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삼성전자 올 3분기 세계 스마트폰 출하량 1위를 유지했지만 출하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2% 줄었고, 시장점유율 또한 2%포인트가량 감소한 숫자를 보여주었습니다.

 

28일(현지 시간)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IDC에 따르면 지난 3분기 세계 스마트폰 출하량은 총 3억3,120만 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7% 줄었는데 1위 삼성전자는 올 3분기 6,900만 대를 출하해 점유율 20.8%를 기록했고 블룸버그는 “반도체 수급 차질, 갤럭시 노트 신제품 미출시 등 영향으로 출하량이 줄었다”고 진단했습니다.

 

애플은 샤오미를 밀어내고 2위에 복귀했는데 애플은 3분기 5,040만 대를 출하해 시장점유율 15.2%를 기록했는데 애플의 출하량은 지난해 3분기보다 20.8% 늘었고 샤오미는 4,430만 대를 출하해 점유율 13.4%를 기록했습니다.

 

블룸버그는 4분기 애플이 출하량 1위를 기록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는데 반도체 수급난으로 삼성전자 갤럭시Z 폴드·플립3 등 전략제품이 공급 차질을 겪고 있는 반면, 애플은 아이폰13 시리즈를 하반기 출시했기 때문에 반도체 부족사태에서 한발 비껴 있는 상황이라고 진단했습니다.

 

삼성전자는 이재용 부회장으로 경영권은 넘어왔지만 아직 지배구조 개편이 이뤄지지 않아 오너일가의 비용이 많이 들어가게 생겼는데 가족 간 지분 정리에도 주가가 높기 보다는 낮은 것이 도움이 되는 상황입니다

 

삼성전자와 주요 계열사 주식을 담보로 맡기고 금융사로부터 대출을 땡겨 이건희 상속세를 냈지만 아직까지 이건희 회장의 상속 재산 중 현금성 자산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는데 과거 이건희 회장 살아 있을 때 이병철 회장 비자금이라고 수조원이 나오기도 해 삼성가가 주식담보대출을 사용하는 것이 이해가 되지 않는 측면이 있습니다

 

삼성전자가 아직 갤럭시노트에 대한 단종여부를 확인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폴더블폰 대중화를 위해 가격을 낮추고 선출시로 시장 선점을 노린다고 하지만 갤럭시노트와는 소비자와 가격대가 맞지 않아 이들 고객을 중국 스마트폰 업체에 빼앗긴 측면이 있습니다

 

2분기 중국 샤오미의 선전은 삼성전자가 갤럭시 노트 출시 타이밍에 신제품을 내놓지 않은 측면이 커 보이는데 단종을 전제로 하지 않는다면 이해되지 않는 측면이 있습니다

 

이런 것을 종합해 볼 때 가족간에 삼성전자 지분 정리와 지배구조 개편을 위한 삼성전자 주가 관리에 들어간 것이 아닌가 의구심이 들 기도 합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글로벌 2021 Q3 스마트폰 시장점유율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