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SK는 원료의약품 위탁개발생산 기업(CDMO) 통합법인 SK팜테코를 통해 미국 세포·유전자 치료제 CDMO인 CBM사에 3억5000만달러(4214억원)를 투자해 2대 주주에 올랐습니다.
SK는 지난해 3월 프랑스 세포·유전자 치료제 CDMO 이포스케시사를 인수한 지 약 9개월만에 세계에서 가장 큰 시장으로 평가받는 미국 세포·유전자 치료제 사업 진출에 교두보를 확보 했습니다.
이번 CBM 투자를 통해 미국, 유럽, 아시아 등 전세계 주요 의약품 시장에서 합성 바이오 신약과 혁신 바이오 신약 모두를 생산하는 글로벌 선도 CDMO로의 목표에 가까이 다가서게 됐는데 합성 의약품 분야에서는 미국·유럽·한국을 잇는 글로벌 생산 체계를 구축하고 매출액 기준 글로벌 탑5 CDMO로 자리잡았습니다.
세포·유전자 치료제는 유전자 및 세포 주입을 통한 혁신적 개인 맞춤형 치료제로 유전 결함으로 발병하는 희귀 질환을 1~2회 유전자 주입으로 완치 수준에 이르게 하는 효능으로, 글로벌 컨설팅업체 딜로이트 등에 따르면 오는 2025년까지 연평균 25%의 높은 시장 성장세가 기대됩니다.
CBM은 세포·유전자 치료제의 핵심 원료인 플라스미드 DNA 디자인·생산부터 바이러스 벡터 생산, 세포주 생산, 세포 처리, 분석 시험 및 최종 완제품에 이르는 전 과정에 핵심 R&D 역량을 보유하고 있는데 플라스미드는 유전자 치료제의 원료물질로 이용되며 코로나 백신을 위한 mRNA의 주원료로 최근 가치가 더욱 높아지고 있습니다.
CBM은 글로벌 성장세에 힘입어 2025년까지 세계 최대 세포·유전자 치료제 생산설비를 구축해 관련 전문인력도 향후 4년간 2000여명의 직원을 추가 채용할 계획입니다.
이동훈 SK 바이오 투자센터장은 "CBM 투자를 통해 2025년까지 미국과 유럽, 아시아 주요 거점 별로 합성·바이오 의약품 사업의 밸류체인을 완성한다는 CMO 파이낸셜 스토리의 핵심축을 확보하게 됐다"며 "바이오 CDMO 집중 육성을 통해 글로벌 1위 세포·유전자 치료제 CDMO로 거듭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SK는 2017년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큅(BMS)의 아일랜드 스워즈 공장, 2018년 미국 앰팩, 2021년 프랑스 이포스케시를 차례로 인수하며 글로벌 입지를 빠르게 강화해 왔는데 2019년에는 글로벌 CDMO 통합법인 SK팜테코를 설립했습니다.
SK그룹이 바이오분야에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는데 단순히 R&D만 하는 것이 아니라 CMO사업을 통해 수익을 내는 투자를 하고 있어 성장성이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미국시장을 타겟으로 바이오제약 사업을 하고 있어 수익성을 가져갈 것을 목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시장도 크고 미래시장성장성도 긍정적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SK그룹은 과거 선경 시절에 생명공학 기업으로 꾸준한 투자를 하고 있어 결과를 만들어내고 있는 것 같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 보툴리눔 톡신 시장 1위 휴젤 해외시장 확대 기대감 (0) | 2022.01.10 |
---|---|
매경이코노미 베스트 애널리스트 평가 하나금융투자 종합 1위 (0) | 2022.01.10 |
안승호 전 삼성전자 IP센터장(부사장) 삼성전자 상대로 특허침해 소송 제기 (0) | 2022.01.10 |
에디슨모터스 쌍용차 인수 본계약 체결 시한 임박 강영권 에디슨모터스 대표 인수 포기 벼랑 끝 협상 (1) | 2022.01.09 |
한일시멘트 자사주 매각 소식에 14.59% 폭락세 (0) | 2022.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