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www.youtube.com/live/E9EoxtEqyMs?feature=share 

안녕하세요

뉴욕증시는 미국의 6월 비농업 고용지표 발표를 하루 앞두고 ADP 민간 고용 지표가 큰 폭 증가하면서 국채금리가 크게 올라 3대지수 모두 하락 마감했습니다.

 

고용시장 관련 지표들이 견조하게 나오면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추가 금리인상 가능성이 컸졌습니다.



6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66.38포인트(1.07%) 하락한 33,922.26에 마감했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35.23포인트(0.79%) 하락한 4,411.59를,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112.61포인트(0.82%) 내린 13,679.04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투자자들은 이날 민간 고용과 국채금리 움직임 등을 주시했는데 ADP 전미 고용보고서에 따르면 6월 민간 부문 고용은 전월보다 49만7천명 증가했습니다.

 

이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인 22만명의 두 배 이상으로 이날 수치는 2022년 7월 이후 가장 많은 수준으로 대면 서비스 부문의 고용이 크게 늘어난 것이 영향을 미쳤습니다.

 

다만, 임금 상승률은 6.4%를 기록해 전월의 6.6%에서 둔화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인플레이션 압력을 낮추고 있는 모습입니다.

 

ADP의 민간 고용 지표는 노동부의 고용보고서를 하루 앞두고 발표돼 6월 민간 부문에 대한 고용 상황을 가늠하게 해주지만 비농업 고용지표와 완전히 일치하는 것은 아닙니다.



시장 참가자들은 고용 시장 관련 지표들이 견조한 양상을 이어가면서 연준의 금리인상 지속 가능성에 차익실현에 주력하는 모습인데 연준이 추가 금리인상에 나설 충분한 명분을 손에 쥐었다고 생각하는 투자자들이 많아진 모습입니다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6월 노동부의 비농업 부문 고용이 24만명 증가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데 
이는 전월 33만9천명보다 줄어든 수치입니다.

 

6월 실업률은 3.6%로 5월의 3.7%에서 낮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날 민간 고용이 크게 증가했다는 소식에 국채금리가 큰 폭으로 상승한 점도 주식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줬는데 이날 2년물 미 국채수익률은 장중 한때 5.1%까지 올라 2006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10년물 미 국채수익률도 올해 3월 이후 처음으로 4.0%를 웃돌았습니다.



일반적으로 미국 국채 수익률이 오르면 성장주들은 투자비 마련이 어려워져 주가가 약세를 나타내게 됩니다


미국 기업들의 6월 감원 계획도 줄어들었는데 챌린저, 그레이 앤드 크리스마스(CG&C) 감원보고서에 따르면 6월 감원 계획은 4만709명으로 전월 8만89명 대비 49% 감소했고 이는 지난 2022년 10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이 이날 중국 베이징에 도착해 나흘간의 방중 일정을 시작했는데 옐런은 방중 기간 리창 국무원 총리·허리펑 부총리·류쿤 재정부장(장관) 등 중국 경제라인의 핵심 인사들과 만날 예정으로 양측간 쌍방 경제 제재가 지속되는 가운데 이번 옐런의 방중이 양측 긴장을 완화해줄지 주목되는데 시장참여자들은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이 미국국채를 얼마나 팔고 올 수 있을 지 관심이 많은데 중국이 더 이상 미국국채의 주요고객이 아니라 매도자라는 점은 미국 정부의 부채증가에 부담이 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종목 별로는 기술주들이 부진한 양상을 보였는데 메타 플랫폼스의 주가는 트위터 대항마 '스레드'를 출시한 가운데 약간 하락했고 구글 모기업인 알파벳A는 1%대 하락, 아마존닷컴도 1%대 내렸고 애플은 약간 올랐습니다.

 

테슬라 주가는 2%대 하락했고, 엔비디아도 약세를 보였습니다.



금융주도 힘을 받지 못했는데 씨티그룹과 골드만삭스 주가는 각각 3%대, 2%대 하락했습니다.



이날 스피릿 에어라인스의 주가는 제트블루가 아메리칸 항공과의 업무제휴를 종료하고 스피릿과의 합병에 더 집중할 것이라고 밝히면서 1%대 올랐습니다.



엑손모빌의 주가는 천연가스 가격 하락이 2분기 순익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밝히면서 3%대 하락했습니다.



업종지수는 11개 모두 하락했는데 에너지 관련 지수가 2%대 하락했고, 임의소비재, 통신, 유틸리티 관련 지수는 1%대 내렸습니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앞으로는 금리 인상 여부가 아니라 금리 인상 시점이 중요해질 것이라고 말했는데 미연준이 7월 FOMC회의에서 25bp만큼 금리인상을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데 하반기에 추가 금리인상이 이어지며 증시의 발목을 잡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지금은 추가 금리 인상에도 수익을 낼 수 있는 확실한 자기 시장을 갖고 있는 종목들 위주로 포트폴리오를 다시 짜야 하는 시기가 왔습니다

 

우리 증시는 GS건설의 부실공사 여파와 새마을금고의 연체율 급증이 채권시장을 얼어붙게 만들고 있는데 GS건설의 대규모 부실공사가 현실로 드러나면서 건설업종 전반에 불신이 커지고 있고 GS건설의 전국사업장에 대한 전수조사 결과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는데 국토교통부는 GS건설의 부실공사를 검단 아파트로 국한하려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 최근 지어진 GS건설의 아파트들이 언제 무너질지 모른다는 불안감에 GS아파트 입주를 꺼릴 수 있어 건설업 전반에 불신이 커질 수 밖에 없어 보입니다

 

국토부가 GS건설의 전국 사업장을 전수조사 해 솔직하게 부실공사를 다 찾아내고 GS건설을 파산시켰다면 불신이 금새 잦아들겠지만 GS그룹 하나 봐주겠다고 국민경제 전반에 불신을 만든 꼴이라 이를 봐준 국토부 고위 관료들은 GS그룹에게 회전문 인사의 은혜를 입겠지만 국민경제 전반에 큰 상처가 날 수 밖에 없어 보입니다

 

여기다 새마을금고를 관리하는 행정안전부의 무능은 결국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이 전면에 등장해 뱅크런을 안정시키는 상황까지 만들고 말았는데 이럴 때 국책은행인 한국산업은행이 부산으로 이전하여 한국은행의 방패막이가 되지 못한다는 점은 국민경제에 더 큰 불안감을 키우고 있습니다

 

윤석열 정부의 검사 출신 고위 관료들의 무능이 국민경제 전체를 불안과 공포로 몰아넣고 있습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1.26포인트(8.89%) 오른 15.44에 거래됐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