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youtu.be/2BldacGKdhg

안녕하세요

처음 이 책의 서평을 부탁 받았을 때 웹3.0 시대에 크리에이터의 수익사업화에 대한 공부가 될 것 같아 읽어보았는데 전체적으로 웹시대의 역사를 꿰뚫는 기술변천사를 담고 있어 우리 시대의 크리에이터들이 어떻게 살아왔는지 알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된 것 같습니다

 

전체적으로 기술기반에 현재의 시대를 아우르는 다양한 신기술들에 대해 설명하고 있지만 그렇다고 그렇게 친절하게 설명하진 않아서 따로 검색엔진을 돌려보며 읽을 수 밖에 없는 책이라 나이든 세대에게는 조금 버겁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지만 젊은 세대에게는 그들이 지금 무얼하고 있는지도 모르고 일을 재미로 즐길 수 있는 시대를 살아가는 새로운 기회의 시대라는 사실을 깨닫지 못하는 아이러니도 느끼게 됩니다

 

이 책은 앞에 웹1.0 시대와 웹2.0시대의 한계를 설명하고 웹3.0 시대에 생성형 챗GPT까지 나타나면서 일반인도 크리에이터가 되어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고 성명하고 있습니다

 

웹3.0의 쌍방향 소통을 통해 경제적 자유를 획득한 사람도 실제 존재하지만 중앙집권이 아닌 지방분권형 수익구조에서도 생산자와 소비자라는 관계는 변함없이 존재하고 소비자의 지갑을 열게해야 생산자도 수익이 발생한다는 사실을 기반으로 다양한 신기술이 생산자의 창작물을 소비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창작자의 수익기회를 넓혀주고 늘려줬다는 사실을 인정할 수 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웹2.0 시대에 여전히 중앙집권화된 디지털콘텐츠의 유통구조는 네이버와 다음 같은 포털의 감독과 관리하에 크리에이터의 창작물이 유통되었고 이 과정에서 광고수익을 대부분 포털이 가져갔다는 점에서 한계로 지적되었습니다

 

실제로 네이버의 블로거로 하루 수만명의 방문자수를 갖고 있었던 사람으로 네이버의 알고리즘 전환으로 하루 수천명의 방문자수로 줄어든 경험을 갖고 있고 블로그 창작글 중 일부는 네이버에 의해 일방적으로 블라인드 처리되는 경험을 갖고 있어 이런 생태계에 불만이 있던 것도 사실입니다

 

이 책은 이런 과거의 사례들도 세련된 언어로 정리해 놓았고 그런 과거의 부조리 속에 창작자가 자신의 창작물을 소비자에게 직접 전달하고 평가받고 관리할 수 있는 웹3.0 시대의 변화된 디지털콘첸츠의 유통구조를 설명하고 있고 NFT를 통해 소유권의 배타적 소유를 디지털공간에서 확보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해 주고 있습니다

 

이 책은 크리에이터가 되는 방법을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 일반인이 크리에어터가 될 수 있는 길들을 소개해 주는 책이라고 할 수 있는데 역시나 크리에이터가 될기 위한 창작은 온전히 책을 읽는 독자에게 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합니다

 

크리에이터는 소비자인 대중이 생각하지 못한 창의적인 것을 제안하고 이를 대중에게 인정받음으로써 자신의 창작물에 가치를 부여할 수 있는데 이런 대중에게 평가받을 수 있는 온라인 공간들이 기술의 발전으로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고 반백의 나이에 처음 책이라는 웹1.0 시대 이전의 고전적인 시직을 담는 그릇을 처음 내고 이제는 블로그와 유튜브까지 하고 있는 크리에이터로써 이 책은 새로운 가능성의 길들이 많다는 사실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방법론에 있어서 소개가 구체적이지 않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있는데 그런 부분들은 역시나 웹3.0으로 우리에게 전달되는 온라인 세상을 통해 스스로 찾아야 할 문제라는 생각이 듭니다

 

"크리에이터 이코노미"에서 소개하고 있는 다양한 앱들과 기술들은 실제로 크리에이터가 만들어낸 창작물의 유통공간이 되고 있고 웹2.0시대까지는 네이버와 다음 같은 중앙집권화된 포털이 소유권을 갖고 있었다면 이제는 온전히 소유권을 창작자와 소비자에게 넘겨주게 되는 웹3.0 시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우리시대에 창작자들이 어떻게 그들의 재능을 소비자들에게 인식시키고 어필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지의 길을 소개하는 책으로 좋은 안내서가 될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