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youtube.com/shorts/llZ1iMCHyrQ?si=gGIL0VGnX2MVsUV2

 

부동산 투자는 처음 직장 생활을 시작할 때부터 부동산 투기로 돈을 벌지 않겠다는 오만한 생각에 돌아보지 않았지만 나이가 반백이 되고 살집을 마련하며 자식도 성장하니 부동산 투자가 노년에는 모아 둔 목돈을 가지고 할 수 있는 투자 중에 한가지라는 생각으로 바뀌게 되면서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나는 청약통장을 버리고 경매로 건물주가 되었다" 책의 저자 부비게이터는 25살 나이에 모델하우스 알바를 기회로 부동산 투자에 일찍 눈을 떴고 지금은 고려대 대학원을 다니면서 부동산 시장에서 경매를 강의하는 부동산 전문 투자자로 유명한 것 같습니다

 

" 나는 청약통장을 버리고 경매로 건물주가 되었다 " 책은 부동산 경매투자를 시작하려는 부린이들에게 부동산 경매 시장을 알려주는 부동산경매투자입문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한 평생 주식투자만 해 온 사람으로 부동산 투자는 목돈으로 투자할 수 있는 투자대상으로 생각해 왔는데 저자인 부비게이터는 적은 돈으로 시작할 수 있는 투자자산이자 투자방법이라고 해 생각의 전환을 가져오는 것도 같습니다

 

" 나는 청약통장을 버리고 경매로 건물주가 되었다 " 책은 4개 목차로 구성되어 있는데 1장부터 3장까지는 부동산 경매 투자에 대한 철학과 실제 부동산 경매투자가 어떤 식으로 이뤄지는지 실증적인 사례들을 가지고 설명하고 있어 초보자들에게는 좋은 안내서가 될 것 같습니다

 

마지막 4장에서 2025년 부동산 시장 전망에 대해 담고 있는데 여기서 부동산 시장 투자에 일반적으로 알고 있어야 하는 시장 전망 방법을 실증적인 과거 부동산 시장 흐름을 가지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 나는 청약통장을 버리고 경매로 건물주가 되었다 " 책은 전체적으로 이론 중심의 어랴운 책들과 비교해 쉽게 쓰여져 가볍게 읽을 수 있지만 2장과 3장에서 부동산 경매 투자의 실증 사례를 설명할 때는 꼼꼼하게 밑줄 쳐가며 읽어보면 의외로 나름 깊이 있는 내용도 있어 부동산 경매에 관심을 갖고 있는 투자자라면 눈여겨 보는 것도 좋아 보입니다

 

저자는 93년 생으로 이제 서른이 갓 넘은 나이로 부동산 경매를 통해 건물주가 되었다는 사실을 자신의 삶으로 부동산 경매가 돈을 벌 수 있는 수익의 수단이라는 사실을 증명하고 있는데 역시나 도전은 한살이라도 젊었을 때 해야 된다는 생각이 드네요

 

나이가 반백이 넘어가니 리스크 보다는 보다 안전한 투자수익에 관심이 가고 부동산 경매 같은 공격적인 투자는 의식적으로 피하게 되는 것 같아 안타깝다는 생각이 스스로 들기도 합니다

 

2030세대에게 부동산 경매가 인생을 바꿀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저자는 주장하고 있는데 "나는 청약통장을 버리고 건물주가 되었다" 책에서 밝히고 있듯이 덜 위험한 물건을 찾아 경매에 도전해 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는 생각이 들기는 하지만 그 전에 책을 꼼꼼히 읽어보고 공부해 전체적인 투자 시뮬레이션에서 리스크를 줄여가는 것도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아무래도 투자에 있어 각종 위험이 수익보다 투자실패를 가져오는 요인들이라 사전에 충분히 공부하고 이에 대비할 수 있는 지식을 갖고 있다면 실제 상황이 발생했을 때 당황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저자 부비게이터도 20권에서 30여권의 부동산 책을 읽고 온라인 블로그에서 최신 정보와 고수들의 투자방법을 공부하고 실전에 뛰어들었다고 하니 그런 노력이 먼저 선행해야 부동산 경매 투자에서 성공할 수 있을 겁니다

 

"나 나는 청약통장을 버리고 경매로 건물주가 되었다 "는 30대 건물주가 된 저자 부비게이터의 경험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투동산 경매 투자 초보자들을 위한 입문서라는 생각이 듭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Lqt458SPcFY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오픈엣지테크놀로지는 AI시스템반도체 설계 IP(Intellectual Property, 지적재산) 기술을 개발하는 기업으로 고성능 'Total Memory System IP Solution' 및 동 솔루션과 NPU(Neural Processing Unit, 신경망처리장치)를 결합한 'AI Platform IP Solution for Edge Computing'을 현재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제공 가능한 회사입니다

 

오픈엣지테크놀로지는 AI반도체가 연산능력의 급증으로 발열문제와 에너지소비가 급증하는 문제가 대두되는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저전력반도체를 설계하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AI반도체 설계에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오픈엣지테크놀로지가 보유한 NPU와 고성능 메모리 시스템이 통합된 AI 플랫폼 IP 통합 솔루션은 AI반도체 개발에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매출 외형 성장과 수익성 개선에 기대감을 키워주고 있습니다

 

오픈엣지테크놀로지의 수익은 고객사로부터 수취하는 'IP 라이선스 Fee'와 '로열티'로 IP 라이선스 Fee는 고객의 요구에 의해 개발하는 반도체 설계에 대해 1회성으로 받는 수익이지만 로열티는 생산량에 비례하는 수익구조로 대량소비하는 칩의 경우 수익도 급증하는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오픈엣지테크놀로지는 미국 캐나다 일본 등 반도체 수요 고객들이 있는 나라에 영업거점을 마련해 있고 이들을 통해 고객사의 주문을 받아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최근들어 미국 정부가 '첨단 반도체 패키징 및 포토닉스 센터'를 설립 해 독자적인 '광반도체’ 기술 개발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오픈엣지테크놀로지는 23년부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책 과제(주관 연구기관)를 통해 퀄리타스반도체 등과 함께 UCIe(Universal Chiplet Interconnect express) 표준을 따르는 칩렛 인터페이스 개발을 진행 중에 있어 실리콘 포토닉스 핵심기술의 개발에 나선 상황입니다

 

오픈엣지테크놀로지 지난 해 하반기 운영자금 450억원과 타법인 취득자금 150억원을 마련하기 위해 총 600억원의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결의했는데 스톤브릿지와 에이티넘을 대상으로 발행된 상환전환우선주는 1년 보호예수된 상황입니다

 

상환전환우선주에 대한 전환가격 조정이 최근에 이뤄져 오픈엣지테크놀로지는 주가상승을 통해 주식전환을 유도하기 위한 작업에 들어간 느낌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오픈엣지테크놀로지 2024Q3 IR.pdf
8.32MB
오픈엣지테크놀로지 20241108_기업IR협의회.pdf
1.55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2P0gJogAxr4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신성이엔지의 2024년 4분기 실적발표에서 드디어 분기 흑자전환에 성공하면서 올 해 2025년 실적 개선 기대감을 키워주고 있습니다

 

신성이엔지는 지난해 연결재무제표 기준 누적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5835억원, 54억원으로 잠정집계 됐다고 공개했는데 특히 4분기에는 직전 분기 적자에서 크게 개선된 67억원으로 실적 개선의 변곡점을 마련했습니다.

 

신성이엔지는 주요 고객사의 사업이연과 미국 등 해외프로젝트 관련 수출 물류 비용 증가로 영업이익이 감소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업부문별로 살펴보면, 클린환경(CE) 사업부문은 연간 매출 2713억원을 달성했는데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국내 주요 반도체 기업의 수주가 전체 실적을 견인했고,디스플레이와 2차전지 산업군에서도 꾸준히 실적을 이어갔는데 북미지역 반도체 공장 건설 과정에서 클린룸에 대한 투자가 이뤄지며 실적을 내는데 성공한 것입니다

 

글로벌 사업부문은 2621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는데 북미 시장에서 IRA법으로 대규모 배터리 프로젝트를 수주하며 미국이 전체 해외 매출의 약 30%를 차지했고 인도네시아, 유럽 등 주요 거점에서 안정적인 수주를 확보해 2025년 실적도 기대감을 갖게하고 있습니다

 

재생에너지(RE) 사업부문은 506억원의 매출과 14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는데 지자체와 기업 대상 태양광 EPC 사업 수주와 모듈 공급 계약을 확보했으나, 원자재 가격 상승과 프로젝트 지연으로 수익성이 저하되었는데 올 해는 대기업의 RE100 투자가 본격화 될 것으로 예상되어 실적호전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전기차 케즘으로 전기차배터리 업체들의 드라이룸 투자가 이연 된 것들이 올 해 본격 투자재개될 것으로 보여 실적호전 기대감을 키워주고 있습니다

 

신성이엔지는 경영권승계를 위한 호기를 맞고 있어 이에 대한 불확실성이 제거되면 주가가 쌀 이유가 사라지게 됩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신성이엔지 20250103_키움증권.pdf
0.73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6EgdGaq8QSo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NAVER의 지난 해 4분기 실적발표가 있었는데 매출 10조원 시대를 개막하는 어닝 서프라이즈를 내놓았습니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이사는 올해 AI 기술 기반으로 플랫폼을 고도화하겠다는 전략을 꺼내들어 AI에 대한 투자보다 수익화에 주력하겠다는 전략을 공개했습니다

 

네이버는 2024년 4 분기에 매출액 2조 8856억 원, 영업이익 5420억 원, 조정 EBITDA 7459억 원을 각각 기록했다고 공시했습니다.



4분기 연결 매출액은 서치플랫폼과 커머스 등 주요 사업부문의 성장에 힘입어 전년동기 대비 13.7%, 전분기 대비 6.3% 성장한 2조 8856억 원을 기록했고 4분기 조정 EBITDA는 9분기 연속 성장하며 전년동기 대비 28.6%, 전분기 대비 6.7% 증가한 7459억 원의 성과를 냈습니다.



이와 함께 4분기 연결 영업이익 역시 8분기 연속 성장하며 전년동기 대비 33.7%, 전분기 대비 3.2% 성장한 5420억 원을 올렸고 영업이익률 역시 전년동기 대비 2.8%p 개선된 18.8%를 기록했습니다.



이에 따라, 2024년 연간 매출액은 전년 대비 11.0% 증가한 10조 7377억 원을 기록하면서 매출 10조원 시대를 알렸고 연간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32.9% 증가한 1조 9793억 원을, 연간 조정 EBITDA는 전년 대비 24.9% 증가한 2조 6644억 원입니다

 

네이버는 폐쇄형 AI모델 "하이퍼클로바X"를 상업화하면서 AI에 대한 투자비 부담에서 조금은 벗어난 모습으로 하이퍼클라바X의 수익화에 따라 R&D비용보다 수익에 더 큰 관심커지면서 본격 성장에 대한 기대감을 키워주고 있습니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이사는 올해를 온 서비스 AI(On-service AI) 전략을 본격 구현하는 중요한 시기로, AI 기술 기반으로 플랫폼을 고도화하며 새로운 가치와 사업 기회를 창출해 궁극적으로 네이버만의 차별화된 경쟁력을 강화해 갈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4분기 사업 부문별 매출액은 ▲서치플랫폼 1조 647억 원 ▲커머스 7751억 원 ▲핀테크 4009억 원 ▲콘텐츠 4673억 원 ▲클라우드 1776억 원으로 서치플랫폼이 구글과의 경쟁에서 토종기업의 파워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커머스는 10월 네이버플러스 스토어 출시로 인한 쇼핑 경험 향상과 멤버십 제휴 등 이용자 혜택 강화, 그리고 커머스 광고의 효율성과 수익성 향상에 힘입어 전년동기 대비 17.4%, 전분기 대비 6.9% 성장한 7751억 원을 기록했고 이에 따라 4분기 전체 거래액은 13조2000억 원으로 조사됐으며 커머스 부문의 연간 매출액은 전년 대비 14.8% 성장한 2조 9230억 원입니다

 

커머스 부문에 우선적으로 '하이퍼클로바X'가 상업화 위력을 보여줄 것으로 생각되어 구글과의 경쟁에서 보다 나은 한국어 기반의 서비스AI로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핀테크는 스마트스토어 성장세 지속 및 외부 결제액 성장의 영향으로 전년동기 대비 12.6%, 전분기 대비 4.1% 성장한 4009억 원을 기록했는데 4분기 결제액은 전년동기 대비 18.3%, 전분기 대비 3.7% 증가한 19조3000억 원으로 나타났고 핀테크 부문의 연간 매출액은 전년 대비 11.3% 성장한 1조 5084억 원의 성과를 공개했습니다.



콘텐츠는 네이버제트 연결 제외에도 웹툰 AI 콘텐 츠와 연계된 카메라 앱의 유료 구독자 확대에 힘입어 전년동기 대비 0.2%, 전분기 대비 1.0% 성장한 4673억 원으로 집계됐고 콘텐츠 부문의 연간 매출액은 전년 대비 3.7% 성장한 1조 7964억 원입니다.



클라우드는 뉴로클라우드와 라인웍스 유료 ID 수 확대, 그리고 사우디아라비아 디지털 트윈 사업 매출 발생이 지속됨에 따라 전년동기 대비 41.1%, 전분기 대비 22.8% 성장한 1776억 원의 성과를 냈고 클라우드 부문의 연간 매출액은 전년 대비 26.1% 성장한 5637억 원입니다.

 

네이버는 AI모델 개발에 더 이상 이전과 같은 수척억원의 개발비를 쏟아붓지 않을 것으로 보여 올 해 '하이퍼클로바X'의 상업화로 수익성 개선이 빠르게 나타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네이버의 창업자 이해진 글로벌투자책임자(GIO)가 경영 일선에 복귀하고 성공적으로 네이버를 이끌던 최수연 대표도 연임 절차에 들어가 책임경영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이해진 창업자의 경영 복귀는 AI 신사업에서 자신감을 드러낸 것으로 앞으로의 네이버 실적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네이버의 2024년 4분기 실적기준 적정주가는 31만원으로 평가되고 있어 실적을 주가에 반영하는 흐름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4Q24_Naver_Earnings_KOR_vF.pdf
0.34MB
NAVER Factsheet_4Q24_Kor.xlsx
0.36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삼성전자가 드디어 엔비디아로부터 8단 HBM3E 양산 승인을 받으면서 SK하이닉스의 독점구조가 깨지게 되었고 삼성전자의 생산성이 HBM3E 부족사태를 빠르게 해결할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SK하이닉스가 독점하던 엔비디아향 HBM3E 시장에 삼성전자가 뛰어들게 되면서 삼성전자의 공급망에 들어가 있는 소부장 업체들이 수혜를 기대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엔비디아 입장에서는 삼성전자를 통해 HBM 부족사태를 해결하고 납품가격 인하를 유도할 수 있어 AI가속기의 가격인하를 유도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중국 AI스타트업 '딥시크'의 등장으로 고비용 저효율 구조의 엔비디아와 오픈AI가 만든 미국 빅테크의 AI모델 개발 구조가 이제는 저비용 고효율 구조로 바뀌게 될 것 같습니다

 

무엇보다 삼성전자의 엔비디아 공급망 참여와 삼성전자가 오픈AI와 직접 대화를 할 수 있는 방법을 이번 샘알트만 오픈AI CEO 방한과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회동에서 AI동맹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삼성전자의 존재감이 조금씩 드러나고 있는 모습입니다

 

삼성전자의 엔비디아 공급망 참여는 반도체 시장의 재편을 알리는 신호라 할 수 있어 반도체 소부장 관련주들도 오랸만에 반등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반도체 소부장 관련주

램테크놀로지

켐트로닉스

한빛레이저

티씨케이

에스앤에스텍

HB테크놀로지

자람테크놀로지

에이직랜드

퀄리타스반도체

아이씨티케이

티에프이

LX세미콘

가온칩스

리노공업

이오테크닉스

덕산하이메탈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