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쿠팡의 고객정보를 중국에 있는 자회사가 관리하고 있어 유출 위험이 있다는 주장에 대해 쿠팡 측이 "전혀 사실이 아니다"고 주장했습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무소속 양정숙 의원은 26일 쿠팡이 쿠팡 애플리케이션(앱)에 보관된 개인정보와 위치정보 등을 중국에 있는 자회사 '한림네트워크(상하이/베이징) 유한공사'로 이전해 보관, 관리 중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양 의원에 따르면 쿠팡앱은 회원 가입 시 이름과 생년월일, 연락처, 이메일은 물론 주소와 닉네임, 계좌번호, 비밀번호, 출산정보 등 민감한 개인정보를 받고 있고 특히 양 의원은 쿠팡이 중국으로 이전해 관리하는 우리나라 고객들 개인정보를 중국 당국이 현지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언제든지 정보를 열람할 수 있어 정보유출 우려가 크다고 주장했습니다.
양 의원은 "우리 국민의 매우 민감한 정보뿐만 아니라 데이터 경제에 가장 중요한 핵심정보가 우리 통제를 벗어나 중국으로 넘어갈 수도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쿠팡은 이날 입장문을 내고 "쿠팡의 고객정보는 한국에 저장되고 있다"며 "어떠한 개인 정보도 중국에 이전되거나 저장되지 않는다"고 주장했고 이어 "한림네트워크는 쿠팡의 관계사로, 글로벌 IT 인재들이 개발 업무를 담당하는 회사"라며 "해당 회사를 통해 고객 데이터를 저장한다는 주장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런데 그냥 아니라고 하면 아닌게 되는 건가요?
한림네트워크가 쿠팡의 관계사로 IT개발업무를 하는 회사라고 하지만 고객관련 정보 개발을 하려면 데이타를 가지고 해야 할텐데 그러면 우리 국민들 데이타가 중국에 실제로 넘어간 것이 아닌가요?
최근에 이메일로 명의도용을 가장한 스메싱이 몇 번인가 와서 네이버측에 문의한 결과 스메싱이 맞다고 하며 주의를 당부하던데 혹시나 쿠팡의 개인정보가 중국에 유출되어 거래된 것이 아닌가 의구심마져 들 고 있습니다
쿠팡은 그냥 아니라고만 하지 말고 좀 더 성의를 가지고 무소속 양정숙 의원의 주장이 사실이 아니란 것을 설득력 있게 해명해야 할 것입니다
개인정보는 빅데이타의 핵심으로 우리 국민의 생활정보와 소비행태 등 빅데이타가 중국에 무상으로 넘어가 중국 기업의 마케팅에 활용되거나 스미싱이나 불법사기사건에 활용될 수 있다면 생각만 해도 끔찍한 것 같습니다
쿠팡은 우리나라에서 우리나라 소비자를 대상으로 장사하면서 우리 소비자들의 개인정보는 우습게 여기는 것인가요?
중국으로 데이타가 유출되면 아무리 잘 관리된다고 해도 지금까지 중국의 사례에서 볼때 믿을 수 없다는 결론은 당연하다는 생각마져 듭니다
과연 중국 쿠팡의 관계사 한림네트워크 직원들이 관련 프로젝트에 필요하다고 받아간 우리나라 국민들 개인정보를 업무가 끝나고 즉시 파기했을까요?
사람들을 설득하려면 성의를 갖고 설명을 해서 이해시켜야 하는데 그냥 아니다라고 하면 끝이고 그걸 무조건 믿어야 하는 것인가요?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가스공사 한국판 그린 뉴딜 정책 수소경제 수혜 기대감 (0) | 2021.09.27 |
---|---|
화웨이 멍완저우 부회장 2년 9개월여 만에 석방 전세기 편으로 즉시 중국 귀국 (0) | 2021.09.26 |
남북경협주 김여정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부장 정상회담 언급에 관심고조 (2) | 2021.09.25 |
중국 헝다그룹 달러표시 채권 부도상태 (0) | 2021.09.25 |
오징어게임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글로벌 시장 1위 등극 (0) | 2021.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