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엔비디아가 22일(현지시간) 장 마감 후 시장 컨센서스를 웃도는 실적과 함께 10 대 1로 주식분할 계획을 밝히면서 시간외거래에서 주가가 사상 최초로 1000달러를 넘어섰습니다

 

엔비디아는 회계연도 2025년 1분기(2~4월) 조정 주당순이익(EPS)이 6.12달러로 집계됐다고 밝혔는데 이는 LSEG가 조사한 애널리스트들의 전망치 5.59달러를 웃도는 것입니다.

 

올 2~4월 분기 총 순이익은 148억1000만달러, 주당 5.98달러로 전년 동기 20억4000만달러, 82센트에 비해 7배 이상 늘었습니다.

 

올 2~4월 분기 매출액은 260억40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62% 늘었는데 이는 애널리스트들의 전망치 246억5000만달러를 13억9000만달러 상회하는 것입니다.

 

엔비디아는 현재 분기(올 5~7월) 매출액에 대해선 280억달러를 가이던스로 제시했고 이는 애널리스트들의 전망치 266억1000만달러를 웃도는 것입니다.

 

엔비디아의 올 2~4월 분기 매출액 중 AI 칩이 포함된 데이터센터 매출액은 226억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427% 급증했고 이는 팩트셋이 집계한 애널리스트들의 전망치 213억2000만달러를 웃도는 것입니다.

 

엔비디아의 어닝서프라이즈 실적은  H100 GPU(그래픽 처리장치)를 포함한 호퍼 기반의 반도체 판매 덕분인데 인공지능AI에 대한 투자가 급증하고 있어 엔비디아의 시장독과점이 강화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아마존과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등 거대 클라우드 사업자들이 데이터센터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있어 이들에게 매출이 꾸준히 늘고 있고 현재 엔비디아의 이들 거대 클라우드 사업자들에 대한 매출 비중이 40%입니다

 

인공지능AI에 대한 투자가 늘어나고 있고 네트워킹 매출액도 늘고 있는데 32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3배가 급증한 모습입니다

 

전장용 반도체와 로보틱스 관련 매출도 늘고 있어 전 분야가 성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엔비디아는 1 분기에 77억달러의 자사주를 매입하고 9800만달러를 배당금으로 지급했으며 또 10 대 1로 주식분할해 투자자들의 접근성을 높이겠다고 발표해 투자자들을 흥분시키고 있습니다

 

테슬라도 주식분할 뒤 사상 최고가 행진을 보여주었기 때문입니다

 

엔비디아 주가는 이날 정규거래 때 0.5% 하락한 949.50달러로 마감했지만 시간외거래에서는 5~6%대의 상승세를 보이며 1000달러를 넘어서고 있습니다.

 

엔비디아에 대한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의 12단 HBM3E의 공급도 늘어날 것으로 기대되고 있어 실적호전 기대감을 키울 것으로 보이는데 다만 엔비디아가 삼성전자를 견제하고 있고 SK하이닉스를 키워주고 있어 양사의 주가 차이가 날 가능성도 커 보입니다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에 대한 매출의존도가 높아지고 있어 수익성은 점점 떨어질 것으로 보이고 삼성전자의 추격에 시간이 갈수록 수익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인공지능Ai 반도체에 대한 엔비디아의 독과점이 이어지고 있지만 삼성전자가 AMD에 대한 공급과 지원을 늘릴 경우 AI반도체 시장의 지형이 변할 수 있다는 점에서 SK하이닉스의 HBM 반도체 시장 주도권도 지속될 수 있을 지 약간은 우려되는 것 같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엔비디아 2024Q1-investor-presentation-final.pdf
10.46MB
엔비디아 Q1FY24-CFO-Commentary.pdf
0.13MB
엔비디아 부문별 실적_2024Q1.pdf
0.25MB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