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1세대 연예기획사 SM엔터테인먼트(SM엔터) 인수전이 CJ ENM 단독 입찰로 싱겁게 끝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데 SM엔터 창업자이자 최대주주인 이수만 총괄프로듀서와 단독 협상으로 경영권 매각 협상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15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최근 진행 중인 SM엔터 인수·합병(M&A)을 두고 유력 후보였던 카카오엔터테인먼트가 추가 협상에 나서지 않기로 결정했는데 카카오엔터와 경쟁을 벌이던 CJ ENM이 유일하게 SM엔터 최대주주인 이수만 총괄프로듀서 측에 새 인수 제안을 제출해 협상을 벌이고 있는데 사실상 CJ ENM이 단일 인수후보로 남아 이수만 최대주주의 결정을 기다리는 상황이라고 알려졌습니다.
이번 매각 대상은 이수만 총괄프로듀서가 보유한 SM엔터 지분(18.72%) 및 특수관계인 지분을 포함한 19.37%로 SM엔터의 시가총액이 약 1조8300억원(15일 기준) 수준에서 형성된 점을 고려하면 해당 지분의 가치는 시가 기준 약 3544억원 수준인데 시장에선 경영권 프리미엄을 반영하면 약 5000억~6000억원대 가치가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양 측의 인수 구조는 확정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번 거래에 정통한 한 관계자는 "이 총괄 프로듀서가 매각가를 극대화하는 것 외에도 회사 매각 이후에도 본업을 이어가고 싶다는 의사가 강하다"고 전했고 이 때문에 CJ ENM이 이 총괄프로듀서의 지분 일부를 매입하는 동시에 자사의 음악사업부문을 분할해 SM엔터와 합병한 후 이 총괄프로듀서가 일정기간 경영을 맡는 방안 등도 거론되고 있습니다.
이럴 경우 이수만씨의 에스엠 칼라가 CJ ENM과 동거를 하는 것이라 완전한 매각이라고 부르기도 어려워 보이는데 에스엠이 CJ ENM을 등에 업고 성장을 이어갈 가능성이 커지게 될 것 같습니다
반기실적도 빠르게 회복세를 타고 있어 주가도 연초대비 120% 이상 급등한 모습이지만 CJ ENM에 인수될 경우 기업가치재평가가 될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다만 이수만 회장이 해외비자금 사건에 연루되어 있어 CJ ENM측에도 껄끄러운 것이 사실이라 제대로 딜이 될 수 있을지 의문이기는 합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더블유게임즈 최대 1000억원대 첫 공모회사채 발행 5000억원대 M&A 실탄 마련 가능 (0) | 2021.10.15 |
---|---|
이주열 한은총재 국감출석 내달 금리인상 기정사실화 (0) | 2021.10.15 |
한전기술과 한전산업 한국형 원전기술 보유 부각 급등세 (0) | 2021.10.15 |
원전관련주 에너지 가격 급등에 각국 정부 원전 건설 추진 기대감에 동반강세 (0) | 2021.10.15 |
티웨이항공 기내식 쿠팡 로켓프레시 통해 판매 시작 (0) | 2021.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