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중국 최대보험사인 핑안보험의 주가가 지난 17일 5.05% 급락했는데 중국 제2의 부동산 개발업체인 헝다그룹 파산설이 나오면서 핑안보험도 충격타를 받을 것이란 전망에 투매가 나오기 시작한 모습입니다.

 


19일 홍콩 증권업계에 따르면 지난 17일 핑안보험의 주가는 장중 8%대까지 폭락했는데 핑안보험도 헝다그룹에 물렸을 것이란 우려가 제기되고 있기 때문인데 헝다그룹은 현재 금융권에 수많은 빚을 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미 국제 신용평가사 피치는 헝다그룹의 파산설로 인해 중국 주요 금융기관의 신용등급을 강등했는데 다른 신용평가사들도 곧 동일한 조치를 취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 헝다그룹 부채는 모두 3000억달러(약 351조원)로 추산되는데 헝다그룹이 파산할 경우 150만명으로 추산되는 아파트 선분양자들이 타격을 받게 될 전망이고 이에 따라 중국 경제의 한 축인 부동산 시장도 위축될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이 같은 우려로 홍콩증시에 상장돼 있는 헝다그룹은 연일 주가가 급락하고 있는데 항셍지수도 10개월래 최저치를 기록하고 있고 핑안보험은 주가가 급락하자 “헝다그룹에 노출된 것은 전혀 없다”며 성명서를 발표했지만 시장은 믿지 못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싱가포르에 기반을 둔 루크로 애널리틱의 분석가인 저우촨위는 “많은 금융기관이 헝다그룹에 물려 있어 헝다그룹 위기가 금융권 전반으로 확산될 수 있다는 우려가 많다”며 “이 같은 주식 투매가 다른 금융기관으로 전염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한편 지난해 말 헝다그룹이 중국 정부에 낸 보고서에 따르면 헝다그룹은 128개 이상의 은행과 120개 이상의 기타 금융기관에 채무를 지고 있고 이중에는 국제적 투자은행(IB) 또는 펀드도 포함돼 있습니다.

 

중국 헝다그룹 본사가 있는 선전시가 나서서 헝다의 부실채권들을 일부 인수해주면서 헝다그룹 주가는 조금 회복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헝다리스크는 이제 중국 금융권 전반으로 퍼져나가는 모습입니다

 

 

대기업이 부실화 될 경우 여기에 어느 금융사가 얼마나 물렸는지 알 수 없는 상황이 만들어져 서로를 불신하고 믿지 못하는 신뢰의 문제를 만들어내는데 이럴 경우 우량한 회사도 돈이 돌지 않아 흑자부도를 내게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즉 중국정부가 조기에 시장의 실패를 방지하기 위해 금융사들의 부실여부를 확인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시장에 내놓아야 하는데 중국 정부 당국이 그런 경험이 부족해 제대로 위기대처가 가능할 지 의문인 상황입니다

 

다만 중국 외환보유고가 3조 달러를 넘기고 있고 수출도 호조를 보이고 있어 당장 리스크가 구가부도로 확산될 위험은 상대적으로 낮아 보이지만 부동산시장의 불안감은 중국인들이 중국공산당에 민심이반이 일어날 수 있는 일이라 중국 정부 당국이 긴장하는 모습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