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youtu.be/2efqei7-9kE

안녕하세요

 서울대 인공지능 연구팀이 인공지능과 머신러닝 분야에서 세계 최고 권위CVPR 학회에 제출한 논문이 우수논문으로 선정되기도 했지만 곧바로 다른 연구자들에 의해 여러 논문을 베끼고 짜집기한 저급한 논문임이 탈로나고 말았습니다

 

지난 19일부터 24일까지 미국에서 개최된 CVPR 학회에서 벌어진 일로 인공지능과 머신러닝 업계에 큰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유튜브 영상을 통해 서울대 인공지능 연구팀이 제출해 우수논문으로 선정된 논문이 여러 논문들을 그대로 베낀 짜집기 수준의 논문이라는 사실을 고발하는 내용이었습니다

 

서울대 논문을 여러 다른 논문들과 비교했는데, 2019년 캐나다 토론토대학 논문에서는 단어 하나 바꾸지 않고 똑같은 문장이 발견됐고, 논문의 핵심인 수식은 지난해 발표된 해외 연구그룹의 논문과 구조가 똑같았습니다.

 

이들 논문에 대한 인용 표시는 전혀 없었는데 베낀 논문들은 2018년 미국 버클리대학 논문, 2019년 캐나다 토론토대학, 2021년 한국과학기술원(KAIST) 논문과 영국 옥스포드 논문 등 무려 10편의 논문을 부분부분 그대로 갖다 베낀 수준이었다는 점에서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표절의혹이 제기된 지 한나절 만에 논문의 제1저자와 공동저자 등 4명이 표절을 공식 인정했고 제1저자인 김 모 씨는 모든 잘못은 전적으로 자신에게 있다며, 어떠한 징계도 받아들이겠다고 표절 사실을 인정하고 사과했습니다.

 

표절 논문 교신저자는 서울대 윤성로 교수로 문재인 대통령 직속 4차 산업혁명 위원장을 지냈고, 최근에는 정부 연구비를 받는 '리더 연구자'로도 선정되기도 했습니다

 

윤성로 교수는 서울대 인공지능연구소 소속으로 인공지능과 머신러닝 분야 석학으로 알려져 있었는데 이번 학회에 참가하지 않고 국내에 남아 있다 연구논문의 표절사실을 확인하고 논문 철회를 학회에 요청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CVPR 측도 SNS에 "표절은 용납될 수 없다"는 글을 올리고, 세계전기전자공학자협회(IEEE)에 조사를 의뢰해 문제가 확대될 것 같습니다.



교신저자임에도 표절을 미리 확인하지 못한 이유에 대해, 윤 교수는 "교신저자와 공동저자는 제1저자와 논문 내용을 함께 살펴보긴 하지만, 다른 논문과 일일이 비교하며 표절 여부를 확인하지 않는다"고 해명했는데 제1저자에게 책임을 다 떠넘기고있는 것 같습니다

 

이번 논문 표절사건으로 세계 최고 권위 CVPR 학회 개망신을 당하게 되었는데 표절 여부를 확인도 안하고 우수논문으로 선정한 과정에 대해 내부 조사가 이뤄질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번 표절 사건으로 과거 서울대 수의학과 황우석박사 줄기세포 논문 사건과 같이 우리나라 연구자가 발표하는 논문의 국제 학술잡지 게제가 당분간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되는데 신뢰회복을 위해 더 많은 시간과 연구자들의 노력이 필요해 보입니다

 

우리나라 연구자들의 연구윤리 수준이 어떤지 잘 보여준 사건으로 결과만 좋으면 과정은 무시해도 된다는 식의 윤석열 대통령 철학과도 일맥상통하는 것 같습니다

 

결과도 과정도 모두 공정하고 합리적이어야 하는 것으로 윤석열 대통령의 대선공약 철회릴레이처럼 거짓말로 대선일 하루 사람들을 속여 대통령이 된 것이 결과가 좋다고 과정도 좋다고 볼 수 없는 것입니다

 

서울대가 이번에도 제대로 체면을 구기게 되었습니다

728x90
반응형