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포스코가 5월 열연강판 가격 인상에 나서는데 3월부터 3개월 연속 열연강판 가격을 올리며, 2분기 실적도 호조세를 이어갈 전망입니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는 5월 실수요 및 유통향 열연강판 가격을 톤(t)당 5~7만원 인상하기로 결정했고 이에 따라 지난 3월 5만원, 4월 10만원 등 3개월 연속 가격 인상을 이어가게 됐습니다.
포스코가 또 한번 가격을 올리게 된 배경에는 원료탄 가격 상승이 영향을 미쳤는데 한국광물자원공사에 따르면 중국 수입 철광석(CFR·운임포함인도) 가격은 지난 8일 기준 t당 159.2달러를 기록했고 지난 3월 18일 이후 3주 연속 상승하며 t당 160달러 돌파를 앞두고 있는데 지난해 11월19일(89.8달러)과 비교하면 5개월새 무려 70달러 가까이 올랐습니다.
뿐만 아니라 호주산 제철용 원료탄(석탄) 가격 또한 지난달 30일 t당 530달러를 기록했는데 올해 초 359.58달러에 비해 47.4% 상승했습니다.
포스코, 현대제철 등 국내 철강사들은 철광석과 석탄을 녹여 쇳물을 생산하는데 철광석, 석탄 가격 상승은 철강사들 수익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원료 가격이 급등하면서 제조원가가 상승한 양대 철강사들이 공급망 부족 상황을 이용해 제품 가격 인상으로 부담을 해소하려는 것입니다.
포스코가 3개월 연속 가격 인상에 나서며 수익성 또한 지속 개선될 전망인데 포스코홀딩스는 지난 14일 잠정실적 발표를 통해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43.9% 증가한 2조3000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3월부터 제품 가격 인상이 본격적으로 이뤄졌다는 점을 감안하면 포스코의 철강부문 실적은 2분기때 더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업계 관계자는 "원자재 가격 상승세에 철강사들이 적극적인 가격 정책을 펼치고 있다"며 "엔데믹이 다가오는 시점이라 수요 증가까지 더해진다면, 올해도 지난해 못지 않은 실적을 기대해 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POSCO홀딩스가 공급망 부족과 러시아 경제제재에 수혜를 보고 있는 것으로 원재료비 상승분을 판가에 전가할 수 있는 한 수익성은 무제가 없어 보입니다
다만 윤석열 정부가 들어서면서 MB정부 때 친이계들이 다시 돌아오고 이들이 과거와 같은 부정부패로 POSCO를 또 망가뜨리는 것이 아닌가 우려되고 있는데 벌써부터 해외자원개발에 대한 이야기들이 나오는 것이 이런 불안감을 키우는 재료가 되고 있습니다
예전에 한번 해 본 경험이 있기 때문에 이번엔 더 잘 해 먹을 수 있다는 말도 나오는 것은 POSCO홀딩스가 경제외적인 이유로 또 망가질 수 있다는 우려가 주가에 반영되고 있는 모습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한판 이스칸데르 KN-23 단거리 탄도 미사일 2발 발사 한미연합훈련 대응용 도발 딱 여기까지만 (0) | 2022.04.17 |
---|---|
DB생명과 흥국생명·화재 재무건전성 금융감독원 권고치에 근접 자본확충 필요성 (0) | 2022.04.17 |
일본의 몰락 아베노믹스의 청구서 윤석열 정부 아베 따라하기 우려 (0) | 2022.04.17 |
농업관련주 글로벌 곡물가격 상승과 해운물류 상승 국제유가 급등 영향으로 상승세 (0) | 2022.04.16 |
극장주 사회적 거리두기 종료 가장 큰 수혜 기대감 (0) | 2022.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