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한국전력공사가 오는 22일 2분기 전기요금을 발표하는데 지난 1~3월 연료비 상승을 감안할 때 3% 이내의 소폭 인상이 예상됩니다.
이번에 전기료가 인상될 경우 지난 12월 연료비연동제 도입 이후 두번째 조정이자 7년 4개월 만에 첫 인상으로 지난 1분기 전기료가 3% 인하된 만큼 당장 큰 부담은 없겠지만, 점진적인 전기료 인상 가능성이 농후한 만큼 체감효과가 적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16일 한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연료비 연동제 도입을 발표한 이후 3개월 단위 연료비 변동분을 반영한 첫 전기요금을 22일 한전 홈페이지에 공시하는데 연료비 연동제는 석유·액화천연가스(LNG)·석탄 수입가격 등락에 따라 3개월 주기로 전기요금을 인상 또는 인하하는 제도입니다.
한전 관계자는 "국제유가가 급등하면서 LNG와 유연탄 가격이 상승해 전기요금 인상이 예상된다"며 "다만 인상폭은 아직 알 수 없지만 소폭의 인상이 예상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에 전기료가 인상되면 지난 2013년 11월 이후 약 7년 4개월 만에 인상이라는 점에서 상징성이 클 전망인데 한전은 그해 1월에 4.0% 인상한데 이어 11월에 5.4% 인상한 바 있습니다.
최근 국제유가 상승으로 국내 휘발유 가격과 LNG 가격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어 연료비 연동제를 적용할 경우 전기요금 상승이 확실시 되고 있습니다.
한국석유공사에 따르면 국내 휘발유 평균가격은 지난해 11월 말부터 16주 연속으로 상승했는데 3월 둘째 주 전국 주유소 휘발유 평균값은 리터(ℓ)당 1498.6원으로 전주 대비 15.6원 올랐습니다.
도시가스 일부 도매요금도 1∼2월에 이어 3월에 올랐는데 가스공사에 따르면 업무난방비, 냉난방공조용, 산업용, 수송용 등 상업용과 열병합용, 연료전지용 등 도시가스 발전용 도매요금은 원료비 연동제를 반영해 2월 요금보다 메가줄(MJ) 당 1.0545원 올랐고 주택용, 일반용은 동결됐습니다.
지난 겨울 동아시아 전역에 몰아친 기록적인 한파로 도시가스 연료인 LNG 소비량이 급증해 LNG 가격이 일시적으로 상승했기 때문인데 한전은 연료비 급등으로 인한 급격한 전기요금 인상을 막기 위한 안전장치를 마련해 뒀다고 하지만 일반 가정에는 부담으로 돌아올 수밖에 없습니다.
한전이 마련한 안전장치는 연료비 조정단가 최대 조정폭을 전 분기 대비 ±3원/kwh, 전년 대비 ±5원/kwh로 제한했다는 것인데 예를 들어 월 평균 350kWh을 사용하는 4인 가구 전기요금은 350kWh에 5원을 곱한 1750원까지만 인상되거나 인하됩니다.
하지만 일반가구 전기요금이 200㎾h 이하 사용 가구는 ㎾h 당 88.3원, 201~400㎾h 사용 가구는 182.9원, 400㎾h 초과 사용 가구는 275.6원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적지 않은 비중이 될 것 같습니다.
한국전력은 전기료 인상이 실적과 바로 연결되는 사안으로 이번 분기 전기료 인상은 실적 호전의 단초가 될 것 같습니다
투자자들도 한국전력 전기료 인상 소식에 매수로 화답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19치료재 개발사 속속 임상 결과 공개 2호 치료제 긴급사용승인 기대감 (0) | 2021.03.16 |
---|---|
갤럭시아머니트리 생활금융플랫폼 머니트리 월 충전액 100억원 돌파 (0) | 2021.03.16 |
폭스바겐 각형 배터리로 일원화 LG에너지솔루션과 SK이노베이션 급락세 (0) | 2021.03.16 |
두나무 주주사 일제히 강세 미국 1위 코인거래소 코인베이스 기업공개(IPO) 영향 (0) | 2021.03.16 |
미국증시 경기부양책 실시로 유동성 장세 흥청망청 신고가 (0) | 2021.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