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지난 11일 게임업체 엔씨소프트 주식을 3000억원 넘게 사들인 한 개인 투자자가 15일 보유주식 대부분을 팔아치운 것으로 확인되는데 주가 약세로 300억원 안팎 손실을 입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15일 한국거래소는 개인 투자자 한 명이 엔씨소프트 주식 53만 주를 순매도했다고 공시했는데 이 투자자는 최근 닷새간 엔씨소프트 주식 53만5324주를 순매수했고 증권가에서는 이 투자자를 지난 11일 엔씨소프트 주식을 싹쓸이한 '슈퍼개미'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지난 11일 한 개인은 엔씨소프트를 70만3325주 매수하고 21만933주를 매도했고 이날 하루 거래량(365만5331주)의 25.1% 수준을 혼자 매매한 것으로 순매수량은 49만2392주로, 약 3500억~4000억원어치 순매수한 것으로 추정됐는데 덕분에 이날 엔씨소프트 주가는 상한가인 29.92% 오른 78만6000원에 마감했습니다.

 

증권가에선 슈퍼개미가 엔씨소프트의 대체불가능토큰(NFT) 사업 진출 소식에 주식을 쓸어담은 뒤 주가가 급락하자 손실 부담을 이기지 못하고 물량을 던진 것으로 보고 있는데 엔씨소프트는 15일 전 거래일보다 7.69% 내린 66만원에 거래를 마쳤고 최근 2거래일간 16% 하락했습니다.

 

슈퍼개미의 주식 매입 평균 가격을 알 수 없어 정확한 손실액은 확인할 수 없지만, 업계에선 300억원 안팎으로 추정하고 있는데 한 증권사 관계자는 "슈퍼개미가 CFD(차액결제거래) 거래를 한 것으로 보인다"며 "자기 돈 400억원을 갖고 4000억원가량을 투자했다가 손절하면서 300억원가량 손실을 입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CFD는 개인 투자자가 주식을 보유하지 않은 채 가격 변동에 따른 차액만 정산하는 파생거래로 레버리지(지렛대)를 활용해 증거금의 10배까지 주식을 살 수 있는 게 특징인데 최소 10%의 증거금으로 매수·매도 주문을 내고 나머지는 증권사에서 빌려 투자하는 '빚투'(빚내서 투자)의 일종입니다.

 

특정 계좌에서 상장주식 수 대비 2% 이상 매도세(2.41%)가 나타나자 한국거래소는 16일 엔씨소프트를 '투자주의' 종목으로 지정했는데 거래소는 슈퍼개미의 대량 거래에 시세 조종 행위가 있었는지 조사 중이며, 이르면 이번 주 안에 결과를 내놓을 예정입니다.

 

슈퍼개미가 엔씨소프트에 대한 무리한 CFD(차액결제거래) 거래를 한 것이 엔씨소프트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선물 등에 투자해 주가를 임의로 끌어올린 게 아니냐는 시세조종 의혹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최대 300억원 손실을 보는 현물거래라면 종목선물에서 그 10배가 넘는 3000억원의 수익도 가능하기 때문에 이런 시세조종행위에 뛰어든 것이 아닌가 의구심이 들고 있는데 금융감독당국이 조사 내용을 공개하면 자초지정을 알 수 있겠지요

 

이미 과거에 도이치증권이 시장 전체를 갖고 주가조작에 나선 사례가 있는데 당시 1조 8천억원을 동원해 종가에 프로그램 매매를 통해 대거 주식을 팔아치워 "옵션쇼크"라는 말이 생겨날 정도로 충격을 주기도 했습니다

 

엔씨소프트의 주가가 당일 상한가로 급등하면서 여기에 동원된 자금이 3천억원대였다면 그에 상응하는 수익을 노리고 했을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이런 시장 교란행위는 반드시 전주를 찾아 책임을 물어야 하는데 가차명계좌가 아니라면 찾아 낼 수 있을 겁니다

 

일반인이라면 도처히 할 수 없는 3천억원의 자금동원 능력을 보유한 인물이 누구인지 궁금하네요

 

아울러 일제히 엔씨소프트 슈퍼개미가 최대 300억원대 손실을 봤을 거라는 추측성 기사들로 도배되는 것은 이런 슈퍼개미의 매매에 배아플 개인소액투자자들을 위로하기 위한 기레기들의 서비스가 아닐까 추측되는데 저런 짓을 벌인 현금동원능력이 있고 담보능력이 있는 게인투자자들은 소위 재벌오너일가라는 사람들 밖에 없기 때문에 이것도 일종에 광고주 빨아주기에 한가지 아닐까 의구심이 들기도 합니다

 

아무래도 슈퍼개미가 큰 손실을 봤다고 사람들에게 인식시키는 것이 여론에도 부담이 덜하고 금융감독당국도 헤프닝 정도로 넘어가기 좋아 보이기 때문에 사전정지작업을 하는 것이 아닌가 추측됩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