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KT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 연결 기준 매출 26조4312억원, 별도 기준 매출 18조5797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각각 0.2%, 1.1% 성장했는데 특히 별도 서비스매출은 B2C·B2B 사업의 안정적인 성장과 AICT 기업으로의 전환으로 16조원을 처음 돌파했습니다.

 

영업이익은 4분기에 시행한 인력구조개선 등 일회성 인건비 반영으로 연결 기준 8095억원, 별도 기준 3465억원을 기록했는데 일회성 인건비를 제외할 경우 연결 영업이익은 1조8118억원, 별도 영업이익은 1조3328억원으로 각각 전년 대비 9.8%, 12.4% 증가해 전년 대비 수익성이 개선됐지만 4분기 실적은 고비용 희망퇴직을 반영할 경우 6551억원 적자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KT는 올해에도 저수익 사업의 구조적인 개선을 추진하고 마이크로소프트(MS)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한 사업 성과를 구체화할 계획인데 상반기 내 출시하는 한국적 AI 모델과 Secure Public Cloud를 활용해 전략 고객을 집중 공략하고, 전문 컨설팅 기능을 강화함으로써 AI·Cloud 분야에서 수익 창출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KT 콘텐츠 자회사는 시장 축소로 전년 대비 매출이 감소했으나, 자체 제작 콘텐츠는 긍정적인 성과를 거뒀는데 스튜디오지니에서 제작하고 SkylifeTV(ENA 채널) 및 지니TV에서 방영한 △크래시 △유어아너 △나의해리에게 등이 연속으로 흥행했으며, SkylifeTV의 오리지널 예능 '나는SOLO'도 꾸준한 인기로 앞으로의 성장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KT는 작년 11월 기업가치 제고 계획(밸류업 프로그램)을 발표하며 연결 자기자본이익률(ROE) 목표를 9~10%로 설정하고 오는 2028년까지 누적 1조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 및 소각 계획을 밝혔고 이에 따라 올해 약 2500억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 및 소각을 통해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적극적으로 이행할 예정입니다

 

KT가 현대차그룹에 인수되고 처음 내놓은 실적에서 대규모 인력구조정의 영향을 받아 저조한 실적을 내놓았지만 일회성 비용이 반영된 것으로 올해는 대폭 개선된 실적을 내놓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KT가 AI 분야에서 MS와 전략적 파트너를 맺으면서 클라우드 분야에서 경쟁력을 가져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데 이는 현대차그룹의 3단계 자율주행차와 연계되어 KT의 몸값을 올리는 결과ㅣ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KT는 올해 마이크로소프트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AICT 기업으로의 구조전환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또한 저수익 및 한계 사업을 합리화해 수익성을 강화할 예정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KT 4Q24_실적발표_ER_PT_KOR_FIN.pdf
0.56MB
KT_20250214_대신증권.pdf
0.46MB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