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www.youtube.com/live/rMAP12OEhSE?si=x0QdW_RsQN8_JGQh

 

안녕하세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불확실성이 연방준비제도 이사회 의장 파월의 사임을 요구하는 지경에 이르러 미국 달러화에 대한 불안감이 미국 증시를 급락으로 몰아갔습니다



트럼프 관세정책은 안전자산 수요 증가를 가져왔고 국제금값은 랠리가 펼쳐지고 있고, 국제유가는 경기침체 우려 및 공급 확대 가능성에 하락하고 있습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971.82포인트(-2.48%) 떨어진 38,170.41에 거래를 마쳤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24.50포인트(-2.36%) 내린 5,158.20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415.55포인트(-2.55%) 내린 15,870.90에 각각 마감했습니다.



지난 18일 성(聖)금요일(부활절 전 금요일) 휴장 후 4일 만에 개장한 뉴욕증시는 연준을 향한 트럼프 대통령의 압박이 인플레이션  우려를 키우고 있습니다.


미국의 관세 협상이 진전을 보이지 않고 있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은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을 상대로 금리 인하 압박을 지속한 게 투자자들의 우려를 키우고 있는데 제롬파월 연준의장의 일관성 있는 통화정책이 그나마 투자자들에게신뢰를 주고 있는 것인데 이를 무시하고 금리인하를 트럼프가 강요하면서 임기가 1년이나 남은 파월 의장의 사임이 현실화되는 것이 아닌가 시장참여자들을 불안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글을 올려 "'미스터 투 레이트'(Mr. Too Late·의사결정이 매번 늦는다는 뜻)이자, 중대 실패자(a major lose)가 금리를 내리지 않으면 경기 둔화가 있을 수 있다"고 썼고 지난 17일에도 "내가 그의 사임을 원하면 그는 매우 빨리 물러날 것"이라면서 사퇴 압박성 발언을 하기도 했는데 행정부 수반인 대통령이 중앙은행 총재인 연준의장의 사임을 노골적으로 요구한 경우는 지금까지 없었기 때문에 투자자들을 더 황당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이날 대부분 업종이 약세를 보인 가운데 '매그니피센트7'(M7)로 대변되는 대형 기술주들의 낙폭이 컸는데 인공지능(AI) 대장주 엔비디아가 4.5% 하락했고, 테슬라는 1분기 실적 발표를 하루 앞두고 5.8% 급락했으며 아마존(-3.1%), 메타(-3.4%) 등 다른 대형 기술주도 3%대 낙폭을 키웠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연준 압박은 투자자금의 미국 자산 이탈과 함께 달러화 약세로 이어졌는데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화의 가치를 반영한 달러 인덱스는 이날 장중 97.9까지 저점을 낮추며 2022년 3월 이후 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는데 중앙은행인 연준의 독립적인 통화정책에 불안감이 커졌기 때문입니다.



미 국채 가격은 주가와 동반 하락(국채금리 상승)했는데 전자거래 플랫폼 트레이드웹에 따르면 이날 뉴욕증시 마감 무렵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4.41%로, 직전 장 마감 시간인 17일 오후 2시께 대비 8bp(1bp=0.01%포인트) 올랐습니다.



주가가 하락할 때 안전자산 선호 심리 확대로 미 중장기 국채 금리가 하락하는 경우가 많지만, 안전자산으로서의 달러화 지위에 의구심을 보인 투자자들이 미국채를 매도하면서 국채 금리 상승과 달러화 약세를 초래했습니다.



트럼프의 미치광이 전략이 연준의장의 사임까지 갈 수 있다는 불안감이 투자자들의 안전자산 선호 심리를 강화시키고 있는데 달러화로 표시되는 금값은 사상 최고치를 다시 경신했습니다.\



금 현물 시세는 이날 장중 온스당 3천430달러선으로 고점을 높이며 최고치 기록을 다시 썼는데 6월 인도분 금 선물 종가는 온스당 3천425.3달러로 전 거래일보다 2.9% 올라 역시 최고치 기록을 경신했습니다.



국제유가는 급락했는데 뉴욕상업거래소에서 5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종가는 배럴당 63.08달러로 전 거래일보다 1.60달러(2.47%) 하락해 경기침체를 예고하고 있습니다.



관세 불확실성에 따른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 속에 지난 19일 이탈리아에서 열린 미국과 이란의 핵 협상이 진전을 보였다는 평가가 나온 게 공급 확대 기대를 높였습니다.

 

지금 상황은 트럼프라는 벌거벗은 왕이 자본주의 왕인 연준의장에게 왕의 명령을 듣지 않으려면 물러나라고 하는 상황인데 자본가들은 멍청하고 미련한 트럼프왕보다 자본주의 왕인 제롬파월 연준의장을 더 신뢰하고 있다는 사실을 숫자로 보여주고 있는 것입니다

 

제롬 파월 의장이 임기를 1년 앞두고 사임한다면 미국 자본시장은 대공황과 같은 충격과 불확실성에 빠져들고 인플레이션은 잡기 어려울 뿐 아니라 미국 경제가 치유하기 어려운 경기침체에 빠져들 수 있다는 불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트럼프에게는 미구인들에게 보여준 관세협상의 시범케이스가 필요한데 한덕수 대행은 그런 시범케이스가 될 준비가 되어있고최상목 경제부총리도 여기에 가담할 준비가 되어 있어 윤석열 내란에 동참한 그의 내각이 우리나라 국익을 팔아넘기고 자신들의 구명을 트럼프에게 의존하려는 것으로 의구심이 들고 있어 이번주 있을 2+2 관세협상이 우리시장의 불안감을 키워주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