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유엔이 학살 현장으로 돌변한 미얀마 쿠데타 사태에 직접 개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기 시작했습니다.
위기 국가에 대한 유엔의 개입 근거인 ‘보호책임원칙(R2PㆍResponsibility to protect)’을 미얀마에 적용할 수 있느냐가 관건입니다.
국제사회는 자국민을 거리낌없이 살상하는 군부 만행을 이유로 “더 이상 머뭇거리지 말라”며 유엔을 거세게 압박하고 있습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5일(현지시간) 비공개 회의를 열고 미얀마 사태 해결 방안에 대해 논의했는데 이날 회의에선 ‘특정 국가가 집단학살 등 4대 범죄로부터 자국민 보호에 실패할 경우 국제사회가 강제 조치에 나설 수 있다’는 R2P 조항을 놓고 격론이 벌어진 것으로 전해졌는데 이사국들은 미얀마 사태의 심각성엔 공감하면서도 R2P 적용 여부와 범위에 대해선 미묘하게 입장이 엇갈렸습니다.
R2P 규정은 2011년 리비아 내전 사태 당시 안보리 회원국 만장일치로 적용된 적이 있는데 그러나 2008년 정국 불안에 시달렸던 짐바브웨와 미얀마에는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미얀마 군부의 최대 우군인 중국이 유엔의 직접 개입을 강력 반대했던 탓인데 이번에도 중국이 딴죽을 걸 가능성이 높아 전망이 밝지는 않습니다.
국제사회는 유엔의 빠른 결단을 거듭 요구하고 있는데 토머스 앤드루스 미얀마 인권특별조사관은 이날 안보리에서 “R2P 중 무기금수와 군부 경제제재, 국제사법재판소(ICJ) 회부 조치를 즉각 시행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미국도 압박에 동참했는데 미 상무부는 이날 미얀마 국방부와 내무부, 군부가 소유한 미얀마경제기업(MEC), 미얀마경제지주회사(MEHL) 등 4곳을 수출규제 목록에 등재하며 추가 제재를 단행했고 동영상 공유사이트 유튜브 역시 군부가 소유한 5개 채널 플랫폼을 제거하는 식으로 지원사격에 나섰습니다.
미얀마 시민들도 유엔의 개입을 간절히 바라고 있는데 집회 현장에는 ‘R2P, 유엔이 움직이려면 얼마나 더 많은 시신이 필요한가’라는 내용이 적힌 팻말이 수없이 등장했습니다.
대다수 시민들은 “전쟁을 원하지 않지만 유엔이 행동에 나서라”고 소리쳤고 이날도 만달레이에선 시위대 1명이 군경의 총탄을 맞고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우리나라도 1980년대 광주민주화항쟁 과정에서 미군이 광주를 구원해 주러 올 것이라고 끝까지 믿었다고 하던데 이후 반미사상이 퍼지는 단초가 된 것이 미국의 신군부 지지에 이유가 있었습니다
오늘 문재인 대통령은 개인 SNS를 통해 미얀마 군부쿠데타 세력의 민간인 학살을 중단할 것을 요구하셨습니다
정세균 총리도 미얀마 군부쿠데타 세력의 민간인 학살에 분명한 목소리로 반대를 했고 외교2차관도 아세안 외교관들과 정례모임에서 미얀마 대사에게 미얀마 쿠데타 군부의 민간인 학살을 중단하라고 요구하였습니다
미얀마 군부쿠데타 세력의 민간인 학살이 점점 강도를 더해가고 있는 가운데 유엔의 간섭에 중국이 가장 큰 걸림도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미얀마 군부쿠데타 세력은 미중간 등거리 외교를 지향하지만 중국에 의지하여 민간인 학살을 지속해 갈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미얀마 경찰과 관료들이 쿠데타군부에 반대하며 저항에 동참하고 있고 일부 미얀마군도 민간인 사살 명령을 거부하고 소수민족 반군에 동참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미얀마가 내전 양상으로 치닫고 있는 모습이라 유엔의 행동이 늦어질수록 더 많은 희생이 발생할 수 밖에 없어 보입니다
'세상살아가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SSG닷컴 오는 8일부터 14일까지 일주일 간 ‘럭셔리 페어’ 프로모션 실시 (0) | 2021.03.07 |
---|---|
미국 항공우주국(NASA) 화성 탐사선 퍼서비어런스 로버 화성 첫 시험 주행 성공 발표 (0) | 2021.03.07 |
코로나19백신 누적 접종자 30만명 육박 기레기 가짜뉴스와 왜곡보도 속지 않습니다 (0) | 2021.03.06 |
내장사 대웅전 술 취한 승려의 방화로 소실 (0) | 2021.03.06 |
문재인 대통령 3시 신도시 땅 투기 의혹 관련 청와대 직원 및 가족에 대한 자체조사 지시 걸린 놈은 뒤졌어 (0) | 2021.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