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샤오미가 애플을 제치고 올해 2분기 글로벌 스마트폰 출하량 기준 2위를 기록했는데 삼성전자는 1위 자리를 지켰지만, 샤오미와 격차가 불과 500만 대로 좁혀지며 거센 추격을 받고 있습니다.
30일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은 전년 동기 대비 19% 상승했지만, 전 분기 대비해서는 반도체 부족 및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등으로 인해 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출하량 기준으로 삼성전자는 2분기에도 글로벌 1위 자리를 지켰는데 그러나 점유율은 3% 하락한 18%를 기록했는데 삼성의 출하량은 전 분기 대비 24% 하락한 5790만 대를 기록했습니다.
샤오미는 중국, 동남아 유럽 등 국가에서 최고의 실적을 기록하며 2위에 올랐는데 2분기 샤오미의 스마트폰 출하량은 5300만 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 2600만 대보다 2배 가까이 늘었고 작년 2분기 3위였던 샤오미는 애플을 제치고 2위를 차지했습니다.
샤오미의 점유율이 높은 인도가 코로나19 영향을 받았음에도 샤오미는 프리미엄 전략과 저가 라인을 성공적으로 펼치며 글로벌 출하량을 늘렸는데 샤오미는 삼성과 화웨이가 강세를 보이는 유럽, 동남아시아, 중남미 등에서도 시장확대를 꾀하고 있는데 특히 동남아시아와 유럽에서 중간 가격대 시장에서의 점유율이 증가했습니다.
3위를 기록한 애플은 전 분기대비 출하량이 12% 감소했지만, 전년 대비해서는 30% 증가한 4890만 대를 기록했고 아이폰 12의 수요가 계속 이어졌고 공급망 관리, 배송시간 단축, 빠른 출고 등으로 반도체 공급 부족의 타격을 크게 받지는 않았는데 애플의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52% 증가했습니다.
한편, 2분기 매출액 기준으로는 애플이 점유율 41%를 기록하며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는데 애플은 지난해 같은 기간 점유율 34%에서 7%포인트(p) 상승했습니다.
삼성전자는 작년 2분기보다 2%포인트 줄어든 점유율 15%로 2위에 올랐고 이어 샤오미와 오포, 비보는 점유율 9%를 나타냈습니다.
삼성전자가 그저 하드웨어 제조를 잘하는 사업자라는 것이 스마트폰 수익율에서 애플과 격차를 많이 벌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스마트폰 시장에서 수량 우위로 많이 제조해 팔고 있지만 프리미엄폰에서 삼성전자의 수익성은 애플의 상대가 되지 않고 있습니다
자체 OS를 갖지 못하기 때문에 구글 안드로이드OS에 끌려다닐 수 밖에 없는 한계를 드러내고 있고 중국 샤오미의 추격에 불안한 1위 제조량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결국 하드웨어 제조업자로는 LG전자의 전철을 밟게 될 수 있기 때문에 삼성전자의 각성이 필요해 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정부 규제 여파 상하이 증시 폭락 나비효과에 국내 증시도 동반 하락세 (0) | 2021.07.31 |
---|---|
가온미디어 확장현실(XR)기기 개발 기대감 메타버스 관련주 합류로 급등세 (0) | 2021.07.30 |
셀레믹스 질병관리청 코로나19 바이러스 전장 유전체 분석업무 수주 (0) | 2021.07.30 |
지나인제약 5초 코로나19 신속진단키트 사용 승인 신청 기대감에 급등세 (0) | 2021.07.30 |
퀸타매트릭스 RNA백신 기반기술 확보 소식에 상한가 (0) | 2021.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