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퓨리오사AI는 DSC인베스트먼트와 TS인베스트먼트가 초기 투자한 것으로 알려진 국내 AI(인공지능) 반도체 설계 스타트업으로 삼성전자와 AMD에서 일했던 백준호 대표가 2017년 설립해 지금까지 약 1억1500만 달러를 투자유치한 곳으로 유명합니다

  

데이터센터 서버용 AI 추론 연산 특화 반도체를 개발하며 2021년 첫 AI 반도체 '워보이'를 내놨고 지난해 8월에는 차세대 AI 반도체인 '레니게이드'(RNGD)를 공개해 한국의 엔비디아로 성장 가능성이 큰 회사로 알려져 있습니다

 

메타는 자체 인공지능(AI) 칩을 개발하기 위해 퓨리오사AI에 관심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는데 11일(현지시간) 포브스는 소식통을 인용해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가 퓨리오사AI 인수를 논의하고 있다고 보도했고 또 퓨리오사AI는 현재 여러 기업으로부터 관심을 받고 있으며, 메타도 이런 기업 중 하나라고 소식통은 전해 성사까지는 시간이 좀 남은 것 같습니다.

 

DSC인베스트먼트와 TS인베스트먼트는 퓨리오사AI 설립초기 자본금을 투자한 투자자로 이번 경영권 매각 딜이 성공할 경우 테그얼롱 조항에 따라 같은 조건으로 지분을 매각할 것으로 알려져 있어 상당한 투자차익을 챙길 수 있을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DSC인베스트먼트와 TS인베스트먼트가 비교적 초기에 퓨리오사AI에 투자하여 낮은 배수로 지분을 인수 할 수 있었고 짧은 기간 AI시장의 급성장으로 퓨리오사AI의 몸값이 올라가게 된 것인데 엔비디아의 AI반도체 가격이 급등하면서 메타와 구글 그리고 MS 같은 클라우드 사업을 하는 기업들은 자체 AI가속기를 가지길 원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도 퓨리오사AI를 인수할 경우 엔비디아와 경쟁자의 위치가 되기 때문에 Sk하이닉스는 엄두를 낼 수 없지만 HBM 경쟁에서 뒤쳐져 있는 삼성전자는 단번에 Ai반도체 시장경쟁을 역전시키는 방법으로 퓨리오사AI를 인수하여 Ai반도체 개발과 제조에 직접 뛰어드는 것도 방법이 될 것입니다

 

누가 푸리오사AI를 인수하던 창투사인 DSC인베스트먼트와 TS인베스트먼트는 테그얼롱 조항에 따라 퓨리오사AI 최대주주와 동일한 조건과 가격으로 보유지분을 매각할 수 있어 큰 투자수익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