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문재인 대통령이 신년기자회견에서 '입양'과 관련한 생각을 밝힌 것을 두고 조수진 국민의힘 의원이 두 아이를 입양한 최재형 감사원장의 이야기를 꺼내 논란을 일으키고 이를 보수언론이 제목으로 받아 마치 문재인 대통령께서 입양아를 가게 진열대에서 물건 사듯이 취급한 것으로 왜곡보도와 가짜뉴스를 쏟아내고 있습니다

조 의원은 19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두 아이 입양 최재형 서울고법 부장판사'란 제목의 지난 2011년 기사를 게재했는데 기사에 따르면 최 원장은 4명의 자식이 있는데 이 가운데 두 명은 마음으로 낳은 자식으로 최 원장은 당시 인터뷰에서 "입양 가족에 대한 사회적 편견이 있다"며 "마치 부유한 가정이 입양아를 돈 주고 산다는 시선인데 주위를 둘러보면 경제적으로 부유한 사람들보다는 평범하고 일반적인 가정에서 오히려 입양을 더 많이 한다"고 했고 또 "입양을 마치 신데렐라 스토리처럼 불쌍한 한 아이의 인생반전극으로 봐서는 안 된다"며 "입양은 평범한 아이에게 그가 놓칠 수도 있었던 평범한 가정사를 누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일 뿐이다"고 주장했습니다.

최재형 감사원장이 문재인 정부와 대립관계를 형성하고 있어 그를 치켜세워주려는 의도를 갖고 SNS에 글을 쓴 것인데 입양아 문제마져 왜곡해 정쟁의 수단으로 삼으려는 천박함을 드러냈습니다

그러면서 "입양은 진열대에 있는 아이들을 물건 고르듯이 고르는 것이 아니다"라며 "아이의 상태가 어떻든 간에 아이에게 무언가를 기대해서 입양을 해서는 안된다. 입양은 말 그대로 아이에게 사랑과 가정이라는 울타리를 아무런 조건 없이 제공하겠다는 다짐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조 의원은 기사를 게재하며 "아이를 가슴으로 낳는 것이 입양"이라며 "대통령이 생중계 기자회견에서 '입양을 취소한다든지, 입양 아동을 바꾼다든지' 같이 민망한 이야기를 꺼내는 건 국제적 망신이다"라고 비판했는데 그런 말이 나온 전후사정을 기자회견을 보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입양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우려를 걱정해 하신 말씀이라는 걸 알 수 있을 겁니다

조 의원은 "대통령은 '인권 변호사' 출신"이라며 "가슴이 답답해진다"고 쇼까지 하고 있는데 기자회견이 유튜브에도 올라있고 포털에도 올라있어 누구나 관심이 있으면 찾아 볼 수 있기 때문에 조의원이 문제삼고 있는 말이 나온 전후사정을 알 수 있습니다

문 대통령은 전날 기자회견에서 최근 입양 아동 학대사건 방지 대책에 관해 "입양 부모의 경우에도 마음이 변할 수 있기 때문에 일정 기간 안에는 입양을 다시 취소한다든지, 아이하고 맞지 않을 경우에 입양 아동을 바꾼다든지 등 여러 방식으로 입양을 활성화해 나가야 한다"고 발언하셨는데 이번 사건으로 입양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우려로 국내 입양이 위축될 것을 걱정하시고 입양이 위축되지 않게 하려는 의도를 갖고 하신 말씀입니다.

그러자 야권과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사람이 반품 가능한 물건이냐' 등의 비판이 제기하며 전형적인 "손가락으로 달을 가리키면손톱 밑에 티끌만한 때를 갖고 왈가왈부하는 꼴"로 아이들 입양 문제도 정쟁의 수단으로 삼으려는 천박함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청와대는 논란이 일자 "대통령의 말씀 취지는 입양 활성화를 위해 입양제도를 보완하자는 것이다"라며 "입양 확정 전 양부모 동의 하에 관례로 활용하는 '사전위탁보호' 제도 등을 보완하자는 취지"라고 부연설명까지 했습니다.

조 의원의 주장을 가만히 들어보면 구구절절히 좋은 말을 하ㅣ만 글을 쓴 의도가 결국 기승전 문재인정부 비난으로 귀결되어 입양아 문제도 정쟁의 수단으로 삼으려는 의도를 분명히 하고 있습니다

과연 문재인 대통령의 신년기자회견에서 고민 속에 한 입양아들에 대한 발언과 이를 비난하려는 의도를 갖고 쓴 조 의원의 글 중에 진짜 입양아들에게 도움이 되고 우리 사회에 공익이 되는 것은 무엇일까요?

도데체가 신년기자회견도 보지 않고 조수진 국민의힘 의원같이 의도를 갖고 왜곡하거나 이를 받아 가짜뉴스로 확대재생산하는 기레기들의 쓰레기 기사를 보고 주절거리는 것들을 어찌할까요?

스스로 진실과 사실을 찾아 볼줄도 모르는 사람들이 과연 투자에 있어서도 자기 자신의 이익에 부합하는 투자종목을 찾고 투자결정을 할 수 있을까요?

결국 기레기들 광고주를 위한 가사에 휩쓸려 자기 자신을 위한 투자가 아니라 기레기들의 광고주를 위한 투자로 돈만 날리는 우를 범할 가능성이 클 겁니다

여러번 강조하지만 한번 속는 건 실수 일 수 있고 두번 속는 건 바보인증이요 세번 속는 건 공범이라 했습니다

실수는 할 수 있어도 바보는 되지 말고 범죄에 가담하지는 않는게 좋아 보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