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정부가 성인 흡연율을 낮추기 위해 10년 이내에 담뱃값을 세계보건기구(WHO) 기준으로 인상할 예정입니다.

보건복지부는 27일 이런 내용의 향후 10년의 건강정책 방향과 과제를 담은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을 발표했는데 이번 종합계획을 추진하는 데는 올해 2조5000억원 정도의 예산이 투입됩니다.

담배와 술 등 위해물질 규제를 강화하는데 성인 남성과 여성의 흡연율을 2018년 기준 각각 36.7%, 7.5%에서 2030년 각각 25.0%, 4.0%로 떨어뜨리겠다는 목표입니다.

이를 위해 흡연에 대한 가격·비가격 규제를 강화키로 했는데 10년 이내에 담뱃값을 WHO 기준으로 인상해 국민건강증진기금 부담금 수입 규모를 늘리겠다는 게 대표적입니다.

WHO에서 2018년 시행한 연구에 따르면 세계 평균 담뱃값은 6500원 정도로 정부는 앞서 2015년에도 담뱃값을 대폭 인상한 바 있습니다.

담배의 정의도 연초·합성 니코틴을 원료로 하는 담배와 전자담배 기기장치 등으로 확대하고 광고가 없는 표준담뱃갑을 도입할 예정입니다.

성인 남성과 여성 가운데 고위험군의 음주율을 2018년 20.8%, 8.4%에서 2030년 17.8%, 7.3%로 낮추겠다는 목표도 세웠는데 정부는 주류 소비 감소를 유도하기 위해 주류에 대해서도 건강증진부담금을 부과하는 등 가격정책 방안을 검토할 예정입니다.

공공장소 내 음주를 규제하기 위해 관련 입법을 강화하고 주류 광고 금지 시간대 적용 매체를 늘리는 한편 금지 대상을 확대할 예정입니다.

이번 계획에는 2018년 기준 70.4세인 건강수명을 2030년까지 73.3세로 연장한다는 목표도 담겼는데 건강수명은 기대수명에서 질병이나 부상으로 인한 유병 기간을 뺀 수치입니다.

2018년 기준 우리나라 국민의 기대수명은 82.7세지만 건강수명은 70.4세로 기대수명보다 약 12년 정도 짧습니다.

이번 계획부터는 건강수명 자료원을 WHO 건강수명에서 국내 연구로 변경키로 했는데 이는 WHO 건강수명의 산출주기가 분명하지 않은 데다가 소득과 지역에 따른 건강수명 격차를 살피기 어렵다는 점 등을 반영해 개선한 조치입니다.

또 건강수명 지표 산출을 위한 조직을 마련, 한국건강증진개발원·국민건강보험공단·통계청 등 유관기관간 협의체도 구성할 방침입니다.

건강수명의 소득간, 지역간 형평성을 확보하기 위해 소득수준 상위 20%와 하위 20%의 건강수명 격차를 2030년까지 7.6세 이하로 낮추겠다는 목표도 제시했는데 2018년 기준으로 건강수명 격차는 8.1세로 2018년 기준 2.7세인 지역간 건강수명 격차도 2030년 2.9세 수준으로 관리하겠다는 방향도 담겼습니다.

정부는 신체활동 활성화를 위한 건강친화기업인증제, 건강인센티브제 도입을 추진하기로 했는데 정신건강 부문에서는 우선 자살예방 고위험군을 발굴해 관리하고 상담 치료비 지원을 강화하는 등의 정책을 추진해 2030년 인구 10만명 당 자살사망자를 17명 정도로 낮추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는데 2018년 기준 인구 10만명 당 자살사망자는 26.6명입니다.

또 치매 안심센터의 환자 등록·관리율을 2019년 기준 51.5%에서 2030년 82.0%까지 높이고 알코올 사용장애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률도 2016년 12.1%에서 2030년 25.0%로 끌어올리겠다는 내용도 계획에 포함됐습니다.

암, 고혈압, 당뇨병 등 비감염성 질환 예방 사업도 보다 강화되는데 암종별 검진방법, 검진대상, 주기 등을 보완해 암 검진 제도를 재정비하고 심뇌혈관 질환 예방을 위해 동네의원 중심의 관리를 내실화하기로 했고 이를 통해 정부는 성인(20∼74세) 남성과 여성의 인구 10만명 당 암 발생률을 2017년 338.0명, 358.5명에서 2030년 313.9명, 330.9명으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결핵 백신 연구개발에 투자하고 신종 감염병 감시를 위해 정보통신기술(ICT)를 활용한 전자검역체계를 갖추는 등 감염병 조기감지, 신속진단을 위한 기술개발 지원도 확대합니다.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의 실효성을 강화하기 위해 실행계획 평가·심의도 신설됩니다.

국민건강 증진을 위해 정부가 재정을 투입하겠다는 것인데 오늘 오후부터 쏟아져 나온 보도들 제목은 하나같이 세금인상의 뉘앙스를 흘리고 있습니다

서울시장과 부산시장 보궐선거를 염두에 두고 일반 대중에게 인기없는 증세 느낌의 왜곡보도와 가짜뉴스로 민심이반을 꽤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제목만 보는 사람들은 제목에 속아 넘어가겠지만 그 나마 내용이라도 읽어 보는 사람들은 전후 사정을 이해할 것이고 독해력이 있는 사람들은 정부의 정책의도를 이해해 왜 담배와 술에 붙는 세금을 올리려고 하는지 이해할 수 있을 겁니다

별 것 아닌 것도 타이밍 맞춰 제목을 약간만 비틀면 민심이반을 위한 불쏘시게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제목만 읽고 내용을 미루어 짐작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이기 때문입니다

이제 우리 주변에는 담배값을 8천원으로 올려 정부가 세금증세를 하는 것이라고 떠드는 사람들이 많아 질 겁니다

흡연자와 애주가들에게 담배값과 술값이 실제 부담되는 가격대로 오르기도 할 것이지만 이 과정에서 분명 금연과 금주하는 사람들도 함께 늘어날 것입니다

이와 함께 건강보험 지급액도 함께 줄어들 수 있어 긍정적인 면도 있을 겁니다

하지만 코 앞으로 와 있는 서울시장과 부산시장 선거에는 인기없는 정책이 될 것인데 당장 흡연자와 애주가들에게는 추가적인 부담이 싫기 때문입니다

10년 안에 인플레이션을 생각해도 지금 담배값의 배는 올라갈 것 같은데 그게 임기 1년 남은 정부의 책임이라 하기에는 어패가 있어 보입니다

이 타이밍에 댓글부대도 총동원되어 현 정부가 세금을 올리려 혈안이 되었다는 프레임을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있는데 담배값을 올려도 박근혜 정부 때와 같이 세금이 더 많이 걷히는 가격까지만 올리는 것과 진짜 금연하고 금주하는 사람들이 늘어 세금이 줄어드는 상황까지 감내하는 가격 인상은 분명 다른 것임을 알아야 합니다

즉 가격인상의 목적이 증세가 아니라 금연과 금주를 통한 국민건강 증진에 방점이 찍혀 있는 겁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