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모바일 사업 축소 및 매각을 검토 중인 LG전자가 국내외서 조용한 프로모션을 이어가고 있는데 기존 모델은 출고가를 낮추고 공시지원금을 높였고 신제품은 특별한 마케팅 없이 판매에 나섰는데 일각에서는 재고정리 절차에 들어간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습니다.

6일 업계에 따르면 LG전자는 지난해 상반기 출시된 ‘LG 벨벳’의 LTE 버전을 최근 알뜰폰 사업자 전용으로 국내에 출시했는데 출고가는 89만9800원이지만, 월 2만8600원의 요금제를 쓰면 기기값이 사실상 0원입니다.

LG전자는 '가성비'를 따지는 프리미엄급 스마트폰 고객의 요구에 맞췄다고 설명했는데 그러나 일각에서는 재고소진을 위해 제조사와 통신사에서 지원금을 높게 책정한 것으로 보고 있는데 LG 벨벳 LTE 모델은 지난해 6월 수출용 제품으로 출시된 바 있습니다.

기존 LG 스마트폰의 실구매 가격도 내렸는데 현재 국내에서 LG 벨벳 5G 모델의 공시지원금은 최대 78만3000원으로 올랐고 추가지원금을 더하면 출고가 약 90만 원짜리 벨벳을 0원에 구매할 수 있습니다.

지난해 출시한 ‘LG 윙’도 지원금이 최대 60만 원까지 올라 실구매가를 대폭 낮췄는데 출고가 109만8900원에 달하는 LG 윙은 최고가 요금제 기준으로 약 50만 원이면 살 수 있고 LG전자 온라인몰 홈페이지에서는 이달 LG 윙 자급제폰을 구매하면 20만 원 규모의 백화점 상품권을 증정하는 행사도 진행 중입니다.

V50 씽큐도 공시지원금이 기존 50만 원에서 70만 원대로 올랐고 제품 출고가는 89만9800원에서 75만200원으로 내려가며 실구매가가 사실상 0원이 됐습니다.

해외에서도 LG 스마트폰 판매를 독려하기 위한 통신사들의 공격적인 프로모션을 진행 중인데 미국 T모바일은 LG 윙과 LG 벨벳을 50% 할인 판매합니다.

특정 요금제에 가입하면 LG 윙은 999.99달러(약 112만 원) 대신 499.99달러(약 56만 원)에 살 수 있고 LG 벨벳은 588달러(약 66만 원) 대신 294달러(약 33만 원)에 구매할 수 있는데 가격이 절반 수준으로 조정된 셈입니다.

전자업계에서는 LG전자가 24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 중인 MC(모바일커뮤니케이션) 사업본부를 전면 재검토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통신사들이 재고 정리를 위한 막바지 프로모션에 나선 것으로 보고 있는데 해당 업계에 따르면 국내 통신사들이 가지고 있는 LG전자 재고 단말은 40만~50만 대 수준입니다.

권봉석 LG전자 대표이사(CEO)는 지난달 말 임직원에게 보낸 이메일을 통해 “모바일 사업과 관련해 현재와 미래의 경쟁력을 냉정하게 판단해 최고의 선택을 내려야할 시점에 이르렀다”며 “현재 모든 가능성을 열어 두고 사업 운영 방향을 자세히 검토하고 있다”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LG전자 MC사업부 인력은 꾸준히 줄여왔기 때문에 사업 자체를 접는 것을 예상해 왔는데 베트남 스마트폰 공장을 메각할 경우 관련 인원도 같이 넘어가기 때문에 LG전자에 잔류하길 원하는 직원들은 계열사간 전환배치도 허용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LG그룹 차원의 인위적인 인력구조조정은 없다고 선을 긋고 있지만 신설되는 LG마그나에 1000명 정도 인력이 필요하지만 3700명에 달하는 MC사업부 직원들을 다 담을 수는 없어 보입니다

LG전자의 스마트폰이 이제 역사속으로 사라질 것 같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