됨과 선진성을 인정하지만 그 외에 중국인들은 여전히 애국주의에 매몰되어 우물안 개구리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중국인들 평균임금보다 비싼 한국산 제품의 가격을 감안한 소비를 불러 일으키려면 K컬처에 대한 비용을 기꺼이 지불하게 만들어야 하고 그럴려면 중국인들의 반감을 누그러뜨릴 수 있는 K드라마와 K무비, Kpop 같은 K컬처산업의 유행을 가능케 해야 합니다

 

그런점에서 최상목 대통령경제수석의 "탈중국발언"은 우리 기업들의 몇 십년간의 중국시장 투자를 한방에 날려버린 어리석기 짝이 없는 멍청한 발언이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중국과 홍콩 합쳐 매년 600억달러대 무역수지 흑자를 누릴 수 있는 시장을 당장 세계어디서 대체시장을 찾을 수 있는 지 머리가 있다면 생각이란 걸 해 보길 바래 봅니다

 

솔직히 저런 멍청한 언행을 하는 것이 결코 우리 국익이 아니란 사실은 바보가아닌 이상 다 알 수있는 것이고 결국 일본우익의 이익을 위해 우리 국익을 포기하는 것으로 그 댓가로 뉴라이트 개인이 사리사욕을 취하려는 것이 아닌가 의구심이 들 정도입니다

 

아모레퍼시픽은 중국시장을 키우기 위해 지난 10여년 동안 막대한 투자를 해 왔는데 이런 기업의 노력을 정부가 지원해 주지는 못할망정 발목을 제대로 잡는 꼴입니다

 

중국을 우리나라의 제2의 내수시장이 되고 있다는 사실은 중국내 롯데백화점이나 신세계 백화점에 입점해 있는 국내 중소기업 브랜드들만 봐도 알 수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결코 백화점에 입점할 수 없는 중소기업 브랜드들이 중국 대도시의 백화점에서는 한국상품이라고 백화점에 입점해 비싼 가격에 팔리고 있었습니다

 

우리 중소기업들에게는 중국시장이 제2의 내수시장으로 역할을 해 오고 있었는데 최상목 경제수석의 말 한마디에 중국정부의 보이지 않는 무역장벽으로 또 다시 중국시장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중국인들이 바보도 아닌데 자신들을 대놓고 무시하고 떠나겠다는 한국을 좋게 볼리 없기 때문입니다

 

윤석열 정부내 뉴라이트들의 활약으로 중국시장에 대한 우리 기업들의 접근은 아마 5년에 다시 어렵지 않나 생각들 정도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보도자료] 2022년 6월 무역지수 및 교역조건.pdf
1.07MB
2022년
2022년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