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코로나19 델타 변이가 각국에서 크게 확산하고 있는 가운데 미국의 방역 당국이 해당 변이가 수두만큼 전염성이 강하다고 알렸습니다.

 

30일(현지시간) 일간 뉴욕타임스(NYT)와 CNN 방송 등의 미국 현지 언론은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 내부의 보고서를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는데 이 보고서에 따르면 델타 변이는 수두 바이러스만큼 쉽게 퍼지며 평균적으로 1명의 환자가 8~9명을 감염시키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 보고서는 델타 변이가 백신을 접종받은 사람에게도 바이러스를 옮기는 '돌파 감염'이 가능하다고 설명함과 동시에, 그 감염력 역시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 에볼라, 계절성 독감, 천연두, 일반 감기 등보다 강하다고 경고했는데 본래 코로나19의 전염력은 감기 수준으로 1명의 환자가 평균적으로 약 2명을 감염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습니다.

 

또 보고서는 델타 변이 감염으로 인한 증상 역시 기존 바이러스보다 심각한 수준으로 발현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워싱턴포스트(WP)는 문건의 내용 중 "백신 접종 여부와 관계없이 델타 변이에 감염될 경우 고령층이 청년층보다 입원 및 사망 위험이 더 크다"는 내용을 인용해 보고했습니다.

 

CDC는 이 보고서에서 델타 변이의 확산을 두고 "게임이 바뀌었다"는 평가를 내리며 보건 당국의 경각심을 촉구했는데 이 문건의 내용은 최근 감염 위험이 큰 도시에서 백신 접종 여부와 관계없이 마스크를 착용하도록 권고한 CDC의 지침 수정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한편 미국은 적극적인 백신 접종을 이어왔으나 최근 델타 변이의 영향으로 확산세가 다시 가팔라지는 추세로 이에 지난 4월 공개 석상에 마스크를 벗고 등장했던 바 있는 조 바이든 대통령 역시 최근 마스크 착용의 필요성을 재차 강조하고 나섰습니다.

 

델타변이 바이러스의 확산으로 다시 살아나고 있던 경기도 재차 침체될 수 있다는 우려감이 증시를 엄습하고 있는데 코로나19백신 접종으로 방역심리가 느슨해 진 틈에 델타변이 바이러스가 중증환자를 급증시켜 기존 의료시스템에 과부하를 발생시키고 있습니다

 

자칫 의료시스템 붕괴 상황이 현실화 되는 것이 아닌가 우려되는 상황입니다

 

K방역 실패 타령하며 정작 K방역에 비협조로 일관하며 서울과 수도권, 부산시 등에 코로나19 재확산 우려를 낳고 있는 방역정책을 펴고 있는 국민의힘은 지금이라도 K방역에 협조해야 할 것입니다

 

공동체 위험 앞에 정치적 이해득실을 따지는 어리석은 멍청이가 아니길 바래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