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15일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결정하는데 현재 연 0.50%의 기준금리가 동결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한데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기준금리 인상 시점을 '연내'로 설레발 친 뒤에 열리는 회의라 어떠한 발언을 내놓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일단 금융권 안팎에서는 한은 금통위가 이날 회의에서 0.50%의 기준금리를 그대로 동결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게 나오고 있는데 앞서 한은 금통위는 지난해 3월 코로나19의 전세계 대유행이 가시화되자 금리를 연 1.25%에서 0.75%로 0.50%포인트 낮추는 '빅컷'을 단행했고 그해 5월 0.50%로 추가 인하한 뒤 7월, 8월, 10월, 11월과 올해 1월, 2월, 4월, 5월까지 동결 기조를 이어가면서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이 통화정책에 실패하고 있다는 비난을 산 바 있습니다
수출 호조세가 이어지고 금융불균형 우려가 높아지고 있지만, 코로나19 4차 유행이 본격화되면서 실물경제의 불확실성이 높아진 상황이라 현 수준의 기준금리를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한데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채권전문가 100명 중 89명이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현행 0.50%로 동결할 것이라고 예상했고 관건은 금리인상 소수의견 등장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박창균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지금까지는 금통위원 7명의 '만장일치'로 금리 동결이 이뤄졌지만, 이달 회의부터 금리인상을 요구하는 소수의견이 나올 수 있다"며 "하지만 아직 금리인상을 하자는 쪽이 다수일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보는데 이주열 총재가 '기준금리를 1~2번 올린다고 해도 여전히 통화정책은 완화적'이라고 밝히면서 기준금리 인상을 예고했으니 금리를 올릴 타이밍을 볼 것 같다"고 말했는데 한두번 올린다고 여전히 완화적이라면 선제적으로 올리는 것이 시장에 충격을 덜 주는 것일 수 있어 보이는데 여전히 미국FRB 눈치만 보고 있는 것 같습니다.
윤여삼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이주열 총재의 발언 이후에 시장에서 8월 기준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이 나왔는데, 코로나 4차 유행으로 경기회복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아졌다"며 "가계부채 문제가 심각한 상황인 만큼 이 총재가 금융시장의 안정화를 강조할 것 같다"고 말했고 이어 "7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 인상 소수의견이 1명 나올 것이라고 예상했는데, 최근의 코로나 상황때문에 만장일치 동결 가능성도 높아졌다고 본다"고 부연했습니다.
안예하 키움증권 연구원은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동결하겠지만, 최근 매파적(통화긴축 선호)인 시그널을 계속 보낸 점을 감안할 때 금리 인상을 주장하는 소수의견이 1명 정도 나올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했습니다.
지난 번 이주열 한은총재가 금리인상에 대해 설레발칠 때는 미국이 당장이라도 금리인상에 나설 태세였기에 그랬던 것이고 이젠느 미국이 현재의 통화정책을 기대로 가져가겠다고 밝힌이상 한국은행이 선제적으로 금리인상에 나설 자신감은 없을 것 같습니다
이주열 한은총재의 한국은행은 늘 뒷북만 치고 부동산투기만 조장하는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으로는 낙제점도 아까운 정도의 수준이하인 것 같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텐센트 국내 와이제이엠게임즈 자회사 액션스퀘어 지분 투자 (0) | 2021.07.15 |
---|---|
IMM 프라이빗에쿼티(PE) 한샘 경영권 인수 오하임아이엔티 상한가 (0) | 2021.07.15 |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제롬 파월 의장 인플레이션 우려에도 양적완화 지속한다 (0) | 2021.07.15 |
한일단조 최재형 전 감사원장 고향 경남 진해 토지 300억원 규모 보유 부각 (0) | 2021.07.14 |
디지아이 최재형 테마주 편입 상한가 정치인 테마주 바람 (0) | 2021.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