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인수합병(M&A) 무산 후 존폐위기에 내 몰린 이스타항공이 결국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했는데 법정관리 체제 하에서 새 인수자를 물색하겠단 구상에서 입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여파가 계속되는 가운데, 업계선 이스타항공이 새 주인을 찾아 '기사회생'에 성공할 수 있을 지 주목하고 있습니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서울회생법원 회생 1부는 전날 회생절차 개시를 신청한 이스타항공에 대해 보전처분과 포괄적 금지명령을 내렸는데 이는 회생 여부를 결정하기 전까지 채권자들이 이스타항공의 자산을 가압류하거나 매각하지 못하도록 채권을 동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경영난을 겪어오던 이스타항공은 지난 2019년 말 제주항공과 인수합병(M&A)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관련 절차를 추진해 왔으나, 약 2400억원에 이르는 각종 미지급금, 코로나19 영향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지난해 7월 최종 무산됐는데 지난해 5월 기준 이스타항공의 자산과 부채는 각기 약 550억원과 약 2500억원으로 자본잠식상태에 놓인 상태입니다.

이스타항공은 M&A 무산 이후 정리해고 등을 거쳐 새 인수자들과 협의를 이어왔는데 이스타항공 매각엔 건설업체 1곳, 금융업체 1곳, 사모펀드(PEF) 2곳 정도가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당초 이스타항공은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한 후 법정관리를 신청하는 방안을 고려해 왔는데 코로나19 여파가 여전한 만큼 법원이 회생절차를 거부, 청산절차에 돌입할 수 있단 우려에서였습니다.

그러나 인수를 타진하는 기업들과의 협상이 지지부진 해 지고 부채 상환압박이 거세지면서 전략을 수정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이스타항공은 회생절차가 개시되면 인수자 선정 및 투자로 운항증명(AOC) 재취득을 통해 국내선부터 순차적으로 영업을 재개한다는 구상입니다.

법원은 금명간 법정관리 여부를 결정할 방침인데 법원이 "이스타항공이 인력 감축과 보유 항공기 반납 등을 통해 비용절감을 해온 점 등을 고려해 M&A를 통해 회사의 전문기술과 노하우가 활용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어 회생절차를 거부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평가입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사실상 이스타항공에 남은 것은 항공업 라이선스 뿐"이라면서 "다른 잠재적 매물도 있고, 코로나19 이후 업황 회복까지 2~3년이 소요되는 만큼 향후 과정이 순항할 수 있을 지는 미지수"라고

솔직히 이스타항공이 이렇게 망가진데는 인수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이후 제주항공이 코로나19 핑계를 대며 미적거릴 때 최대주주마져 손을 놔버렸기 때문입니다

즉 주인 없는 무주공산이 되어 버렸으니 위기에 아무도 책임지고 키를 잡지 않아 배가 산으로 가버렸기 때문입니다

제주항공과 인수협상을 벌이는 동안 코로나19에 제대로 대응도 못하고 비행기마져 띄우지 못하게 되면서 직원들 대부분을 내보내고 항공업라이센스만 갖고 있는 껍데기 항공사가 된 것입니다

일단 법정관리를 통해 채권자 집회를 열고 채무구조조정을 통해 새로운 인수자가 가볍게 인수할 수 있게 만들어줘야 M&A도 성공할 수 있을 겁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