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가 중국 우주로켓 ‘창정 5B호 잔해물‘의 한반도 추락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예상된다고 30일 오후 밝혔습니다.
이 잔해물은 지난 24일 발사한 中의 우주 정거장의 모듈을 실었던 발사체의 상단으로 무게 20톤, 길이 31m, 직경 5m로 추정됩니다.
과기정통부는 추락 징후를 인지한 7월 27일부터 우주위험감시기관인 한국천문연구원과 ‘창정-5B호 잔해물’의 궤도변화를 감시해 왔습니다.
7월 30일 0시 기준, 천문연의 궤도 분석 결과에 따르면 창정-5B호의 잔해물은 7월 30일 밤 11시 45분에서 7월 31일 새벽 3시 45분사이에 추락할 가능성이 높은데 추락 예측 범위인 전체 4시간을 고려해도 창정-5B호 잔해물의 이동경로는 한반도를 지나지 않는 것으로 계산하고 있습니다.
현재 천문연은 모로코와 천문연 본원(대전)에 설치된 우주감시를 위한 전담장비인 전자광학감시네트워크(OWL-Net)을 통해 ‘창정-5B호 잔해물’을 추적 관측하고 있습니다.
천문연은 지난해 5월 ‘창정-5B 로켓 잔해’가 지구로 떨어지는 상황에서도 추락 시간과 낙하 지점을 실제와 거의 근사하게 예측하여, 세계 수준의 분석 능력을 인정받은 바 있습니다.
과기정통부는 천문연과 최종 추락 지점과 시간 등 추가적인 정보를 확인하는 데로 다시 보도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중국이 우주정거장을 건설한다고 대형로켓을 마구잡이로 발사하면서 발사 후에 로켓잔해물에 대해 무책임한 태도로 일관하고 있습니다
미국이 우주공간을 평화적으로 이용하는데 있어 우주개발에 참여하는 국가들에게 책임감을 갖져달라고 하는데 중국과 러시아의 무책임한 행동들로 선의의 피해자들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번 중국 로켓의 추락은 지난 번 중국 우주정류장의 지구 추락에 이은 대형 발사체의 추락으로 지구에 추락해 떨어지기 전에는 작은 조각이라도 큰 위험이 될 수 밖에 없습니다
우리나라도 우주개발에 나서면서 본격적으로 우주발사체의 사후 안전성 문제가 대두될 수 있는 데 중국은 사회적 수준이 떨어져서 그런지 여전히 아무 문제가 없다는 원론적인 이야기만 반복하고 있습니다
'세상살아가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5호 태풍 송다 제주도와 남해안 본격 영향권 (0) | 2022.07.30 |
---|---|
미국 안보전문지 내셔널인터레스트 한국군 쿠데타 경고 (0) | 2022.07.30 |
중국 사드 3불정책 유지 공식 요구 윤석열 정부 박진 외교부장관 중국 요구 거부 한중관계 최악 (0) | 2022.07.30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의원 "저소득자 저학력자 발언" 언론 왜곡보도의 현실 (0) | 2022.07.30 |
코로나19 최악 변이 켄타우로스(BA.2.75) 확진자 국내 또 발생 (0) | 2022.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