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지난 5일(현지 시간) 세계 최대의 전자·정보기술(IT) 전시회인 ‘CES 2022’에서 일본 소니가 전기차 시장 진출을 공식화 하며 컨셉카인 'VISION-S 02"를 공개해 찬사를 받았습니다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도 소니부스를 찾아가 ‘소니(Sony) 카’를 직접 봤는데 어떤 느낌이었을지 궁금하기는 합니다
소니 전기차는 라이다 4개를 포함한 40개의 센서, 주행 중 300m 이내 물체를 감지할 수 있는 인식 능력, 시속 180㎞가 넘는 주행 능력 등 구체적인 수치들을 제시하는 소니의 전기차 시장 진출이 실제임을 확인시켜 주고 있는데 전기차 스타트업들과 경쟁하며 전기차 시장에 진출하던 완성차 업체로써는 가전강자가 전기차 시장에 진출했다는 점에서 강력한 경쟁자의 등장에 긴장하지 않을 수 없을 겁니다
소니는 76년 역사에 걸쳐 카메라를 개발했고 음향 기술을 다져왔고 플레이스테이션 등 게임기를 통해서는 ‘즐거움’이라는 영역에서 최고의 노하우를 터득한 회사로 ‘엔터테이닝 카’로서 훌륭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전기차를 내놓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자동차 시장은 기계장치에서 전자장비로 발전하고 있고 자율주행 장치와 소프트웨어, 디스플레이와 엔터테인먼트가 자동차를 선택하는 기분이 되고 있어 자동차의 전자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CES 2022는 차와 전자제품 간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현장이었는데 GM은 자동차 회사에서 ‘플랫폼 기업’으로의 전환을 천명했고 스텔란티스그룹은 아마존과 손잡고 소프트웨어를 공동 개발한다고 발표했고 유럽차의 대표격인 BMW는 ‘시어터 스크린’ 등 디스플레이 능력을 과시했습니다
전자제품 회사들도 전기차 시장으로 진출하고 있는데 정 회장이 직접 찾은 삼성 전시관에서는 증강현실(AR)에 기반한 주행 보조 시스템이 관람객들을 맞았고 퀄컴은 모빌리티 산업을 전면에 내세워 볼보와의 협력을 과시했고, 인텔은 폭스바겐·포드와의 탄탄한 파트너십을 자랑했습니다.
글로벌 가전회사 중에 일본 소니가 가장 먼저 전기차 시장에 진출을 공식화 했는데 이미 삼성전자는 인도에서 자율주행 전기차에 대한 특허를 진행하고 있고 LG전자도 애플 자율주행전기차 OEM 생산을 위탁받기 위해 준비를 서두르고 있습니다
전자제품 회사들이 내연기관의 엔진에 대한 부담이 없어지면서 전기모터와 배터리를 가지고 전자제품 만들듯이 전기차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속속 전기차 시장에 뛰어들고 있는데 가전제품 시장의 성장 한계를 전기차 시장 진출로 뛰어넘으려는 것 같습니다
과연 현대차와 기아는 전기차배터리 공급업체인 삼성과 LG, SK의 전기차 시장 진출을 지켜ㅑ보기만 할 것인지도 의문이 드는데 연초 문재인 대통령과 6대그룹 회장간의 간담회에서 삼성전자와 현대차가 차량용반도체에서 협력하기 바란다는 말로 두 회사의 전략적 제휴에 대한 기대감이 나오고 있지만 이건희 회장 사후로 삼성그룹이 전기차 시장 진출에 대한 부담이 없어져 현대차와 협력이 가능할지 의문인 상황이기는 합니다
CES 2022에서 일본 소니가 전기차 시장 진출을 공식화 한 것은 국내 가전사인 삼성전자와 LG전자 주주들에게 기대감을 갖게 할 것 같은데 올 해 3월 주총에서 전기차 시장 진출에 대한 주주들의 요구에 직면할 것 같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국내 자동차시장 독일차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 판매량 3위 브랜드 등극 (0) | 2022.01.08 |
---|---|
정용진 신세계 부회장 SNS CEO리스크 점점 수위가 올라간다 (0) | 2022.01.08 |
CES 2022 LG가 비싼 돈들여 뭘하고 있는 지 모르겠다 (0) | 2022.01.08 |
삼성전자와 LG전자 2021년 잠정실적 발표 어닝서프라이즈 (0) | 2022.01.07 |
롯데케미칼 바나듐이온 배터리 제조업체 '스탠다드 에너지' 지분 약 15% 확보 2대주주 등극 (0) | 2022.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