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live/6TXP6W__mi4?feature=share
안녕하세요
뉴욕증시는 지역 은행 주가가 오름세를 보인 가운데 혼조세로 장을 마쳤습니다.
27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94.55포인트(0.60%) 오른 32,432.08로 거래를 마쳤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6.54포인트(0.16%) 상승한 3,977.53으로,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55.12포인트(0.47%) 하락한 11,768.84로 거래를 마감했습니다.
지역 은행주들이 반등하면서 개장 초 안도 랠리가 나왔으나 그동안 강세를 보여왔던 대형 기술주들이 차익실현과 국채금리 상승에 하락해 나스닥지수만 나 홀로 하락했습니다.
개장 전부터 퍼스트 리퍼블릭 은행 등 지역 은행들의 주가가 오름세를 보였고 또한 지난주 금요일 급락했던 도이체방크의 주가도 크레디트스위스(CS)은행과는 상황이 다르다는 분석에 유럽 시장에서 4% 이상 상승했습니다.
지역 은행들의 주가 반등은 미국 당국이 은행들에 대한 긴급 유동성 대출 프로그램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이 나왔기 때문입니다.
앞서 외신들에 따르면 연방 당국은 은행기간대출프로그램(BTFP)으로 알려진 은행 대출 프로그램을 확장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BTFP는 적격 금융 기관에 1년 동안 국채와 주택저당증권(MBS) 등을 담보로 대출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 실리콘밸리은행(SVB)의 파산 직후 위기가 다른 은행권으로 전이되는 것을 사전 차단하기 위해 당국이 제공한 프로그램입니다.
파산한 SVB가 새 주인을 찾았다는 소식도 은행권에 대한 안도랠리를 가져오고 있는데 SVB는 퍼스트 시티즌스 은행이 인수하기로 했고 퍼스트 시티즌스는 SVB의 모든 예금과 대출을 인수하는 데 합의했는데 퍼스트 시티즌스의 주가는 53% 이상 폭등해 시장참여자들은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모습입니다.
퍼스트 리퍼블릭 은행의 주가가 11% 올랐고, 코메리카, 키코프의 주가도 5% 이상 상승했습니다.
씨티그룹과 뱅크오브아메리카, 웰스파고의 주가도 3~4%가량 상승했습니다.
마이클 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금융감독 담당 부의장은 이날 의회에 출석해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은 잘못된 경영의 전형적인 사례라며, 미국 은행 시스템은 탄탄하고 강한 자본과 유동성을 갖추고 있다고 말했는데 SVB가 미 국채에 자산의 50% 이상을 담고 있었어도 손실을 피할 수 없었다는 점에서 미 국채의 안전성에 의심이 들고 있고 이는 미 국채를 많이 사주던 중국과 중동의 오일머니가 미 국채를 팔고 있다는 점에서 더 이상 미국채가 안전자산으로 위상이 예전만 못하다는 사실을 확인시켜 주고 있는 사례가 되고 있습니다
미국 금융권의 불안은 이런 미국 국채의 안전자산으로 위상이 흔들리고 있기 때문인데 중동의 산유국들이 중국 위안화로 석유거래에 나서면서 페트로달러 위상이 흔들리고 있고 이는 기축통화로써 달러의 위상을 흔드는 상황입니다
투자자들은 주 후반 나오는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선호하는 물가 지표와 연준 당국자들의 발언을 주시하고 있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바에 따르면 이코노미스트들은 2월 근원 PCE 가격지수가 전월보다 0.4% 상승하고, 전년 대비로는 4.7% 오를 것으로 예상했는데 전월 대비 수치는 1월의 0.6%보다는 둔화하겠지만, 전년 대비 수치는 4.7%로 전달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인플레이션 압력이 지속되고 금융 시장 불안이 진정될 경우 연준이 추가 금리 인상에 나설 가능성은 커질 수 밖에 없는데 이날 시장에서는 다음 회의에서 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은 40%대로 높아졌습니다.
이번 주에는 수전 콜린스 보스턴 연은 총재와 토마스 바킨 리치먼드 연은 총재, 존 윌리엄스 뉴욕 연은 총재 등이 연설에 나설 예정입니다.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는 전날 CBS 방송 인터뷰에서 은행권 부담으로 경기침체 우려가 커졌는지 묻는 말에 "확실히 우리는 더 근접했다"라고 말해 경기침체 위험성을 인정했습니다.
카시카리 총재는 "은행권 스트레스가 얼마나 광범위한 신용경색으로 이어질지는 불명확하다"라면서 "이에 따라 경기가 둔화할 것인가를 우리가 매우 자세히 살펴보고 있다"라고 말해 은행권의 신용경색이 위험한 상황이라는 사실을 인정했습니다.
S&P500지수 내 통신, 기술, 부동산 관련주가 하락하고, 에너지, 금융, 산업, 자재 관련주는 올랐습니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은행 부문이 다소 안정되면서 안도 랠리가 나오는 것이라고 해석했습니다.
SVB파산과 재빠른 M&A는 미 금융당국이 사태를 수습할 능력과 실력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다소 안도랠리가 나타날 수 있지만 미국채에 대한 안전자산 신뢰가 무너지고 있다는 것은 기축통화로써 달러의 위상마져 흔들고 있어 미국 정부의 부채가 또 다른 도화선이 되고 있습니다
중국도 중동의 산유국들도 더 이상 미국 국채를 사주지 않는다면 미국 정부는 파산위험과 인플레이션에 직면할 수 밖에 없어 더 높은 금리의 국채를 판매할 수 밖에 없고이는 기준금리 인상을 부추기게 될 것입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마감 시점 연준이 5월 회의에서 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은 42%,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은 58%가량에 달했습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1.14포인트(5.24%) 하락한 20.60을 나타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케이피에프 계열사 TMC 실적 개선과 에스비비테크 지분가치 미반영 (0) | 2023.03.28 |
---|---|
미국 중소은행 퍼스트시티즌스 뱅크셰어스 파산한 실리콘밸리은행(SVB) 인수 (0) | 2023.03.28 |
파워로직스 수산화리튬시장 고성장세 수혜 기대감 (0) | 2023.03.27 |
포스코엠텍 냉천 범람 피해 복구와 알루미늄 탈산제 사업 부각 상한가 (0) | 2023.03.27 |
롯데그룹 어려운 경영 여건에도 일본롯데에 1000억 원 이상 배당 돈은 한국에서 벌고 챙기는 건 일본 (0) | 2023.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