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미국 뉴욕증시가 27일(현지시간) 주요 기업들의 실적 부진과 개인 투자자들의 '반란' 여파로 급락했습니다.
뉴욕증시의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33.87포인트(2.05%) 떨어진 30,303.17에 거래를 마쳤는데 지난해 10월 이후 최대폭 하락입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98.85포인트(2.57%) 떨어진 3,750.77에,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 지수는 355.47포인트(2.61%) 떨어진 13,270.60에 각각 장을 마감했습니다.
이날 뉴욕증시는 작년 말부터 이어진 급등세에 대한 피로감 속에 여러 요인이 어우러지면서 큰 폭으로 내렸습니다.
미 항공기 제조업체 보잉이 이날 오전 지난해 사상 최대 규모인 119억4천만달러(약 13조2천억원)의 순손실을 냈다고 발표한 것이 투자 심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이날 보잉 주가는 4.1% 떨어졌습니다.
심지어 월스트리트의 전망보다 나은 실적을 발표한 반도체 회사 AMD마저 주가가 6.2% 급락했습니다.
최근 화제가 된 개인 투자자들의 반격으로 인한 몇몇 주식의 이상 급등이 오히려 증시 전반에 부정적 여파를 몰고 왔다는 분석도 나옵나다.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결집한 미국의 개인 투자자들이 대형 공매도 업체들의 타깃이 됐던 비디오게임 유통점 체인 게임스톱과 AMC 엔터테인먼트 등의 주식을 집중 매수하면서 헤지펀드들에 커다란 손실을 입힌 것이 그 배경입니다.
이들 주식을 공매도한 헤지펀드들이 예상 밖의 주가 폭등에 따른 손해를 메꾸기 위해 다른 주식들을 대량 매도하면서 연쇄적인 하락 사태를 불러왔다는 것입니다.
게임스톱 주가는 이날도 130% 이상 치솟았고, AMC는 무려 300% 폭등했습니다.
CNBC방송을 비롯한 미 언론은 이러한 개인 투자자들의 투기적 행태를 우려하면서 소셜미디어를 통한 특정 주식 광풍을 단속할 규제 당국의 개입이 필요하다고 보도했는데 TD아메리트레이드는 이날 고객 위험을 줄이기 위해 장중 게임스톱과 AMC 등의 거래를 제한하기도 했습니다.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이날 기준금리를 현행 '제로금리' 수준으로 동결하고, 자산매입 프로그램을 그대로 유지하기로 결정했으나 하락장을 막기에는 역부족이었습니다.
오히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기자회견에서 미 경제 전망이 "매우 불확실하다"고 언급한 이후 낙폭이 더 커졌습니다.
월가의 '공포지수'로 불리는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지수(VIX)는 지난해 12월 이후 가장 높은 30선을 넘겼습니다.
미국월가의 공매도 세력이 게임스톱에서 손실본 것을 메꾸기 위해 다른 수익이 난 종목들에서 대거 차익실현에 나서면서 기업실적부진과 맞물려 폭락세를 가져온 모습입니다
여기다가 중앙은행격인 연방준비제도에서도 경기를 부정적으로 보는 인상을 시장에 보여주면서 투자자들의 투매를 부른 모습입니다
미국 시장이 유동성장세속에 돈의 힘으로 밀어올려진 시장이라 투자심리에 따라 급등락을 반복할 수 밖에 없어 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우건설 코로나19 사태속 4분기 실적 어닝 서프라이즈 (0) | 2021.01.28 |
---|---|
알리바바 핀테크 계열사 앤트그룹 금융지주사로 전환 중국 중앙은행 감독 인정 (0) | 2021.01.28 |
기아차 2020년 4분기 실적발표 어닝 서프라이즈 (0) | 2021.01.28 |
미국 게임 소매업체 게임스탑 테슬라에 이은 개미들의 공매도 세력 응징사 (0) | 2021.01.28 |
마이데이터(본인신용정보관리업) 사업 네이버와 카카오 대주주적격성 심사에서 희비 (0) | 2021.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