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미국 최대 가상화폐거래소인 코인베이스가 나스닥에 상장한 날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가상화폐 '저격'에 나섰습니다.
파월 의장은 14일(현지시간) 워싱턴DC 경제클럽과의 원격 인터뷰에서 가상화폐가 아직 결제수단의 지위에 오르지 못했다는 견해를 밝혔다고 CNBC방송이 전했습니다.
파월 의장은 "가상화폐는 정말로 투기를 위한 수단"이라며 "결제수단으로서 활발히 사용되고 있지 못하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가상화폐를 금에 비유하면서 "수천년 동안 사람들은 금이 실제로 갖지 않은 특별한 가치를 부여해왔다"고 지적하기도 했습니다.
비트코인을 비롯한 가상화폐에 파월 의장이 부정적인 견해를 나타낸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닙니다.
파월 의장은 지난달 국제결제은행(BIS) 원격 패널 토론회에서도 "가상화폐들은 매우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유용한 가치저장 수단이 아니다"라며 "달러화보다는 기본적으로 금의 대체재인 투기적 자산에 더욱 가깝다"고 지적했습니다.
마침 이날은 코인베이스가 나스닥에서 거래되는 첫날이어서 파월 의장의 발언에 더욱 시선이 집중됐습니다.
코인베이스는 준거가격인 주당 250달러보다 훨씬 높은 381달러로 거래를 시작해 장중 최고 429.54달러까지 찍었습니다.
장중 한때 시가총액이 1천억달러를 돌파하기도 했으나, 오후 3시30분 현재 주당 338달러로 후퇴했습니다.
이날 인터뷰에서 파월 의장은 기준금리 인상에 훨씬 앞서서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에 나설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그는 "우리의 목표를 향한 상당한 추가 진전을 이룰 때 자산매입을 축소하게 될 것"이라면서 "이 시점은 아마도 우리가 금리 인상을 고려하는 시점보다 상당히 앞설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연준은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기준금리를 '제로 수준'으로 낮추는 한편, 장기금리 억제를 위해 매달 미 국채와 주택저당증권(MBS)을 총 1천200억달러씩 매입하고 있습니다.
완전 고용과 일정 기간 2%를 넘어서는 물가상승률을 달성할 때까지 이러한 초완화적 통화 정책을 유지하겠다는 것이 연준의 방침입니다
가상화폐가 달러의 기축통화 위치까지 넘보게 두지 않겠다는 미국 정부의 의지를 엿보인 하루였는데 가상화폐거래소 코인베스트의 상장을 맞춰 파월 의장이 작심하고 발언을 한 것입니다
미국정부의 의중을 확인한 이상 가상화폐 거래자들이 위축될 수 밖에 없어 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재인 대통령 미중무역전쟁 격화 주요 기업인 참석 확대경제장관회의 개최 (0) | 2021.04.15 |
---|---|
LG에너지솔루션 미국 1위 자동차회사 제너럴모터스(GM)와 테네시주에 미국 내 두 번째 배터리 공장 설립 16일 공식 발표 (0) | 2021.04.15 |
남양유업 발효유 불가리아 무리한 광고가 부른 상투 누가 책임질래? (0) | 2021.04.15 |
SK텔레콤 중간지주회사 인적분할 실시 검토 공정공시 (0) | 2021.04.14 |
신라젠 경영권 인수 우선협상대상자 엠투엔 선정 (0) | 2021.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