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 TCL이 4분기 선보일 예정이었던 폴더블폰 출시를 포기했는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부품 조달 지연, 생산 비용 증가 등이 표면적인 이유이지만 삼성전자가 신제품 ‘갤럭시Z플립3’를 예상보다 낮은 가격에 출시하면서, 충분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렵다고 판단했기 때문인데 TCL의 폴더블폰 출시는 1년 이상 늦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TCL은 텔레비전 등 가전 제품으로 유명한 중국 제조사로 스마트폰 제품으로는 ‘알카텔(Alcatel)’ 등 중저가 브랜드가 주력으로 2019년부터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CES 등 국제 전시회에서 폴더블폰과 롤러블폰 시제품과 컨셉 영상을 선보이는 등 이형 폼팩터(기기 형태) 시장 진출을 예고해 왔습니다.

 

13일 씨넷, 더버지 등 IT 전문 매체에 다르면 TCL은 출시를 코앞에 뒀던 폴더블폰 ‘시카고(코드명)’ 를 포기했는데 ‘시카고’는 갤럭시Z플립3와 유사한 위아래로 접는 형태의 클램셸(조개 껍데기) 폴더블폰으로 당초 올해 4분기 출시를 목표로 시제품을 매체에 제공하는 등 마케팅을 펼쳐왔지만, 결국 양산과 정식 출시를 포기했습니다.

 

스테판 스트라이트(Stefan Streit) TCL 최고 마케팅 책임자(CMO)는 “(시카고는) 부품 부족, 코로나19, 폴더블폰 생산 비용 증가로 소비자가 접근 가능한 가격대에 출시되기 어려워 출시가 보류됐다”고 전했습니다.

 

시카고의 가격은 800달러 수준으로 예정했는데 스테판 스트라이트 CMO는 IT 전문매체 씨넷과의 인터뷰에서 “누군가 (폴더블폰에) 800달러를 쓸 수 있다면 1000달러도 쓸 수 있다. 아마도 소비자는 오랫동안 알고 더 신뢰하는 브랜드로 갈 것”이라고 설명해 삼성전자 갤럭시Z플립3가 999달러로 예상보다 낮은 가격에 출시되면서, TCL 폴더블폰의 가격 매력도가 낮아졌다는 의미로 풀이되는데 갤럭시Z플립3의 국내 출고가는 125만 4000원으로 일반 바(Bar)형 프리미엄 스마트폰 수준이지만 중국시장에서는 떨어진 시장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가격을 대폭 낮춰 시장에 내놓은 상태입니다.

 

삼성전자 대비 낮은 브랜드 인지도, 제품 완성도 등도 요인으로 분석되는데 삼성전자가 애플의 폴더블폰이 런칭되기 전에 삼성전자 폴더블폰 이용자를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가격인하 정책을 쓴 것이 중국 업체의 시장진입을 어렵게 만든 것 같습니다

 

아직까지 프리미엄폰 시장에서 삼성전자의 경쟁력을 확인시켜 주는 것이지만 지금같이 낮은 가격정책으로 폴더블폰을 계속 내놓을 수 있을지는 의문입니다

 

벌써부터 우리나라와 중국의 가격차를 이용해 중국에서 직구입으로 폴더블폰을 사려는 움직임이 있기 때문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