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중국 부동산 개발업체 헝다(恒大·에버그란데) 그룹의 파산 공포가 진정되고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예상보다는 덜 '매파'(통화긴축 선호)적인 태도를 보이면서 뉴욕증시가 오랜만에 반등했습니다.

 

22일(현지시간) 뉴욕증시의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38.48포인트(1.0%) 오른 34,258.32에 거래를 마쳤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41.45포인트(0.95%) 오른 4,395.64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50.45포인트(1.02%) 오른 14,896.85에 각각 장을 마쳤습니다.

 

다우 지수와 S&P 500 지수는 4거래일 연속 하락을 끊고 일주일 만에 오름세로 전환했습니다.

 

중국 헝다 그룹이 이날 성명을 통해 선전증시에서 거래된 2025년 9월 만기 위안화 채권에 대한 이자를 23일 제때 지급할 것이라고 발표한 것이 시장의 불안감을 완화했고 연준이 이날 오후 연방시장공개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마친 뒤 내놓은 성명도 투자자들에게 안도감을 준 것으로 보입니다.

 

초미의 관심사인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과 관련해 연준은 "곧 자산매입 속도 완화가 정당화될 수 있다"며 '연내 시작'이라는 종전 입장에서 한발 더 나아갔으나, 구체적인 시기와 방법에 대해선 밝히지 않았습니다.

 

다만 연준은 금리인상 시기가 이르면 내년으로 빨라질 수 있음을 시사했는데 FOMC 위원 중 절반인 9명이 내년 인상을 점쳤고, 1명을 제외하고는 최소 2023년 인상이 이뤄질 수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이와 관련해 블리클리자문그룹의 피터 부크바 최고투자책임자는 CNBC 방송에 "테이퍼링 발표가 아마도 11월에 나올 것으로 보이지만, 오늘 발표하지 않았다는 사실은 여전히 FOMC가 '비둘기'(통화완화 선호)적 위원회라는 점을 보여준다"고 평가했습니다.

 

나틱시스증권의 미국시장 수석이코노미스트인 조지프 나보냐도 로이터통신에 "(오늘) 연준의 긴축이 예상한 것만큼 매파적이라고 생각되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금리인상 전에 테이퍼링이 실시되는 것은 통화긴축에 대한 확실한 신호로 받아들여지고있어 이를 기다리는 시장도 지치는 것 같기는 합니다

 

중국 헝다그룹의 파산이 중국시장에 그리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국제신용평가사 S&P의 진단이 외국인투자자들을 안심시키고 있는 것 같습니다

 

아이러니 하게도 중국 정부가 300조원 규모의 부도를 낼 중국헝다그룹 부실에 전혀 움직이고 있지 않는 것이 오히려 시장에 안도감을 주는 모습인데 관치금융을 일삼던 중국 정부당국이 나서지 않는 것은 그 만큼 헝다그룹의 부실이 많이 부풀려 진 것이 아닌가 하는 안도감을 자아내게 하지만 또 다른 한편으로 중국 금융당국이 이런 대규모 부실 앞에 어디서부터 수습에 나서야 할 지 망연자실해 손을 놓고 있는 것이 아닌가 우려되는 것도 사실입니다

 

시장참여자들이 모두 예상하는 공포는 더 이상 공포가 아니라는 증시격언처럼 추석연휴가 투자자들의 이성을 차릴 시간을 준 것이 아닌가 생각되기도 합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