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한송네오텍은 지난 사업연도 감사보고서의 의견거절과 관련해 한국거래소에 이의신청을 제기해 상장폐지사유를 해소하고 주식거래가 재개될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하겠다고 24일 밝혔지만 가능할지 의문이 듭니다.
한송네오텍의 외부감사인은 지난 23일 2021 사업연도 재무제표에 대해 감사범위 제한으로 인한 의견거절을 표명했고 이에 따라 한송네오텍은 상장폐지를 모면하기 위해 오는 4월 13일까지 한국거래소에 이의신청을 제기할 예정입니다.
한송네오텍 관계자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지난해 회사의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공격적인 투자를 단행하는 과정에서 감사인이 요구하는 감사기준을 일부 충족시키지 못한 것 같다"며 "회사는 이의신청을 통해 적극적인 소명을 진행할 예정이며, 개선기간을 부여받아 감사의견 거절사유를 해소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지난해 한송네오텍은 본원사업에서 전방산업의 투자확대로 전년(193.4억원)대비 약36% 성장한 매출액 262.8억원을 기록했고 또, 한송네오텍은 지난해 8월 2차전지 소재 전문기업 '신화아이티'를 인수해 2차전지 시장에 진출, 회사의 미래성장 동력을 확보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자회사 신화아이티는 최근 미국과 유럽의 글로벌 배터리들과 잇달아 공급계약을 체결하며 2차 전지 소재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 관계자는 "지난해 본원사업의 성장과 최근 신규 사업의 성과로 회사의 펀더멘탈이 강화되고 있는 상황으로 감사보고서 이슈를 조속히 해결하도록 회사의 역량을 집중하겠다"며 "아울러 이번 감사보고서 의견거절 이슈로 회사의 영업 및 경영상 모든 계약관계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외부감사인이 리스크가 있기 때문에 한송네오텍에 대해 감사의견을 거절한 것인데 감사범위 제한의 원인은 회사가 제공한 것이라 이를 소명해야 하는데 이런 식으로 2차 전지 소재 시장에서 경쟁력이 있다는 딴소리를 하면 안되는 것 같습니다
감사범위 제한이 어떤 이유 때문인지 밝히고 이를 소명해야지 자회사의 불확실한 미래경쟁력으로 책임회피하는 것은 무책임하다고 생각됩니다
2018년 스팩합병을 통해 우회상장한 회사가 4년도 못되어 상장폐지되는 것은 상장해선 안되는 회사를 올린 것이 아닌가 생각되기도 하는데 코스닥 상장사의 평균 상장유지기간에 비해 형평없이 짧은 기간에 상장폐지에 내몰렸기 때문입니다
주식투자는 미래를 보고 투자결정을 내린다고 하지만 현재의 안전성이 보장되지 않으면 미래성장성은 그저 사상누각이라고 생각합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사보고서 제출 지연기업 거래정지 속출 상장폐지 리스크 부각 (0) | 2022.03.24 |
---|---|
안랩 안철수 인수위원장 국무총리설에 제동 윤핵관 견제에 폭락세 (0) | 2022.03.24 |
수산주 러시아 경제제재 영향 수산물대란 우려 수혜 (0) | 2022.03.24 |
HDC현대산업개발 정몽규회장 브이소사이어티 설립주주 덕분에 살았다 (0) | 2022.03.24 |
노랑풍선 지난해 별도 기준 매출액 30억원 미달 관리종목 편입 (0) | 2022.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