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youtu.be/Lc-C9ezsdNE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전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통해 “수석·보좌관회의에서 대통령에 RE100 산단 추진 방안을 보고했다”며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산업지도의 재편은 단순한 나눠주기가 아니라 지역의 먹거리와 일거리를 만들어주는 진짜 성장의 중요한 축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대통령실은 주무 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와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 등이 참여하는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기로 했는데 RE100 산업단지의 신속한 조성을 위해 가칭 RE100산업단지 및 에너지 신도시 조성과 지원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하는 방안도 검토할 예정입니다

 

RE100 산단 조성 본격화 소식에 CCUS관련주들도 태양광발전 관련주들고 함께 급등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RE100 산단 조성은 EU가 2026년 부과 예정인 탄소국경세에 대응하는 것으로 신재생에너지를 100% 이용하여 재화와 상품을 생산했다는 증명을 하는 것입니다

 

다만 국내 수출대기업들이 RE100 기준을 단기간에 맞출 수 없기 때문에 탄소배출권을 구매해 이를 갈음해야 EU로 수출에 있어 탄소국경세를 부과받지 않게 됩니다

 

이에 따라 탄소배출권 가격도 오름세를 나타내고 있는데 CCUS관련주들은 대표적인 탄소배출권 보유회사들로 반사이익을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입니다

 

전국 산업단지를 조기에 RE100 산단으로 만들기 위해 태양광발전소 건설이 가장 빠른 해결책이 될 수 있지만 부지 확보와 안정적인 발전량 확보에서 불확실성이 있어 결국 CCUS 관련주들에게 탄소배출권을 구매할 수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탄소 포집·활용·저장 CCUS 기술관련주

유니드

에코프로에이치엔

그린케미칼

태경비케이

에어레인

에코바이오

삼성E&A

제이아이테크

켐트로스

SCG에너지

1교시_탄소국경세 도입의 영향과 대응방안(관세청 YES FTA 전문교육 특강 교육자료).pdf
1.27MB
23_8호_경제안보 Review (CCUS 정책동향,대러제재효과성,위안화결제비중증가).pdf
1.02MB
정치변화와 재생에너지 20250421_유진투자증권.pdf
3.42MB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