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뉴욕증시는 미국 국채금리의 방향에 따라 등락하며 변동성이 큰 모습을 보였는데 29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90.73포인트(0.26%) 오른 34,390.72로 거래를 마쳤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도 전장보다 6.83포인트(0.16%) 상승한 4,359.46으로 장을 마친 반면,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34.24포인트(0.24%) 하락한 14,512.44를 기록했습니다.
전날 주요 지수가 크게 하락한 영향으로 세 지수는 모두 개장 초부터 반등세를 보였습니다.
그러나 국채 금리가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의 발언에 다시 1.54%대까지 오르면서 주가 지수의 오름세가 축소됐고, 나스닥 지수는 결국 하락세로 장을 마쳤는데 시장 참가자들은 미국 국채금리의 움직임과 파월 의장의 발언에 주목했습니다.
파월 의장은 이날 유럽중앙은행(ECB)이 주최하는 정책 포럼에서 최근의 인플레이션 상승세가 공급 병목현상으로 내년까지 더 오래 지속될 수 있다고 말했는데 파월 의장은 "현재 인플레이션 급등은 강한 수요에 맞추려는 공급의 제약이 지속된 결과"라며 "그 효과가 얼마나 클지, 얼마나 오래 지속될지 말하기는 매우 어렵다"라고 말했습니다.
파월 의장은 이어 인플레이션 상승이 미래의 기대인플레이션 상승을 이끄는 증거를 발견한다면 대응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는데 파월 의장이 인플레이션이 내년까지 지속될 수 있음을 언급하면서 국채금리가 오름세를 보였고, 이는 기술주에 부담이 됐습니다.
전날에는 10년물 국채금리가 1.56%까지 올랐으며, 이날은 개장 초 1.50%를 밑돌았으나 이후 1.54% 근방까지 올랐는데 금리 상승 압력에 달러화지수는 이날 94를 넘어섰고 이는 지난해 9월 이후 최고치를 찍은 모습입니다.
패트릭 하커 필라델피아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이날 연설에서 연준이 곧 테이퍼링을 시작하는 것을 지지한다고 말했는데 하커 총재는 미국의 첫 금리 인상 시기는 내년 말이나 내후년 초로 예상했습니다.
정치적 불확실성은 지속됐는데 민주당의 척 슈머 상원 원내대표는 정부 셧다운(부문 업무정지)을 막기 위한 법안을 이르면 29일 표결에 부칠 것이라고 말했고 예산안 협상이 지지부진하자 30일까지 임시예산안만이라도 통과시켜 연방정부의 셧다운을 막자는 취지입니다.
미국 공화당이 하는 짓이 과거 문재인 정부 초기에 국정에 비협조로 일관하며 사보타지하던 국민의힘을 보는 듯 한데 연방정부가 셧다운 할 경우 그 피해는 고스란히 미국 중산층 이하가 뒤집어 쓰게 되어 있어 이들의 반발이 심해질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조 바이든 정부가 부자증세를 들고 나온 상황에서 기업들의 로비도 공화당이 이런 막무가네 비협조와 막가파식 방해의 원동력이 되고 있는 모습입니다
장 종료 후 하원 다수당인 민주당에서 연방정부 부채한도 유예안을 다시 통과시켰는데 상원에서 다시 부결시키기에는 공화당도 부담이 크기 때문에 이번에는 통과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디폴트(채무불이행) 위기에 몰렸던 중국 부동산 개발업체 헝다가 자회사 성징은행을 매각하기로 했다는 소식에 안도하는 투자자들도 많아지고 있는데 앞서 아시아 시장에서 헝다는 성징은행의 지분 19.93%를 매각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고 이 같은 소식에 헝다의 유동성 위기가 다소 완화될 것으로 예상되긴 하지만 350조 부패의 부실화 앞에 겨우 1~2조원대 유동성 확보로는 시장을 안심시키기에 역부족으로 보여집니다.
주택 관련 지표는 강세를 이어갔는데 지난 8월 매매계약에 들어간 펜딩(에스크로 오픈) 주택판매가 시장 예상을 크게 웃돌았습니다.
전미부동산중개인협회(NAR)는 8월 펜딩 주택판매지수가 전월보다 8.1% 증가한 119.5를 기록했다고 발표했고 이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인 전월대비 1.2% 증가를 대폭 웃돈 수준입니다.
업종별로 유틸리티, 필수 소비재, 헬스, 부동산 관련주가 올랐고, 통신, 기술, 자재 관련주는 하락했습니다.
이날 직상장으로 뉴욕증시에 입성한 미국 안경 전문업체인 와비 파커의 주가가 거래 첫 날 30% 이상 올랐는데 달러트리의 주가는 자사주 매입을 확대하고 일부 지역에서 제품 가격이 1달러 이상인 제품도 판매하겠다고 밝히면서 16% 이상 올랐습니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주가가 큰 폭으로 하락한 후 강하게 반등하는 전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펀더멘털이 탄탄한 만큼 시장을 낙관했는데 클라인워트 함브로스의 파하드 카말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월스트리트저널에 "주식에 대한 금리 압박이 오늘 완화됐다"라며 "큰 폭의 매도세를 보이고 난 다음 날에 강한 반등을 보이는 같은 패러다임이 나타나는 것을 보고 있다"라고 말했고 그는 "전망은 여전히 펀더멘털상 긍정적이다"라고 덧붙였습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은 내년 9월 금리 인상 가능성을 50.5%로 반영했고 해당 기간까지 1회 금리 인상 가능성은 39.5%, 2회 금리 인상 가능성은 10.0%로 나타났습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에서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0.69포인트(2.97%) 하락한 22.56을 기록했습니다.
미국시장 내 유동성이 아직 넘쳐 흐르는 상황에서 악재로인한 주가 하락은 곧 저가 매수의 기회로 작용하는 듯한 모습이 관찰되고 있습니다
우리 한국은행은 금리인상을 통해 시중 유동성을 빨아들이기 시작했지만 미국 FRB는 여전히 테이퍼링 조차 시행하지 못하고 과잉 유동성이 인플레이션을 조장하도록 두고 보고 있는 상황입니다
미국 연방정부의 셧다운이 가장 큰 불확실성으로 대두되고 있는데 이런 리스크가 발생한 것은 조 바이든 정부가 부자증세의 일환으로 법인세 인상을 시도하고 있기 때문인데 미국 대기업의 로비를 받고 있는 공화당이 막가파식 반대를 하고 있어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 위기에 내몰리게 될 것입니다
극우파에게 점령된 공화당은 공당으로 역할을 간과하고 이익단체처럼 행동하고 있어 한심할 따름인데 실제로 미국 정부가 셧다운 될 경우 학교와 보건위생 당국도 문을 닫게 되어 코로나19 대응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미국의 꼴이 한심할 따름인데 저런 모습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할 것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K컨텐츠 관련주 오징어 게임 글로벌 흥행으로 몸값 재평가 (0) | 2021.09.30 |
---|---|
팬덤 비즈니스 플랫폼 디어유 상장 추진 에스엠 JYP Ent 동반 강세 (0) | 2021.09.30 |
남북경협주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 겸 국무위원장 남북 통신연락선 복원 발언에 기대감 (0) | 2021.09.30 |
삼성SDI 럭셔리카 브랜드 롤스로이스 전기차 배터리 공급 확정 (0) | 2021.09.29 |
리비안 부품주 미국 리비안 상장 추수감사절 전후 예정 소식에 일제히 급등세 (0) | 2021.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