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대우건설 매각이 흥행 조짐을 보이면서 #효성중공업 이 계열 건설사 #진흥기업 의 매각을 추진한다는 소리가 나오면서 관련주들이 급등하고 있습니다.

진흥기업은 채권단 보유 지분만 쪼개 팔고 있었는데 최대주주 지분을 합친 #경영권 매각 으로 바뀌면서 성사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는데 업계에서는 대우건설 매각 과정에서 중견기업과 사모펀드들의 수요가 드러난 만큼 대우건설 매각이 끝나고 인수에 실패한 기업들 대상으로 진흥기업 인수를 타진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효성중공업은 #진흥기업경영권매각 을 위해 매각 주관사를 선정하고 이르면 이달 투자설명서를 발송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매각 대상은 효성중공업 지분 48.21%와 채권단 지분을 포함한 80.58%로 매각가는 2,800억 원 안팎이 예상되는데 상장사인 진흥기업의 주가가 그대로 반영된 가격으로 채권단이 지분 매각 시 설정한 최저 하한선에 해당하는 가격이기도 합니다.

표면적인 매각자는 효성중공업 뿐이지만 채권단도 지금까지 별도로 지분 매각을 추진해 온 만큼 이번 경영권 매각이 성사되면 함께 지분을 넘길 것으로 예상됩니다.

진흥기업은 2011년 워크아웃에 들어가면서 채권단이 보유한 #무담보채권#출자전환 됐고 채권단은 #우리은행, #KDB산업은행 ,#하나은행, #신한은행, #KB국민은행 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채권단은 2019년부터 지분 매각을 시도했지만 경영권이 없는 소수 지분이어서 매각에 실패했는데 최근에는 진흥기업이 #오세훈테마주 로 묶이면서 주가가 2배 이상 오르자, 우리은행 등 지분을 떼어 장내에 팔았고 한때 44.11%에 이르던 채권단 지분은 현재 32.92%로 줄어든 상태입니다.

도로·교량 등 토목 분야에 강점을 갖고 있던 진흥기업은 2020년 싱공능력 평가액 기준 도급순위 52위에 해당하는 중견 건설사로 2008년 효성그룹이 인수한 뒤 2019년 인적 분할로 효성중공업 자회사가 됐는데 효성그룹에 인수되면서 토목공사보다 주택사업으로 확장했습니다.

지난해 말 기준 수주 규모는 총 4조 7,485억 원으로 #부평4구역주택재개발정비사업 등 민간건축이 5,925억 원, 인천가스저장탱크 등 관급토목이 2,222억 원, 파주운정LH아파트 등 관급건축이 262억 원 가량 됩니다.

매출은 2017년 5,733억 원과 2020년 3,772억 원을 기록했고, 같은 기간 당기순이익은 각각 217억 원과 203억 원으로 나타났는데 외형은 줄었지만 부채비율은 313%에서 138%로 개선했습니다.

솔직히 MB의 사돈그룹이었던 효성그룹이 #4대강사업 진출을 위해 토목공사 위주의 진흥기업을 인수한 것은 업계의 공공연한 비밀이 되어 왔는데 4대강 사업이 끝나고 적자에 시달리던 진흥기업을 채권단 관리로 떠넘기면서 혹독한 구조조정을 거쳐 실적호전을 이뤄낸 상태입니다

효성그룹이 더 이상 건설업에 미련이 없기 때문에 매각에 나서면서 채권단도 부담을 덜게 된 것으로 구조조정이 끝나고 토목공사에서 주택건설로 사업영역이 확장된 건설사라 매력적인 매물이 되고 있습니다

특히 효성중공업과 채권단 지분을 모두 인수할 경우 최대주주 지분이 80%에 달해 경영권 안정도 확보된 상황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