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에이비엘바이오는 파킨슨병 등 퇴행성뇌질환 치료 이중항체 후보물질 'ABL301'에 대해 사노피와 10억6000만달러(약 1조2720억원) 규모의 공동개발 및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에이비엘바이오는 계약금 7500만달러(900억원)와 단계별기술료(마일스톤)로 최대 9억8500만달러(1조1820억원)를 받는 조건으로 제품이 상용화될 경우, 순매출에 따라 경상기술료(로열티)도 별도로 수령하게되는데 이번 계약은 미국 반독점개선법(HSR) 등의 행정절차가 만족되면 효력이 발효됩니다.
이번 계약에 따라 사노피는 ABL301에 대한 독점적 세계 권리를 가지게 되는데 ABL301의 남은 전임상 연구와 임상 1상은 에이비엘바이오가 주도하고, 이후 임상시험부터 상업화까지는 사노피가 담당합니다.
ABL301에는 에이비엘바이오의 플랫폼 기술인 '그랩바디-B'가 적용됐는데 그랩바디-B는 중추신경계(CNS) 질병 치료제의 뇌혈관장벽(BBB) 침투를 극대화시키는 'IGF1R' 표적 BBB 투과 기술로 ABL301은 파킨슨병의 발병 원인인 알파-시뉴클레인의 축적을 억제하는 항체를 뇌 안으로 효과적으로 전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상훈 에이비엘바이오 대표는 "이번 계약으로 에이비엘바이오가 보유한 이중항체 기술력의 무한한 가능성이 입증됐다"며 "이번 계약을 발판으로 그랩바디-B가 알츠하이머병 등과 같은 퇴행성 뇌질환에 더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개발을 이어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
통상적으로 대형 기술수출의 경우 계약금이 실제 수령액의 전부인 경우가 많은데 이런 계약금이 클 경우 R&D 진행 단계별로 성과에 따라 계약금의 일부를 반환하는 독소조항이 들어 있기도 합니다
이런 부분은 영업비밀이기 때문에 공개되지 않는데 이번 기술수출의 계약금이 900억원대로 통상의 경우보다 큰 경우라 의구심이 들기도 합니다
아울러 전임상 단계의 신약후보물질의 기술수출치고는 규모가 큰데 그만큼 블럭버스터급 신약으로 성공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일 겁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주시 HDC현대산업개발 광주지역 모든 건설공사 중지명령 정부 부실공사 엄단 천명 주가폭락 (0) | 2022.01.12 |
---|---|
남북경협주 북한 극초음속 미사일 시험 발사 김정은 위원장 참관 공개로 대화 분위기 조성 (0) | 2022.01.12 |
대성파인텍 애플카 공급망 진입 기대감에 상한가 (0) | 2022.01.12 |
국전약품 원료의약품 고객사 샤페론 기업공개(IPO) 추진 소식에 급등세 (0) | 2022.01.12 |
아모레퍼시픽 중국 화장품 시장 성장 둔화 이베스트증권 목표주가 하향 늦어도 너무 늦었다 (0) | 2022.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